[반세기 전엔…]동아일보로 본 11월 다섯째주

  • 입력 2003년 11월 23일 18시 19분


코멘트
나병의 고통뿐 아니라 뜻밖의 사상 논란까지 겪었던 시인 한하운. 그는 시를 통해 자신의 불행을 넘어섰다. 1950년대 말로 추정되는 그의 모습. 사진 아래에 자필 서명도 있다. -동아일보 자료사진
나병의 고통뿐 아니라 뜻밖의 사상 논란까지 겪었던 시인 한하운. 그는 시를 통해 자신의 불행을 넘어섰다. 1950년대 말로 추정되는 그의 모습. 사진 아래에 자필 서명도 있다. -동아일보 자료사진
▼詩集 中 ‘데모’ 句節만 問題…韓何雲씨 實存人物 判明▼

지난 십九일의 국회 본회의에서까지 말썽을 이르킨 문둥이 시인(詩人) 한何雲 시집 문제는 방금 치안국 당국에서 예의 조사중에 있다고 하는데, 항간에 유포된 바와 같이 한씨를 가공인물로 혹은 동 시집중 ‘데모’라는 시(詩)에 불온한 一구절이 있어 한은 좌익이라는 두 점이 문제의 초점이 되고 있어, 지금까지 치안국 당국 조사에 의하면 자진출두한 한何雲씨는 六·二五 전 한하운 시집을 낸 본인임이 확정시되고 있다 하며 다만 ‘데모’라는 시중에서 말썽을 이르킨 불온한 一구절에 대해서만 한씨는 자기의 시집을 출판한 李相哲(越北)이 승인 없이 고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어 앞으로의 조사는 이에 집중될 것이라고 한다.

<동아일보 1953년 11월 25일자에서>

▼나환자 시인 한하운 ‘유령인간’ 둔갑▼

요즘은 중학교 교과서에까지 소개된 ‘문둥이 시인’ 한하운(韓何雲·1919∼1975)이 경찰 조사를 받게 된 것은 1949년 출간돼 1953년 6월 재판이 나온 첫 시집 ‘한하운시초’의 한 구절이 문제됐기 때문이다.

지금 생각하면 한바탕 소극(笑劇)이었지만 당시로선 자못 심각한 문제였다. 1953년 8월 1일 한 주간지가 ‘문둥이 시인 한하운의 정체’라는 기사에서 한씨가 가공인물이거나 월북인사라고 주장하면서 논란이 시작됐고 시집도 판매금지 되기에 이르렀다. 당시 이 사건을 취재했던 서울신문의 사회부장 오소백(吳蘇白·82)씨는 “표면상으로는 ‘데모’라는 시 가운데 ‘피빛 기빨이 간다’는 표현이 문제였으나 사건 동기는 엉뚱한 데 있었다”고 회고했다. 당시로선 드물게 책이 잘 팔리자 이를 시기한 몇몇 출판사가 논란을 사주했다는 것.

그러나 이 과정에서 한씨는 멀쩡히 살아 있는 자신의 존재증명을 하느라 고초를 겪었고 시집에서 문제의 구절은 영원히 삭제됐다. 또 서울신문에 한씨를 두둔하는 뉘앙스의 기사를 썼던 오씨와 문제안(文濟安·83)씨는 파면됐다. 국회에서 ‘정부기관지가 어떻게 그런 기사를 쓸 수 있느냐’는 시비가 벌어졌기 때문이다.

넉 달에 걸친 논란 끝에 한씨는 실존인물일 뿐 아니라 공산주의자가 아니라는 사실도 밝혀지긴 했지만 이 사건은 6·25전쟁 이후 우리 지식인사회 전반을 휘저었던 사상논란의 씁쓸한 단면을 보여준다.

한씨는 그 뒤 시집 ‘보리피리’(1955) 등을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계속했고 59년 ‘천형(天刑)’도 완치돼 75년 별세할 때까지 나환자들의 구호와 복지사업에 여생을 바쳤다.

서영아기자 sya@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