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 바뀌었지만 자율근무 그대로… 삼성 제품과 시너지로 매출도 쑥쑥”

삼성이 2016년 전격 인수한 자동차 관련 전장(차량용 전자용품) 기업 ‘하만’의 미국 캘리포니아 마운틴뷰 실리콘밸리센터에서 만난 스테펀 마티 퓨처익스피리언스팀장은 삼성 인수 후의 변화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하만이 삼성이라는 글로벌 그룹의 울타리 안으로 들어왔지만 창의성과 자율성을 존중받고 있다는 것이다.
스테펀 팀장은 “삼성이 80억 달러(당시 약 9조 원) 규모의 투자를 통해 하만을 인수하고도 삼성의 방식을 강요하지 않는 건 혁신의 본질을 이해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하만의 독립성이 기술 혁신을 촉발시키고 있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삼성의 하만 인수는 이재용 부회장이 2016년 등기이사로 선임된 후 처음 진두지휘한 작품이다. 이 성공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 부회장은 지난해 8월 삼성의 4대 미래 성장사업으로 인공지능(AI), 5세대(5G) 이동통신, 바이오, 반도체 중심 전장부품 사업을 꼽았다.
하만에 입사하기 전 4년 동안 삼성에서 일했던 스테펀 팀장은 “자동차 제조업을 그만둔 삼성이 자동차 관련 전장 기술을 연구하는 하만을 인수할 것이라고는 상상조차 하지 못했다”며 “경계를 뛰어넘는 상상을 하고 이를 실현하는 리더십이 미래의 삼성을 더 강하고 완전하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만은 삼성 인수 당시인 2017년 2분기(4∼6월) 영업이익률이 0.47%에 불과했지만 올해 3분기 3.8%까지 올랐다. 영업이익도 당시의 10배 규모인 1000억 원대로 성장했다
마운틴뷰=유근형 기자 noel@donga.com
이수정 “십수 년 민주당 지원, ‘그대로 가야하나’ 혼란 빠져”
윤석열, 총장직 거는 건 與가 바라는일…檢, 중수청 앞 자멸할수도
진중권 “신현수도 친문이 잘라내는 것…文도 통제 못해”
홍준표 “아직도 문재인 세상…정신 못차리는 국민의힘”
“임기말 대통령 눈엔 뒤꽁무니만…관료들은 ‘몸 세탁’ 외국행”[최영해의 폴리코노미]
文 정부에서 사라진 김대중과 노무현의 유산[광화문에서/한상준]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