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신 함부로 해선 안 되는 이유…“혈액암 발병 위험 21% 증가”

  • 동아닷컴
  • 입력 2024년 5월 27일 09시 28분


코멘트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문신을 한 사람은 혈액 암의 일종인 림프종에 걸릴 위험이 21%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웨덴 룬드대 연구팀에 따르면 문신으로 인한 림프종 발병 위험은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DLBCL·백혈구에서 시작하여 빠르게 성장하는 치료 가능한 암·광범위큰B세포림프종으로도 부름)과 여포성 림프종(천천히 성장하는 난치성 암)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1만1905명을 대상으로 문신 여부와 생활방식 등에 관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전체 참가자 중 2938명이 20세에서 60세 사이에 림프종에 걸렸다. 이 중 1398명이 설문지에 응답했다. 대조군 참가자는 4193명 이었다. 림프종에 걸린 연구 참가자 중 21%(289명)가 문신을 한 반면, 대조군(림프종 미 발병)에선 18%(735명)가 문신을 한 것으로 집계됐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흡연과 나이 등 다른 관련 요인을 고려한 결과, 문신을 한 무리에서 림프종 발병 위험이 21% 더 높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림프종은 희귀한 질환이며 이번 연구 결과는 (아직 일반화 할 단계가 아닌) 연구 참가 그룹 수준에서 적용된다는 점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결과는 다른 연구를 통해 더 검증하고 조사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연구는 현재 진행 중이다”라고 논문의 저자인 크리스텔 닐센 연구원이 말했다.

그는 “타투 잉크가 피부에 주입되면 신체가 이를 없어야 할 이물질로 해석하고 면역체계가 활성화된다는 사실을 우리는 이미 알고 있다”며 “잉크의 대부분은 피부에서 림프절로 운반되어 침착된다”고 설명했다. 림프절은 손상된 세포, 암세포,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면역기능을 하는 기관이다.

연구진은 문신의 크기가 림프종 발병 위험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지만 그렇지 않다는 결론을 내렸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크기에 관계없이 문신이 신체에 저등급 염증을 일으키고, 이것이 암을 유발할 수 있다고 추측할 뿐이다. 따라서 상황은 우리가 처음에 생각했던 것 보다 훨씬 더 복잡하다”라고 넬슨 연구원은 말했다.

그는 이번 연구 결과가 문신 잉크의 화학 성분에 대한 관리감독의 중요성을 강조한다고 지적했다.

작년 미국 암 연구협회 연례회의에서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여러 개의 큰 문신과 혈액 암 사이에 잠재적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도 문신은 자신만의 개성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폭넓게 자리잡았다. 보건복지부는 반영구 화장(눈썹 문신 등) 포함 국내 문신 인구를 1300만 명으로 추산한다. 관련 사업 종사자도 30만 명에 달한다.

현행법상 우리나라에서 타투 시술은 의료인만 할 수 있다. 하지만 반영구 화장 시술자 99%가 비의료인으로 알려졌다. 관련 법 개정이 필요한 이유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넬슨 연구원은 “사람들은 계속해서 문신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표현하고 싶어 할 것이므로 우리 사회가 문신의 안전성을 확인하는 것이 매주 중요하다”며 “개인적으로는 문신이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문신과 관련이 있다고 의심되는 증상이 나타나면 의료진에게 문의해야 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영국 온라인 임상의학 전문지 ‘이클리니컬 메디신’(EClinicalMedicine)에 지난 21일(현지시각) 게재됐다.

박해식 동아닷컴 기자 pistols@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