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발병 연령 어려졌다…“치료 성적은 오히려 악화”

  • 뉴시스
  • 입력 2023년 12월 19일 10시 20분


코멘트

전국 17개 병원모집 7050명 데이터 분석
젊은층 관리하고 응급의료체계도 정비를
치료법 발전 불구 예후 제자리 또는 악화


지난 12년간 한국인의 ‘젊은 뇌졸중(조기발생 뇌졸중)’ 발병 연령대가 낮아졌지만, 치료법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예후(치료 경과)는 그대로이거나 오히려 악화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배희준 교수 연구팀(제1저자 인하대병원 김종욱 교수)은 다기관 뇌졸중 코호트(동일집단) 연구(Clinical Research Collaboration for Stroke in Korea, CRCS-K)를 통해 2008년부터 2019년까지 12년 동안 전국 17개 병원에서 모집한 18~50세 사이의 뇌졸중 환자 7050명을 분석한 결과를 19일 이 같이 밝혔다.

‘젊은 뇌졸중’은 18세에서 50세 사이에 발생하는 뇌졸중으로, 전체 뇌졸중 환자 중 약 10~15%를 차지한다. 젊은 환자들은 뇌졸중에 따른 후유 장애를 안고 평생을 살아야 하기 때문에 기대 여명(앞으로 살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되는 기간)이 짧은 고령층에 비해 질병부담도 1.6배 이상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연구 결과 젊은 뇌졸중의 평균 발병 연령이 지난 12년 동안 43.6세에서 42.9세로 낮아졌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특히 여성 뇌졸중 환자에서 18~30세 비중이 6.5%(2008~2010년)에서 10.2%(2018~2019년)로 대폭 증가했다. 남성이 같은 기간 4.1%에서 5.5%로 증가한 것과 대비된다.

문제는 발병률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치료 성적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는 점이다. ▲혈전용해제 투여율 ▲혈전제거술 시행률 ▲스타틴 투여율 ▲복합항혈전제 사용률 등 최신 진료 지침에서 요구하는 치료 지표는 좋아졌지만, 사망률, 기능적 회복률과 같은 치료 결과 지표들은 변동이 없었다. 오히려 1년 내 재발률은 2011~2013년 4.1% 수준에서 2017~2019년 5.5%로 증가했다.

연구팀은 예후가 개선되지 않는 이유로 혈관재개통치료 지표 개선의 수혜를 받을 수 있는 환자는 전체의 20%에 불과하다는 점, 증상 발견 후 병원 도착까지 시간은 여전히 8.0시간(2008년 8.4시간)으로 큰 변화가 없다는 점을 꼽았다. 뇌졸중은 빨리 치료할수록 뇌 손상을 줄일 수 있는데 12년 동안 병원 이송까지 걸리는 시간을 거의 단축하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또 뇌졸중을 유발하는 고혈압, 당뇨병, 부정맥 등 원인 질환에 대한 인지율과 치료율이 그대로거나 악화된 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밖에도 젊은 여성에서 흡연율 증가 등이 거론됐다.

배 교수는 “젊은 연령에서도 뇌졸중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며 “뇌졸중 위험을 높이는 원인 질환을 앓고 있는지 미리 파악하고 관리해야 하며, 빠르게 치료 가능한 병원을 찾을 수 있도록 응급의료 시스템을 정비하고 국민들도 개별적인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심인성 색전증 등 일부 뇌졸중에서는 항응고제를 사용해야 하는데 관련 연구와 치료 지침 마련이 시급하다”고 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립보건연구원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으며 연구 결과는 미국뇌졸중학회지 ‘스트로크(Stroke)’ 최근호에 실렸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