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한양행, ‘렉라자’ 띄우고 신규 사회공헌 전개한다

  • 동아경제
  • 입력 2023년 7월 10일 17시 11분


코멘트

의료기관 및 환자 수 제한 없는
렉라자 1차 치료제 조기 공급 프로그램(EAP) 시행

유한양행은 10일 돌연변이 양성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렉라자(성분명: 레이저티닙 메실산염일수화물)의 1차 치료 확대 허가와 함께 R&D 및 사회공헌의 새로운 방향성을 소개하는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현장에서는 임효영 의학임상본부 부사장이 렉라자 1차 치료제 조기 공급 프로그램(Early Access Program, 이하 EAP)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했다. EAP는 전문의약품이 시판 허가된 후 진료 현장에서 처방이 가능할 때까지 동정적 목적으로 해당 약물을 무상 공급하는 프로그램이다.

유한양행에서 시행하는 렉라자 1차 치료 EAP는 각 의료기관 생명윤리위원회 검토 및 승인을 받고 담당 주치의 평가와 대상 환자의 자발적인 동의가 이뤄진 후 참여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고 한다.

임효영 부사장은 “R&D에 대한 각고의 노력으로 탄생한 렉라자는 임상을 통해 1차 치료 임상적 유용성을 확인하며 국내 1차 치료제로 확대 허가됐다. 故유일한 박사님의 창업 정신은 ‘가장 좋은 상품을 만들어 국가와 동포에게 도움을 주자’라는 숭고한 뜻에 있다. 이에 렉라자 1차 치료제 EAP는 의료기관과 환자의 수에 제한 없이 대규모로 시행한다. 많은 환자 분들이 비용 부담 없이 치료를 유지하고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어 오세웅 유한양행 중앙연구소장이 현재 집중하고 있는 종양, 대사, 중추신경계(CNS) 질환 등 3가지 전략 질환군 중 항암 파이프라인을 중심으로 R&D 현황을 소개했다.

오 소장은 “항암 파이프라인에는 렉라자 외 추가 발굴 중인 신약 10개가 있다. 이중 가장 대표적인 면역 항암 이중 항체인 YH32367는 임상 단계에, YH42946은 내년에 임상시험을 계획하고 있으며, 나머지 7건은 비임상 단계에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국산 신약 31호라는 타이틀과 함께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2차 치료제로 등장한 렉라자가 지난 6월 30일 1치 치료제로 확대 허가된 것은 단순히 유한양행뿐 아니라 국내 제약바이오산업 전반, 진료 현장 모두에 뜻깊은 일이라고 생각한다. 유한양행은 제2, 제3의 렉라자를 발굴하기 위해 아낌없는 R&D 투자로 신약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 앞으로도 유한양행은 환자를 중심에 두고 세계 시장 경쟁력을 갖는 의약품을 개발하는 선도기업으로 공고히 남기 위해 연구역량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조욱제 유한양행 사장은 “렉라자 1차 치료 확대 허가 소식에 이어 R&D와 사회공헌의 새로운 혁신을 소개하는 자리를 마련할 수 있어 기쁘다. 유한양행은 故유일한 박사님의 창업 정신을 계승하고자 렉라자 1차 치료제 EAP를 시행하기로 숙고 끝에 결정했다. 투병만으로도 힘든 폐암 환자분들이 치료에 대한 경제적 부담까지 떠안는 것을 막고자 사회환원이란 중요한 이념을 바로 실천하고자 한다. 앞으로도 유한양행은 자사의 비전 ‘그레이트 유한, 글로벌 유한(Great Yuhan, Global Yuhan)’을 달성하기 위해 우수한 신약개발과 이윤의 사회환원이라는 중요한 기업이념과 가치들을 성실히 고수하며 실천하겠다”고 말했다.

동아닷컴 김상준 기자 ksj@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