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운 날 차가운 음료 마시다 ‘찌릿’… “꼼꼼하게 양치질해 시린 이 예방을”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5월 24일 03시 00분


코멘트

동아제약
정기 검진과 스케일링으로 치주질환 방지
치실 등으로 2차 세정 간편한 가글도 효과

우리나라 사람들이 병원을 찾는 가장 큰 이유는 의외로 치주질환이다. 2019년부터 외래 기준 다빈도 질병 통계 1위를 놓치지 않는 추세다. 2021년엔 치주질환의 요양급여 비용 총액이 17억8300만 원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치주질환 환자 대부분 증상이 악화된 후 병원을 찾는 탓에 치료비가 비싼 임플란트 식립이 불가피한 경우가 많다. 모든 질병이 그러하듯 치주질환도 예방과 조기 진단이 중요하다. 일상에서 대수롭지 않게 넘기기 쉬운 치주질환 증상과 적절한 예방법을 살펴봤다.

차가운 음식에 찌릿, 시린 이가 치주질환으로?
시린 이로 불리는 치아지각과민은 찬 음식을 먹을 때 나타나는 찌릿한 통증이 특징이다. 가장 흔한 원인은 치아와 잇몸이 닿는 경계부 잇몸선이 패인 경우다. 치아의 가장 바깥쪽 표면층을 형성하는 법랑질은 잇몸선과 가까운 곳일수록 취약하다. 잇몸선이 깊어질수록 법랑질보다 예민한 안쪽 상아질이 노출되기 쉬운 것이다. 상아질은 온도나 압력 등 외부 자극을 치수 신경으로 빠르게 전달해 통증이 더 잘 느껴지는 부위다.

문제는 찌릿함을 느낄수록 치아 위생에 소홀하기 쉽다는 점이다. 칫솔의 마찰도 통증으로 인식해 설렁설렁 닦아내게 되는 식이다. 이로 인해 해당 부위의 치석과 치태가 쌓이면 염증으로 발현될 가능성이 크다. 시린 이 자체가 치주질환의 증상일 수 있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다. 치주질환의 원인인 치태·치석 속 세균은 산성 물질을 생성해 치아를 부식시키고 치아를 점점 더 민감하게 만든다.

정기적인 스케일링과 일상 속 관리 놓쳐선 안 돼
시린 증상이 없다고 안심하긴 이르다. 잇몸이 자주 붓고 양치할때 피가 난다면 이미 염증이 잇몸에 자리하고 있을 수 있다. 치주질환의 근본적인 예방법은 정기적인 치과 검진과 스케일링이다. 하지만 스케일링 후 시린 이 증상이 더 심해졌다며 기피하는 사람들 또한 많다. 스케일링·잇몸 치료 후 시린 느낌은 잇몸을 덮고 있던 치석이 제거되고 치아 뿌리 근처가 노출되면서 나타나는 일시적 증상이란 점을 유념해야 한다.

치주질환은 일상적 관리와 밀접하다. 입속 환경을 산성화하는 단 음식을 삼가고, 맵거나 짠 음식, 술·담배와 커피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주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 습관을 가지고 있다면 더 면밀한 세정이 필요하다. 칫솔질을 꼼꼼하게 했더라도 치실이나 치간칫솔로 2차 양치를 해준다. 양치 도구 사용에 서툰 사람이라면 사용 편의성이 높은 가글제를 더해보는 것도 방법이다. 동아제약의 고기능성 가글 검가드가 대표적이다. 검가드는 특허 5종 콤플렉스로 치은염 관련 균의 발생을 억제하고 잇몸 염증을 완화한다. 실제로 연세대 치과대학병원과 함께한 시험에서 6주간 하루 세 번 제품을 사용하게 했더니 잇몸 염증 지수가 50.9%, 잇몸 출혈 빈도가 56.9%나 감소하는 결과를 보이기도 했다.

황해선 기자 hhs2552@donga.com
#헬스동아#건강#의학#동아제약#치주질환#간편한 가글#스케일링#정기 검진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