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하철 생존자 30명 뇌 5년간 추적조사… 트라우마서 탈출과정 밝혀내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8월 30일 03시 00분


코멘트

류인균 이화여대 뇌인지과학과 교수

미래창조과학부는 29일 이화여대 류인균 뇌인지과학과 교수(52·사진) 연구팀이 2003년 대구지하철 화재 참사의 생존자를 장기간 추적 조사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의 생물학적 극복 원리를 처음으로 찾아냈다고 밝혔다. 심리학적 증상 완화가 아닌 근본적인 치료법 개발의 길이 열린 것이다.

류 교수팀은 대구지하철 화재 사건 생존자의 PTSD 치료를 위해 사건 발생 약 50일이 지난 시점부터 생존자 30명의 뇌와 행동에 나타나는 변화를 5년 동안 조사했다. 이후 8년 동안 자료를 분석했다.

대구지하철 화재 사건은 사망자가 192명에 달하고 화염으로 인해 시신의 흔적을 찾을 수 없어 실종자로 처리된 사람이 21명이나 나온 참사였다.

류 교수는 “일단 PTSD를 갖게 되면 TV에서 비슷한 얘기만 나와도 깜짝 놀라는 등 끊임없이 고통을 다시 경험하게 된다”면서 “이번 연구에서는 다른 사람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상이 줄어든 사람들의 뇌를 추적 관찰하는 방식으로 PTSD의 극복 원리를 알아냈다”고 설명했다.

류 교수팀은 대구지하철 화재 사건 생존자들의 뇌를 1년 3개월가량의 간격을 두고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으로 촬영해 분석했다. 사고 직후 생존자들의 뇌는 공포반응을 관장하는 편도체가 일반인에 비해 과도하게 활성화돼 있었다. 1년 5개월 이후에도 과민반응을 유발하는 뇌성엽 부위와는 강하게 연결되어 있고 안전 인식과 관련 있는 해마와의 연결은 약했다. 그러나 2년 8개월 지난 뒤부터는 편도체의 활성화 정도를 낮추는 안와전두피질 부위와의 연결이 강화되면서 PTSD 증상이 완화되는 것을 처음으로 확인했다. 안와전두피질이 ‘지하철에서 같은 사고가 또 일어날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는 정상적인 인식을 하도록 돕는 것이다.

류 교수는 “이런 방식으로 특정 상황을 재평가할 수 있게 되면 지하철을 못 탔던 사람이 다시 탈 수 있게 된다”면서 “추적 결과 3년 10개월이 지났을 때 편도체와 안와전두피질, 시상 등 주변 부위의 연결성이 정상인 수준으로 돌아왔다”고 설명했다.

미래부의 지원을 받아 연구를 수행한 류 교수팀은 밝혀낸 원리를 바탕으로 PTSD 치료 방법 개발에도 나섰다. 특수 자기장으로 뇌를 직접 자극해 안와전두피질과 편도체의 연결을 강화시키는 방식이다. 류 교수는 “초기 예비 임상시험에서 약 30%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예비 임상시험을 3년간 더 진행한 뒤 본격적인 임상시험에 들어갈 계획이다.

송경은 동아사이언스 기자 kyungeun@donga.com
#외상후스트레스장애#트라우마#ptsd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