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의 인체내 반응 ‘본드’로 확인?… 서울대 박승범교수팀 쾌거

  • Array
  • 입력 2012년 4월 20일 03시 00분


코멘트

기존 갈고리법 단점 극복
화학권위지 표지논문 선정


우리가 감기에 걸렸을 때 두통약을 먹는 이유는 해열 및 진통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약이 몸속에서 어떤 물질과 만나 어떻게 이동하는지는 정확하게 알지 못한다. 아직까지 약물의 작용기전을 완전히 알 수단이 없기 때문이다. 약물의 작용기전을 정확히 알 수 있다면 부작용도 미리 찾아내 방지할 수 있다.

서울대 화학부 박승범 교수(사진)팀은 약물의 작용기전을 알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현재는 약물 같은 생리활성 물질과 반응하는 몸속의 물질(표적물질)을 찾아내기 위해 생리활성물질에 갈고리 형태의 화학물질을 단다. 이 갈고리 끝에 표적물질을 유인하는 ‘미끼’를 달면 달라붙는 물질을 찾아낼 수 있다.

그런데 이 갈고리는 생리활성물질이 세포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해한다. 따라서 세포 내의 반응을 보려면 세포를 분해해야만 한다. 그러나 세포를 분해하면 살아 있는 세포 안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제대로 파악할 수 없다.

‘안게반테 케미’ 최신호 표지.
‘안게반테 케미’ 최신호 표지.
연구진은 이런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갈고리 대신 빛을 받으면 주변 물질들을 단단하게 결합시켜 일종의 ‘본드’ 역할을 하는 광반응성물질을 사용했다. 광반응성물질을 붙이면 생리활성 물질이 세포 안으로 들어갈 수 있고 정확하게 결합한 생리활성물질은 붉은색을 띠기 때문에 한눈에 표적단백질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연구진은 항암효과를 보이는 생리활성물질의 표적단백질을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

박 교수는 “신약 후보물질이 생체 내에서 작용하는 기전을 밝힘으로써 신약 개발의 신뢰도와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됐다”며 “이번에 개발한 방법을 이용해 다양하고 새로운 신약 후보물질을 찾아낼 것”이라고 연구 방향을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화학 분야 최고 권위지인 ‘안게반테 케미’ 최신호에 표지논문으로 선정됐다.

김윤미 동아사이언스 기자 ymkim@donga.com
#서울대#박승범교수팀#신약#본드#안게반테 케미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