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 투데이]금리인상 대비하되 외국인 러시도 주시를

  • 입력 2009년 9월 23일 03시 06분


코멘트
지난주 필자는 한국은행의 금리인상에 대비해 투자전략을 변경해야 할 시점이 오고 있다고 했다. 예를 들어 변동금리 대출을 고정금리 대출로 바꾼다든가, 예금에 가입하려면 예금금리가 오를 때까지 조금 기다린다든가 하는 변화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여간 한국은행에 맞서지 말라는 게 핵심이다.

하지만 오늘은 한국은행의 정책방향과는 달리 미국 등 선진국 중앙은행들은 상당 기간 정책금리 인상을 주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며 이런 점이 국내 자산가격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란 점을 지적하려 한다.

올 들어 외국인들은 한국 주식과 채권을 대량으로 사들이고 있다. 지난주까지 약 9개월간 외국인 순매수 규모를 보면 주식 26조 원, 채권 30조 원이다. 짧은 시간에 각 시장의 전체 시가총액 중 대략 3% 이상을 사들인 것이다. 왜 이들은 한국 금융자산을 이처럼 공격적으로 사들이고 있는 것일까.

한국이라는 나라에만 초점을 맞추면 충분한 이유가 있어 보인다. 무엇보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우리 기업들의 성과가 눈부시다. 삼성전자의 분기 실적이나 현대차의 글로벌 시장점유율 확대는 놀라운 수준이다. 2005년 이후 낮은 환율 수준에서 다져진 기업들의 경쟁력이 분출되는 모습이다. 또 환율 여건이 좋다. 현재의 환율 수준에서 한국은 꾸준하게 경상수지 흑자를 기록해 왔다. 외국인 편에서 보면 한국 자산 투자에서 원화가치 강세에 따른 과실도 함께 딸 수 있는 형국이다.

하지만 외국인들의 한국 금융자산 매수에는 근본적인 이유가 있어 보인다. 선진국들이 역사상 가장 낮은 정책금리를 유지하고 있다. 즉, 선진국에서 나온 돈이 전 세계 자산가치를 끌어올리고 있고 한국 자본시장에 대한 외국인들의 매수 집중도 결국 그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는 얘기다. 이른바 달러캐리 트레이딩이다.

그렇다면 선진국들은 정책금리를 조만간 인상할 수 있을까. 쉽지 않아 보인다. 이번 금융위기는 미국과 유럽의 가계에 직접적 타격을 줘 선진국 가계는 소비를 빠르게 늘리기 어렵다. 빚을 갚아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서비스업 위주의 산업구조에서 소비침체는 바로 실업률 상승으로 이어진다. 결국 정부와 중앙은행이 돕지 않으면 이들 경제는 다시 추락할 가능성이 크다.

한국은행에서는 금리인상을 계획하고 있지만 선진국 중앙은행은 그렇지 않다는 게 핵심이다. 그렇다면 낮은 금리의 자금은 계속해서 한국 자본시장에 밀려올 가능성이 크다. 이때 한국은행의 스탠스에 지나치게 얽매인다면 외국인들만 한국 투자의 과실을 따 갈 수도 있다. 한국은행에 맞서지 말아야 하지만 글로벌 통화정책에도 맞서지 말아야 한다는 인식이 필요하다.

최석원 삼성증권 채권분석파트장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