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中이 대만 무력침공땐
군사 개입… 美의 약속”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3일 도쿄에서 미일 정상회담 직후 기자회견에서 중국이 대만을 침공하면 대만을 방어하기 위해 군사 개입을 할지 묻는 질문에 “그렇다(Yes). 그것이 우리의 약속”이라고 밝혔다. 지금까지 나온 미국 대통령의 대만 방어 언급 중 가장 수위가 높은 강경 발언이다. 미 뉴욕타임스는 “이제까지 미국 대통령들이 대만 문제에 대해 유지해 온 ‘전략적 모호성’을 버렸다”고 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대만 유사시를 염두에 두고 현재 국내총생산(GDP)의 1% 수준인 방위비를 2% 수준까지 늘리려고 하는 일본에 대해서도 지지를 표명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23일 도쿄에서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와의 미일 정상회담 후 공동 기자회견에서 “미국은 (대만이 중국의 일부라는) 중국의 ‘하나의 중국’ 정책을 인정하지만 중국이 무력으로 대만을 뺏으려는 시도를 용납할 수 없다”며 “이는 지역 전체를 불안하게 하고 우크라이나와 같은 상황을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군사 개입… 美의 약속”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3일 도쿄에서 미일 정상회담 직후 기자회견에서 중국이 대만을 침공하면 대만을 방어하기 위해 군사 개입을 할지 묻는 질문에 “그렇다(Yes). 그것이 우리의 약속”이라고 밝혔다. 지금까지 나온 미국 대통령의 대만 방어 언급 중 가장 수위가 높은 강경 발언이다. 미 뉴욕타임스는 “이제까지 미국 대통령들이 대만 문제에 대해 유지해 온 ‘전략적 모호성’을 버렸다”고 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대만 유사시를 염두에 두고 현재 국내총생산(GDP)의 1% 수준인 방위비를 2% 수준까지 늘리려고 하는 일본에 대해서도 지지를 표명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23일 도쿄에서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와의 미일 정상회담 후 공동 기자회견에서 “미국은 (대만이 중국의 일부라는) 중국의 ‘하나의 중국’ 정책을 인정하지만 중국이 무력으로 대만을 뺏으려는 시도를 용납할 수 없다”며 “이는 지역 전체를 불안하게 하고 우크라이나와 같은 상황을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토픽
-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젤렌스키, 다보스서 “전후 재건 기금 632조 도와달라”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국제사회를 향해 전후 재건 기금 마련과 희생자 보상을 위한 러시아 동결 자산 전용을 촉구했다고 23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날 다보스 세계경제포럼(WEF)에 보낸 비디오 연설에서 “우크라이나 재건에 5000억 달러(약 632조 2500억 원) 이상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촉구했다. 2차 대전 이후 미국이 서유럽 부흥을 위해 투입한 ‘마셜 플랜’ 같은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문이다. 그는 전후 재건 기금과 관련, “기아와 빈곤, 불평등과 혼란에 대응하기 위해 쓰여질 것”이라고 말했다. 우크라이나 상황에 대해선 “건물 수만 채가 파괴됐다”고 했다. 그러면서 “개별 국가와 도시, 기업 차원의 우크라이나 도시·산업 재건은 특별하고 역사적으로 의미있는 재건 모델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러시아 동결 자산 전용도 요구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다양한 관할구역에 있는 러시아 자산을 찾아내 압류하거나 동결하고,
- 사람, 세계“나치 척결이라더니 침공… 죄책감에 복무 거부”러시아군 부사관 A 씨는 우크라이나 침공 하루 전인 2월 23일 부대 차량에 ‘Z’ 표시를 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전날 부대장이 휴대전화를 압수한 데 이어 아군 식별 표시 지시를 받고 A 씨는 의아했다. 이튿날 크림반도를 거쳐 우크라이나 남부 헤르손에 투입됐을 때도 진짜 전쟁이 벌어질 줄은 예상하지 못했다. 헤르손의 한 주민이 A 씨 부대의 전차 행렬 앞으로 달려와 “너희는 모두 죽었다”고 울부짖는 것을 보고서야 A 씨는 점령군이 돼버렸다는 것을 깨달았다. A 씨는 부대에서 “우크라이나의 나치 세력을 척결해야 한다”고 들었지만 헤르손 주민들은 ‘나치’와 거리가 먼 사람들이었다. 동료들도 왜 전쟁을 해야 하는지 혼란스러워했다. 그런 가운데 전사자가 매일같이 나왔다. A 씨의 목표는 오직 살아남는 것이었다. 매일 밤 수류탄 상자에 기대어 잠들며 “중요한 것은 하루를 더 사는 것이다. 우리 중 아무도 죽지 않는 것이다”라고 되뇌었다. A 씨는 후방에 배치돼 전투 장비 수리 업무를 맡았
- 글로벌 현장을 가다
- 세계의 눈
- 정미경 기자의 글로벌 스포트라이트
- 김수현의 세계 한 조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