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세 번 실천한 ‘작은 친절’, 내 몸을 살린다[최고야의 심심(心深)토크]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1월 6일 01시 40분


코멘트

친절의 나비효과
스트레스, 질병 유전자 발현에 영향… 남에게 친절 베풀면 긍정적 정서 유발
질병 유전자 활동성 낮춰 염증 감소… “내 삶은 의미 있다” 느껴 행복감 증가
사회적 유대감 높아져 마음도 ‘든든’

“달달한 간식 드시면서 2024년에도 힘내세요.”

최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어린아이 글씨체로 정성껏 꾹꾹 눌러 쓴 메모 사진이 올라와 화제가 됐다. 자신을 ‘○○○호 어린이’라고 소개한 이 아이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라는 글과 함께 사탕과 초콜릿을 아파트 엘리베이터 내부에 붙여 놓았다. 뜻밖의 선물에 감동한 주민들은 ‘미소가 절로 나오는 아침이네요!’ ‘행복했습니다’라는 답글을 남겼다. 한 주민은 세뱃돈이라며 1만 원짜리를 붙여 놓기도 했다.

연말연시엔 따뜻한 소식이 여기저기서 많이 들려 온다. 쪽방촌에 살며 폐지 주워 모은 돈을 기부한 80대 할머니, 빚 갚기도 빠듯하면서 보육원에 신발 수십 켤레를 보낸 부부 등…. 이렇게 ‘나만 잘 먹고, 잘살면 된다’는 마음을 뛰어넘어 다른 사람들에게 친절과 선행을 베푸는 소식을 접하면 기분이 좋아진다.

꼭 거액을 기부하거나 대단한 사연이 있어야만 특별하게 느껴지는 것은 아니다. 우리는 종종 사소한 선물이라도 받을 때보다 줄 수 있을 때 더 마음이 풍요로워지는 경험을 한다. 심지어 이때 느끼는 따뜻한 감정은 우리 몸에 좋기까지 하다. 다른 사람에게 친절을 베풀고 이타적으로 행동하면 암, 치매, 심혈관질환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친절과 질병 예방이 도대체 무슨 상관인가 싶겠지만, 신기하게도 사실이다. 몸과 마음이 기묘하게 연결돼 있기 때문이다.

● 스트레스는 몸속 염증과 ‘짝꿍’
마음이 따뜻해지는 느낌이 몸에 좋다는 것은 그와 반대 상태인 스트레스가 몸에 얼마나 해로운지를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스트레스가 몸에 미치는 악영향은 수없이 많지만, 그 가운데 하나는 염증을 유발하는 것이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뇌에서 불안을 담당하는 편도체가 과하게 활성화된다. 편도체는 불안과 관련한 신체의 신경망을 자극하고, 그러면 혈관에서는 염증이 생성된다. 몸속 염증 수치가 높다는 것은 각종 질병에 걸릴 확률이 높다는 의미다.

스트레스와 질병의 상관관계를 밝히기 위해 아흐메드 타와콜 미국 하버드대 의대 교수 연구팀은 4년간 추적 관찰 연구를 진행했다. 건강한 성인 293명을 모집해 염증 발생 여부와 스트레스 지수를 주기적으로 측정했다. 그 결과 스트레스 지수가 높은 사람들은 염증 발생 빈도가 높았을 뿐 아니라 뇌중풍(뇌졸중), 심근경색 등 심혈관질환 발생 비율이 높았다. 연구진은 “관찰 기간을 더 길게 본다면 스트레스가 암이나 치매 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래서인지 최근에는 마음 건강에 신경 쓰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마음챙김’ 명상 앱을 이용하거나 심리 상담을 받는 경우도 많다. 그런데 이보다 일상에서 좀 더 간편하게 시도해 볼 수 있는 마음 건강 챙기기 활동이 있다. 바로 남들에게 ‘친절하게 행동하기’다. 다른 사람을 배려하고 돕는 마음은 “내 삶은 꽤 괜찮다”는 긍정적인 정서를 일으키고, 다른 사람들과 연결돼 있다는 든든한 느낌을 준다.

● 하루 세 번, 친절 행동 했더니 나타난 효과
놀랍게도 이때 스트레스에 의해 활성화됐던 염증 반응이 약해진다. 우리 몸에는 염증을 유발하고 암이나 치매, 심혈관질환 등을 일으키는 유전자 53개가 있다. 이 무리를 통틀어 학술용어로 ‘역경에 대한 보존 전사 반응(CTRA·Conserved Transcriptional Response to Adversity)’을 일으키는 유전자라고 한다.

일종의 ‘악당 유전자’라고 이해하면 쉽다. 악당이 설치면 지구의 평화가 위협받듯, 악당 유전자가 활성화되면 몸에 염증은 늘어나고, 항바이러스 기능은 떨어진다. 이와 반대로 남들에게 친절하게 행동할 때는 긍정적 정서가 일어나고, 이는 악당 유전자의 활동을 감소시켜 건강을 지켜낸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캐서린 넬슨코피 미 애리조나주립대 심리학과 교수 연구진은 성인 159명을 모집해 4주간 실험했다. 이들을 4개 그룹으로 나눠 첫 번째 그룹에는 다른 사람에게 하루 세 번 크고 작은 친절을 베풀라는 미션을 줬다. 지인을 초대해 음식 대접하기, 감사 편지 쓰기, 안 친한 사람에게 커피 사주기 등 본인이 원할 때, 원하는 행동을 하라고 했다.

나머지는 △자기에게만 좋은 행동하기(마사지 받기 등) △불특정 다수를 위해 좋은 일 하기(길가에 떨어진 쓰레기 줍기 등) △평소대로 살기(대조 그룹)로 나눴다. 대조 그룹을 제외하고는 마찬가지로 하루 3번, 4주 동안 이 같은 행동을 하라고 했다.

실험 전후로 혈액을 채취해 악당 유전자의 활성화 정도를 비교했다. 그 결과 4주 동안 다른 사람에게 친절을 베푼 그룹만 악당 유전자의 활성화 정도가 유일하게 감소했다. 다른 그룹은 전후 수치가 그대로이거나 아주 미세하게 증가했다.

●“나만 좋으면 된다” 생각 버려야
그렇다면 나 자신에게 베푸는 친절과 관대함도 비슷한 효과를 낼까? 듣기 싫은 수업을 땡땡이치거나 열량 폭탄인 달콤한 디저트를 먹거나 망설임 없이 쇼핑하기 등 내가 원하는 대로 행동하면 기분이 좋아져 스트레스가 풀릴 것 같은데 말이다.

그런데 여러 연구 결과를 보면 딱히 그렇지도 않다. 앞서 소개한 실험에서 마사지 받기 등 4주 동안 하루에 3번 자기만 즐거운 일을 한 그룹은 악당 유전자의 활동 정도가 전혀 감소하지 않았다. 게다가 쾌락적 즐거움을 추구할수록 행복감의 지속 시간은 짧다고 한다. 죄책감이 동시에 일어나 즐거움을 상쇄해 버리는 탓이다.

반면, 남에게 친절을 베푼 사람들의 행복감은 꽤 오래간다. 앞서 소개한 넬슨코피 교수 연구진의 또 다른 연구에 따르면 남에게 친절을 베푼 그룹은 실험이 끝나고 2주 후까지 행복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다른 이들이 친절에 보답하는 선순환이 일어난 결과다. ‘수업 땡땡이’ 같은 쾌락을 추구한 그룹에 속한 사람들은 행복감이 그리 오래가지 않았다. 연구진은 “내가 원하는 대로 살면 행복할 거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오히려 남에게 친절을 베풀 때 더 행복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인 대상 연구에서도 이와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 행복연구센터에서 성인 152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쾌락적 행복을 추구하는 사람들보다 다른 사람들과 연결되고 삶의 의미를 찾는 행복을 추구하는 사람일수록 악당 유전자의 발현 정도가 낮았다. 연구에 참여한 이성하 서울대 행복연구센터 연구원은 “이런 경향은 젊은 층보다 노년층에서 더 두드러졌다”며 “삶의 의미를 찾고, 다른 사람과 좋은 관계를 맺으면 노년기 심신 건강에 이로울 수 있다”고 말했다.

● ‘삶의 의미’ 느끼는 게 핵심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은 친절 자체라기보단 친절을 베푼 뒤 따라오는 “내 삶은 꽤 괜찮다”는 느낌이다. 또 혼자가 아니라 다른 사람들과 연결돼 있다고 느낌으로써 삶에 더 만족하게 된다. 다만 한 가지 전제가 있다. 바로 자발성이다. 누가 시켜서 하는 게 아니라 마음에서 우러난 선한 영향력을 끼칠 때 이 공식이 통한다. 어쩔 수 없어서 하는 ‘비즈니스 친절’이나 형식적 봉사는 오히려 정신노동에 가깝다.

실제로 자발적 봉사활동에 나선 사람들은 심신에 좋은 영향을 받았다. 스티븐 콜 미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UCLA) 의대 교수 연구에 따르면 9개월간 초등학교 1∼3학년 문제아의 학습 멘토링 봉사를 한 성인들은 시간이 갈수록 악당 유전자 활동이 저하됐다. 아이들의 학교 적응을 도우면서 자기 삶이 ‘의미 있다’고 느꼈을 뿐 아니라 아이들과 좋은 관계를 맺으면서 긍정적 영향을 받은 덕이다.

결국 다른 사람에게 친절과 선행을 베풀면 행복감이 생겨나고, 스트레스에 의해 활성화됐던 질병 유발 유전자들의 활동이 약해진다. 꼭 거창한 일을 해야만 하는 게 아니다. 앞서 소개한 친절 베풀기 실험에 참여한 이들이 한 일은 뒤에 오는 사람 위해 문 잡아 주기, 버스에서 자리 양보하기, 직장 동료에게 감사 메모 남기기 같은 사소한 것들이었다. 이런 작은 친절이 척박한 심리 상태를 회복시키고 몸을 건강하게 만든다니 놀랍지 않은가. 새해 다짐 목록에 ‘하루 세 번 다른 사람에게 친절하기’를 추가해 보는 건 어떨까. 몸과 마음의 건강은 결코 멀리 있는 게 아니다.


최고야 기자 best@donga.com
#작은 친절#나비 효과#삶의 의미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