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재 기자의 무비홀릭]부자들 비판하는 영화를 부자가 만들어 富모은다?

  • Array
  • 입력 2012년 5월 29일 03시 00분


코멘트

두 남녀 ‘돈의 맛’ 보기

영화 ‘돈의 맛’에서 섹시한 남자 비서 역을 맡은 배우 김강우. 시너지 제공
영화 ‘돈의 맛’에서 섹시한 남자 비서 역을 맡은 배우 김강우. 시너지 제공
세상만사를 과도할 만큼 진지하게 바라보는 ‘진지남’과 매사에 불만투성이인 ‘투덜녀’가 최근 칸 영화제 경쟁부문에 출품되었다가 수상하지 못한 임상수 감독의 ‘돈의 맛’(17일 개봉)을 도마에 올렸다.

진지남=왜 ‘돈의 맛’이 상을 못 받았을까? 지난해 ‘하녀’가 칸 영화제 경쟁부문에 오른 뒤 연속해서 임상수의 작품이 경쟁부문에 초청된지라 내심 기대가 컸는데 말이야.

투덜녀=난 애초부터 이 영화가 수상하지 못하리라 확신했어. 최상류층의 사생활을 전시하면서 깐죽대기만 할 뿐 정작 감독 자신의 세계관을 찾아볼 수가 없잖아? 임 감독이 최근 내놓은 영화들을 보라고. ‘그때 그 사람들’ ‘하녀’ ‘돈의 맛’…. 알고 보면 다 똑같아. 최고권력자나 부자 같은 ‘센 놈’을 골라 씹어대고 비아냥거리는 거. 도대체 감독 자신의 생각이란 게 뭐야?

진지남=당신은 매사에 부정적이군. ‘돈의 맛’에는 일정한 미학적 성취가 있어. 느물거리는 카메라의 동물적인 움직임을 봐. 캬! 죽이잖아? 미장센도 밀도가 무지하게 높아.

투덜녀=그래봐야 뭐해? 진정한 예술은 작가가 스스로에게 끊임없는 질문을 던지는 과정이라고! 예술은 무엇인가에 대한 비판이나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지만, 결국 예술을 완성시키는 건 작가의 내면적 고민과 성찰이지. 불평불만이 예술이면 나야말로 최고의 예술가이게?

진지남=아냐. 이 영화에는 부에 대한 감독의 뚜렷한 시선이 담겨 있어. ‘부는 굴욕과 고독을 숙명적으로 부른다’는 거지. 서른 살은 어린 듯한 남자 비서의 근육질 다리에 허벅지를 비벼대면서 “오우, 컴 온 베이비” 하는 재벌 안주인을 봐. 얼마나 우스꽝스럽고 또 외로워 보이냔 말이야. 이런 냉소와 블랙유머, 그것들이 충돌하며 빚어내는 묘하게 쓸쓸한 공기, 이게 바로 임상수의 세계야.

투덜녀=돈의 맛에 중독된 사람들이 결국 스스로의 영혼을 피폐하게 만든다? 아유, 정말 ‘올드’한 문제의식 아닐까? 이 영화를 보고 나는 이상한 생각까지 들었어. ‘임상수가 부자들을 냉소하거나 미워하는 게 아니라 반대로 부자를 동경하는 건 아닐까’ 하는 생각 말이야.

진지남=오잉? 뭔 말이야?

투덜녀=잘 보라고. 최상류층을 비판한답시고 이 영화는 외려 그들의 내밀한 사생활을 구체적으로 묘사하는 데 러닝타임 절반 가까이를 할애하고 있어. 5만 원짜리 뭉칫돈을 창고에 산더미처럼 쌓아놓거나, 서민아파트 한 채 만한 크기의 서재에서 가슴 큰 필리핀 하녀와 습관처럼 섹스를 하거나, 바닷가재를 햄버거 하나 먹듯 무료하게 먹어치우는 모습들을 도착에 가깝도록 묘사하지. 하지만 나는 ‘이 부도덕한 자들’이라며 열 받기보다는 외려 ‘우왕, 나도 저렇게 한번 살아봐야 하는데’ 하고 부러워하게 되었거든? 살인마를 비판한다면서 살인마가 살인을 즐기는 101가지 짜릿한 이유를 서술하는 책과 다를 바 없단 얘기지. 이 영화는 부자를 비판하지만 결과적으론 부자에 대한 서민들의 판타지를 더욱 강화시켜. 어쩌면 이 영화가 내밀하게 숨겨놓은 상업적 노림수인지도 모르지만.

진지남=으음, 이런 현상을 두고 ‘예기치 않은 결과가 빚어내는 모순이나 부조리’, 즉 아이러니라고 불러.

투덜녀=더 웃기는 아이러니가 있어. ‘부도덕한 최상류층을 실컷 미워하라’고 부추기는 이 영화에 제작비를 투자한 것은 재벌기업이니 말이야. 부자의 돈으로 부자를 비판하는 영화를 만들어 부를 모은다?

진지남=으음, 그런 것은 아이러니가 아니고 전문용어로 ‘선순환구조’라고 하는 것이야….

이승재 기자 sjda@donga.com
#이승재기자의 무비홀릭#돈의 맛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