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물가 압력 커져…4월보다 인하 불확실 높아”

  • 뉴시스
  • 입력 2024년 5월 23일 14시 12분


코멘트

5월 금통위 기자간담회

ⓒ뉴시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4월 이후 물가 전망의 상방 리스크가 커지면서 물가 목표 수렴에 대한 확신을 좀 더 갖는 데 시간이 필요하고 금리 인하 시기와 관련한 불확실성도 커졌다”고 23일 말했다.

이 총재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한은 본부에서 통화정책방향 회의 이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물가가 목표 수준으로 수렴할 것이라는 확신이 들 때까지 현재의 긴축 기조를 충분히 유지할 것”이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

그는 “금통위원 들 간에 인하 시점을 일단 확인하고, 그 다음은 폭을 확인해야 할텐데 아직 인하 시점 불확실성이 커서 논의하지 않았다”면서 “물가 불확실성이 커져 시점이 불확실하다”고도 언급했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한은 본부에서 통방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재의 연 3.5%에서 동결했다. 지난해 2월에 이어 11차례 연속 동결로 금통위원 전원 일치 결정이었다.

이 총재는 금리 동결의 주요 배경으로 물가 불확실성을 우선 꼽았다. 그는 모두 발언을 통해 “성장세 개선과 높아진 환율로 앞으로의 물가 흐름이 지난 2월 전망경로를 소폭 상회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의 지적대로 우리나라 물가 상승률은 지난 4월 2.9%로 석 달만에 2%대로 내려왔다. 하지만 중동 불안과 하반기 공공요금 인상 불안을 비롯해 예상 밖 성장세가 물가를 자극할 우려도 있다.

다만 이 총재는 “성장률 상향이 순수출 증가에 상당부분 기인하고, 완만한 소비 회복세, 정부 대책 등이 물가 상방압력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해 연간 전망치를 조정할 정도는 아니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금리 인상 가능성에도 선을 그었다. 그는 “물가가 확실히 오르면 인상을 고려해야겠지만, 현 상황에서 가능성이 제한적”이라고 했다.

이날 금통위에서는 기준금리 만장일치 동결에도 세부 의견은 엇갈렸다. 이 총재는 “6명 중 1명은 3개월 후에도 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고 말했다.

그는 “인하 가능성을 열어둔 위원은 물가 압력에도 내수 회복세가 상대적으로 완만하고, 물가 상승률 둔화 추세가 예상되며 파급 시차를 고려해 선제적 인하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 한다고 했다”고 말했다.

다만, “5명은 물가 둔화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조이지만, 물가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으로 물가의 목표 수준 수렴 때까지 지켜볼 필요가 있는 입장을 보였다”고 했다.

한편, 한은은 이날 수정경제전망을 통해 올해 성장률 전망치로는 종전(2.1%)보다 높은 2.5%를 제시했다.

이 총재는 “2월 전망과 비교해 글로벌 IT 경기 호조와 미국 경제의 강한 성장 등 대외 요인이 0.3%포인트 상향 조정된 요인으로 작용했고, 내수 부진 완화 등 대내외 요인도 0.1%포인트 높아졌다”고 했다.

물가 전망치는 기존과 같은 2.6%를 전망했다. 상반기 물가 전망치는 기존과 같은 2.9%를 제시했지만, 하반기는 2.4%로 기존보다 0.1%포인트 높여 잡았다.

그는 “성장세가 높아졌지만, 대부분 물가 영향이 크지 않은 순수출 증가에 상당 부분 기인했고, 완만한 소비 회복세, 정부 대책 등이 물가 상방 압력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울=뉴시스]
#이창용#한국은행#물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