얽히고 섥킨 네이버-소뱅 ‘라인’ 동맹…해외 사업 영향권 있나

  • 뉴시스
  • 입력 2024년 5월 17일 15시 57분


코멘트

日 라인, 제페토 운영 '네이버제트', 라인게임즈, 라인망가 등 지분 보유
라인 해외사업 운영 라인플러스 지분도 라인야후가 100% 보유

ⓒ뉴시스
네이버가 일본 총무성의 행정지도 이후 소프트뱅크와 라인야후 지주사(A홀딩스) 지분 협상을 진행 중인 가운데 일본 라인야후와 지분이 얽혀 있는 네이버 관계사들의 향방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현재 시장에서 예상하는 지분 협상 시나리오는 네이버가 A홀딩스 지분 일부를 소프트뱅크에 매각하고 2대 주주로 내려오는 게 유력하게 거론된다. 다만 메신저 라인의 일본 사업권을 넘어 태국, 대만 등 해외 사업권과 더불어 라인야후가 지분을 보유한 기업들의 경영권 역시 소프트뱅크측에 넘어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1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라인야후의 해외 자회사 및 연결회사 지분은 라인야후 지분 100% 보유 자회사 ‘Z인터미디어트글로벌코퍼레이션(전 라인코퍼레이션·이하 Z인터미디어트)’이 보유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Z인터미디어트는 라인플러스(100%), 라인게임즈(35.7%), 네이버제트(18.8%) IPX(전 라인프렌즈·지분율 52.16%) 등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글로벌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를 운영하고 있는 네이버제트에 대한 Z인터미디어트의 지분이 늘어난 점에 업계는 주목하고 있다. 네이버 자회사 스노우는 지난 3월 네이버제트 보통주 3만559주를 라인플러스와 Z인터미디어트에 928억원에 매도한 바 있다. 이에 따라 네이버제트의 최대 주주인 스노우의 지분율은 67.4%에서 46.8%로 줄어들었고, Z인터미디어트가 2대 주주로 지분 18.78%를 확보했다. 라인플러스 보유 스노우 지분은 1.82%다.

라인이 최근 일본에서 제페토 인기가 높아지고 있는 데 주목, 시너지를 강화하기 위해 스노우 지분을 소각한 뒤 네이버제트의 지분을 사들인 것이다. 네이버제트는 올해 일본에서 본격적으로 제페토 사업을 확장하겠다는 목표다.

여기에 기존 소프트뱅크비전펀드(15.13%), SVA 제페토 메타버스(2.45%), 라인플러스(1.82%)에 Z중간글로벌주식회사(18.78%) 등 지분을 합치면 네이버제트에 대한 소프트뱅크 측 우호 지분이 40%에 육박한다.

IT업계 한 관계자는 “네이버제트에 대한 라인 지분이 늘어났다고 하더라도 최대주주는 여전히 네이버 자회사인 스노우”라며 “최대 주주가 어디인지가 중요하기 때문에, 소프트뱅크의 A홀딩스 지분 추가 취득이 네이버제트 지분을 위협하는 수준은 아니라고 본다”라고 분석했다.

반면 또 다른 IT업계 관계자는 “소프트뱅크가 라인야후 지분을 추가로 취득한다면 2대 주주라고 하더라도 이들 기업에 경영에 간섭하거나, 공개매수를 통해 지분을 추가 매수하려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라며 “라인야후 최대주주가 소프트뱅크가 된다면 라인야후가 지분을 가지고 있는 계열사들에 2대주주로서 경영간섭하면서 지분을 늘릴 명분을 만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일본 인기 디지털 만화 서비스 ‘라인망가’도 변수다. 네이버의 웹툰 사업을 총괄하는 웹툰엔터테인먼트는 라인망가 운영사인 라인디지털프론티어의 지분 70%를 들고 있다. 웹툰엔터테인먼트는 네이버(71.2%)와 라인야후(28.7%)가 지분을 나눠 가졌다. 라인디지털프론티어 자체는 웹툰엔터테인먼트(70%)와 네이버웹툰(30%)이 지분을 양분하고 있지만 웹툰엔터테인먼트의 일부 지분을 라인야후가 보유하고 있는 것이다.

앞서 네이버와 소프트뱅크는 2021년 라인과 야후재팬 운영사인 Z홀딩스 경영을 통합했다. 이어 라인과 야후재팬이 지난해 10월 합병해 ‘라인야후’가 탄생했다. 네이버와 소프트뱅크는 라인야후 모회사인 A홀딩스 지분을 각각 50%씩 보유하고 있다. A홀딩스는 라인야후 지분 65%를 갖고 있다.

업계에서는 네이버가 소프트뱅크와 지분 협상에서 동남아, 대만 등 일본을 제외한 라인 해외사업권을 가져오는 방안이 유력하다고 거론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IT업계의 한 관계자는 “라인플러스 지분 100%를 보유한 모회사가 라인야후인데 동남아, 대만 사업을 분리한다는 자체가 현실적으로, 기술적으로 어렵다고 본다”라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