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세계국채지수 편입 불발… 관찰대상국 유지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3월 29일 03시 00분


‘시장 접근성 아직 부족’ 판단한 듯
규모-신용 충족… 9월 편입 가능성

한국이 세계 3대 채권지수인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에 실패했다.

27일(현지 시간) WGBI를 관리하는 영국 파이낸셜타임스 스톡익스체인지(FTSE) 러셀은 한국을 국채 지수에 편입시키지 않은 채 관찰대상국 지위를 유지한다고 발표했다. FTSE 러셀은 국채 발행 규모, 국가 신용등급, 시장 접근성 등을 따져서 매년 3월과 9월 WGBI 편입 여부를 정기적으로 결정한다.

한국은 2022년 9월 WGBI 편입 고려를 위한 관찰대상국에 올랐다. 국채 발행 규모나 국가 신용등급 요건은 충족했지만 아직 시장 접근성이 부족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정부는 외국인 투자가의 국채 시장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지난해 1월부터 외국인 국채 투자 소득에 대한 비과세를 시행 중이며 외국인 투자가 등록제(IRC)도 폐지했다.

업계에서는 9월에는 WGBI에 편입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정부에서 시장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제도 개선을 추진하는 데다 관찰대상국 등재 이후 최종 편입까지 통상 2년 정도 소요된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FTSE 러셀도 이날 한국의 관찰대상국 지위 유지를 발표하면서 “한국 정부는 국제 투자자들의 국채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한 계획을 계속 진전시키고 있다”고 설명했다.

세계국채지수는 23개 주요국 국채가 편입된 선진 채권지수로 자금 규모만 2조5000억 달러(약 3371조 원)에 달한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한국이 WGBI에 편입될 경우 지수 추종 자금을 중심으로 80조∼90조 원가량의 외국인 투자금이 국채로 유입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날 FTSE 러셀은 인도의 지수 편입도 보류했다. 현재 명목 국내총생산(GDP) 기준 세계 10대국 가운데 WGBI에 편입되지 않은 나라는 한국과 인도뿐이다.

#세계국채지수#wgbi#관찰대상국 유지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2

추천 많은 댓글

  • 2024-03-29 11:26:20

    '거버넌스'가 약하거나 불량한 국가로부터 재화, 용역, 금이나 외국환처럼 태환이 국내로 유입해 우리 '거버넌스'까지 약해지고 사건, 사고가 끊이질 않는다? 그럼 바다로 이어진 강어귀에 바닷물의 역류를 막는 하구언을 세우든지 해서 막는 것처럼 규제를 높여서 막고, 만약 '거버넌스'가 우량한 국가의 재화, 용역, 태환이 유입되면 국민 후생도 비례적으로 좋아질 것이다, 합리적 추론을 하는 게 순서지 '통화 주권론'처럼 인간띠로 바닷물을 막는다? 무슨 환경론자들인가? 그런 논리는 위험하다는 거죠.

  • 2024-03-29 11:04:33

    세계 국채 지수에 편입하고 정책 이자율이 내려가는 게 맞지 통화 주권론이라든지 보호주의 주장하면서 은행 이자율 올리는 건 국민들에게 굉장한 '로스'죠.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