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사상 최고 매출이었는데…‘백화점 빅3’, 실적 꺾인 이유

  • 뉴시스
  • 입력 2023년 11월 18일 14시 38분


코멘트

명품 보복소비 꺾이고, 이상 고온 현상으로 패션 수요 부진 영향
4Q 정기 할인행사 등 소비 진작 프로모션 사활…점포 리뉴얼도

지난해 사상 최고 실적을 올린 백화점업계가 올 들어 성장세가 꺾이는 모습이다.

지난해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영향으로 소비자들이 다시 오프라인 매장을 찾고, 명품 보복소비에 모임이 늘며 패션·뷰티 수요가 크게 증가해 신세계·현대 백화점은 사상 최고 매출 실적을 올렸다.

롯데백화점은 코로나19 사태 3년 만에 매출 3조원대를 회복하는 등 기록적인 실적을 이어갔다.

그러나 올 3분기 롯데·신세계·현대 등 국내 3대 주요 백화점 실적을 보면, 매출은 소폭 증가했거나 꺾였고 영업이익은 모두 두 자릿수 감소했다.

지난해 기록적인 실적을 이끈 명품 보복 소비 효과가 약해진 데다 가을철 이상고온 현상으로 패션 수요가 부진해진 영향이다. 여기에 각종 물가 상승으로 관리비, 판촉비 등 비용 출혈이 컸던 것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백화점의 3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 감소한 7530억원, 영업이익은 31.8% 줄어든 740억원에 그쳤다.

같은 기간 신세계백화점의 3분기 매출은 0.9% 감소한 6043억원, 영업이익은 15.1% 줄어든 928억원을 기록했다. 현대백화점은 3분기 매출은 5802억원으로 3.5%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798억원으로 17.4% 줄었다.

백화점업계 관계자는 “지난해까지 명품이 잘 팔리며 실적을 이끌었지만, 올해는 여행 등으로 소비가 분산되며 명품 매출이 확실히 꺾였다”며 “여기에 통상 9월부터 FW(가을·겨울) 패션 수요가 높아지는데 올해는 10월까지 따뜻한 날씨가 이어져 남녀패션, 스포츠 아웃도어, 골프 등 패션 전반 카테고리가 부진했다”고 설명했다.

실제 산업통상자원부가 집계한 백화점 3사의 매출 동향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명품으로 분류되는 ‘해외유명브랜드’의 매출은 지난 7월 3.7%로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하다 8~9월 각각 7.6%, 3.5%로 역신장했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해외유명브랜드’ 매출은 두 자릿수 성장했고, 올해 1월(7.2%하락) 역신장을 기록한 뒤 줄곧 한 자릿수 신장에 머물렀는데 3분기들어 두 달 연속 매출 하락세가 이어진 것이다. 이에 백화점 전체 매출에서 30%를 웃도는 ‘해외유명브랜드’ 매출 비중은 9월 역신장으로 29.1%로 떨어졌다.

명품뿐 아니라 이상고온 현상에 9월 패션 매출도 부진했다. 여성정장(7.5%↓), 여성캐주얼(1.3%↓), 남성의류(11.4%↓), 아동스포츠(4.3%↓), 잡화(0.2%↓) 등 비식품품목 대부분이 전년 동기 대비 역신장했다.

4분기에는 주춤했던 패션 수요를 끌어올려 실적 회복에 나선다.

지난해 11월은 ‘이태원 참사’의 영향으로 대형 유통업체들이 마케팅 활동을 전면 중단했고, 그 영향으로 통상 백화점의 패션 매출은 12월보다 11월이 높은 편인데 지난해엔 이례적으로 11월과 12월의 매출이 대동소이했다.

그런 만큼 올해 11월은 대대적인 소비 진작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또 올해 9~10월 따뜻한 날씨로 FW 패션 수요가 부진했던 만큼 비교적 쌀쌀해진 11월 수요가 몰릴 것으로 보고, 17일부터 다음 달 초까지 백화점 정기 할인행사에 총력을 다한다는 계획이다.

여기에 점포 리뉴얼을 통한 집객 효과를 극대화한다.

롯데백화점은 인천점, 수원점 등 점포 리뉴얼을 진행 중인데 인천점 식품관은 12월 개관하고, 수원점은 내년 4월까지 리뉴얼을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신세계도 강남점 식품관 리뉴얼을 15년 만에 추진해 현재 면적 2200여 평의 규모를 6000여 평으로 늘려 국내 최대 규모로 재탄생시킨다는 계획이다.

현대백화점은 이달 본점 하이엔드 리빙관 리뉴얼을 오픈했다. 리뉴얼 외에 다음 달 더현대 서울 루이비통 입점, 판교점 디올 입점, 더현대 대구 부쉐론 입점 등 명품 브랜드가 줄줄이 신규 입점해 매출 성장을 도모한다는 계획이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