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 정상화” 경영혁신위 설치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8월 11일 03시 00분


코멘트

중앙회장 수사 경영공백 우려
재무건전성 개선 등 자문 역할
관계기관 추천 12명으로 구성

새마을금고가 재무건전성 개선과 경영 혁신을 자문할 ‘경영혁신위원회’를 발족하기로 했다. 박차훈 중앙회장, 류혁 신용공제 부문 대표 등 수뇌부들이 잇따라 검찰 수사를 받으면서 경영 공백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새마을금고중앙회는 10일 이사회를 열고 경영혁신위원회 설치를 의결했다고 밝혔다. 금융권 고위 관계자는 “일부 이사회가 반대하는 기류도 있었던 것도 사실”이라며 “행정안전부 차원에서 새마을금고 정상화를 위해 힘쓰고 있는 점을 고려해 대승적으로 설치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경영혁신위원회는 관계 기관과 새마을금고중앙회 이사회의 추천을 받아 총 12명으로 구성됐다. 행정안전부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한국은행, 예금보험공사 등이 위원회 구성원을 추천했다. 새마을금고중앙회 이사회에서는 네 명의 이사가 위원회에 포함됐다. 위원장으로는 김성렬 전 행정자치부 차관이 내정됐다. 위원장은 상근, 나머지 위원들은 비상근 형태로 각각 근무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정부가 이 같은 논의를 이어가는 건 새마을금고의 경영 위험이 더 이상 확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다. 현재 새마을금고중앙회의 핵심 수뇌부라 할 수 있는 박 회장, 류 대표 등이 검찰의 수사를 받고 있다. 두 사람에 대한 구속 영장이 연이어 기각됐지만 검찰은 영장을 재청구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자산 규모 284조 원에 달하는 새마을금고중앙회의 경영 불확실성이 여전히 크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금융당국뿐 아니라 정치권에서도 새마을금고 관리, 감독을 강화하는 기조여서 ‘감독 사각지대’로 비판받아온 새마을금고에 변화가 생길지 주목된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새마을금고를 국정감사에서 감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현재 농협중앙회와 수협중앙회를 제외한 협동조합중앙회도 국감 필수 대상이 아니다. 국감 필수 대상으로 지정되면 국회 요청에 따라 각종 자료를 제출할 의무가 있어 새마을금고의 도덕적 해이를 바로잡고 내부 통제를 강화하는 효과가 있을 전망이다.

앞서 더불어민주당 강병원 의원은 지난달 13일 새마을금고 신용사업에 대한 감독권을 행안부에서 금융위로 이관하는 내용이 담긴 새마을금고법 개정안을 대표발의한 바 있다. 다만 새마을금고 소관 부처인 행안부가 이관에 소극적이고 금융위도 감독권을 당장 넘겨받기 부담스러워하는 점은 변수로 꼽힌다.

금융당국 고위 관계자는 “현재 상태로는 새마을금고의 정상화가 도저히 불가능하다는 점을 관계 부처 모두 공감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번에 설치될 위원회는 차기 회장을 선임하는 업무까지 맡게 될 것 같다”고 말했다.


강우석 기자 wskang@donga.com
#새마을금고#정상화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