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로 가는 ‘하늘길’ 다시 붐빈다…국제선 전년比 70% 급증

  • 뉴시스
  • 입력 2023년 8월 1일 11시 04분


코멘트

국토부, 2023년 상반기 항공교통량 집계 결과 공개
전체 항공교통량 총 35만1412대…전년 比 31.2% ↑

올해 상반기 우리나라 하늘길을 이용한 항공기 대수가 전년 대비 30% 이상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국제선 항공기는 전년 대비 70% 이상 급증했다.

국토교통부가 1일 발표한 ‘2023년 상반기 항공교통량 집계’ 결과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항공교통량은 총 35만1412대(일 평균 1941대)로 전년 대비 약 31.2%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항공기 운영자가 국토교통부에 제출한 비행계획서를 기준으로 집계한 것으로 연간 항공교통량 상승률은 ▲2019년 4.7%에서 코로나19 발생 이후인 ▲2020년 -50.1%까지 떨어졌다가 ▲2021년 10.8% ▲2022년 16.0%에 이어 올 상반기 31.2%까지 상승했다.

먼저 올 상반기 우리나라 상공에서 운행된 국제선은 23만3720대(일 평균 1291대)로, 전년 대비 70.5% 급증했다. 국제선 중 공항에 이착륙한 항공기는 18만9249대(일 평균 1045대), 상공을 통과해 비행한 항공기는 4만4471대(일 평균 246대)였다.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국제선은 월평균 약 5.2%씩 증가했으며, 국내선을 포함한 전체 교통량은 월평균 약 4.1%씩 상승해 2022년 월평균 증가 추이(1.6%)를 크게 상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2023년도 상반기 항공교통량은 2019년도 대비, 전체의 84% 수준을 기록했으며, 항공 수요 증가에 따라 지난 4월을 기점으로 하루 평균 2000대를 넘어서며 항공교통량이 상당량 회복했다고 국토부는 밝혔다.

노선별로 한-중 노선 항공교통 수요는 아직 더디지만, 일본과 동남아 지역 중심의 신규 취항·증편 등에 따라 국제선이 전년 대비 70% 이상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전체 국제 교통량 중 약 46%가 수도권과 제주 남단을 잇는 동남아·남중국 방면을 진출입 한 것으로 집계됐다.

한편 올 상반기 국내선 항공 교통량은 총 11만7692대(일 평균 650대)로 전년 대비 10.0%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간 해외여행의 어려움으로 인해 몰렸던 국내 항공교통 수요가 국제 항공편의 증가로 다시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2019년 당시 국내 교통량과 비슷한 수준인 것이라는 것이 국토부 설명이다.

공항별로는 국제선 회복에 따라 전년 대비 인천공항(63.7%↑)과 김해·대구공항의 교통량 증가 폭이 두드러졌으며, 제주·김포공항 등 국내선 위주의 대다수 공항은 항공교통량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유경수 국토부 항공안전정책관은 “중국노선의 항공 수요가 본격적으로 회복되면 코로나 이전 교통량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며 “항공교통량 변동 추이를 지속적으로 면밀히 모니터링해 안전하고 효율적인 항공교통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