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 호주에 ‘레드백’ 장갑차 5조원 규모 수출 유력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7월 27일 15시 46분


코멘트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레드백 궤도장갑차. 2022.5.29/뉴스1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레드백 궤도장갑차. 2022.5.29/뉴스1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미래형 궤도 장갑차인 ‘레드백(Redback)’을 호주에 수출할 게 유력시된다. 호주 정부의 보병전투차량 도입 사업의 우선협상대상자로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선정됐다. 최종 계약이 체결되면 독일과 미국 등 글로벌 선진 업체를 제치고 국내 처음으로 해외 특정 국가를 대상으로 기획된 무기가 수출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호주군 현대화 사업인 ‘LAND 400 Phase3’ 보병전투차량 최종 후보 2개 중 레드백이 우선협상대상 기종에 선정됐다고 27일 밝혔다. 같은 날 호주 현지 매체 ABC뉴스는 “한화가 독일의 라인메탈을 제치고 60억 호주달러(약 5조2000억 원) 계약을 따냈다”고 보도했다.

이번 사업은 호주군이 1960년대에 도입한 미국제 M113 장갑차를 교체하기 위한 것이다. 계약이 체결되면 호주군은 2027년 하반기(7~12월)부터 레드백 129대를 순차 배치한다. 이번 사업에는 글로벌 선진 방산 기업인 미국 제너럴다이내믹스의 ‘에이잭스’, 영국 BAE시스템스의 ‘CV90’, 독일 라인메탈사의 ‘링크스’가 레드백과 경쟁했고 2019년 9월에 레드백과 링크스 등 2개 기종이 최종 후보에 올랐다.

레드백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국내 방산 기업 사상 처음으로 수출용으로 기획·개발한 무기체계다. 자주포와 장갑차 등 지상 장비 분야에서 축적한 기술과 경험을 바탕으로 개발됐다. 통상 국내 군의 수요에 맞춰 개발한 무기를 추후 수출과 병행하는 것과 달리 처음부터 수출을 목표로 만들어진 것이다.

레드백에는 이스라엘 방호 전문 업체인 플라산과의 기술 협력을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특수 방호 설계 및 강화 구조가 적용됐다. 차량 하부 공간에는 특수 설계된 폭발 충격 완화 장치를 추가로 장착했다. 복합소재 고무궤도를 장착하면서 주행 성능과 내구성이 크게 향상됐고 진동과 소음은 대폭 줄였다. 차량 내부에서도 외부 360도 전 방향 감시가 가능한 특수 헬멧 등 최첨단 센서와 최신 기술이 집약된 T2000 포탑이 탑재된다.

이번 레드백 수주전 성공에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도 뒷받침됐다. 방위사업청과 육군은 ‘수출용 무기체계 군 시범 운용’의 일환으로 지난해 4, 5월 레드백을 시범 운용함으로써 △기동성 △운용 편의 △전술 운용 등의 우수성을 대외적으로 입증해 보였다. 국가안보실도 대통령 직속의 ‘방산 수출 컨트롤타워’를 설립하고 수출 지원에 나섰다.

계약이 최종적으로 이뤄지면 레드백은 호주 빅토리아주 절롱에 건설 중인 공장 H-ACE에서 생산될 예정이다. H-ACE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호주형 K9 자주포인 헌츠맨 AS9과 탄약 운반차인 AS10을 생산하는 곳으로 2024년에 완공될 예정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앞서 지난해에도 폴란드에 자주포 K9과 다연장 로켓 천무 수출을 성공시켰다. 이날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올해 2분기(4~6월) 연결 기준 매출 1조7981억 원, 영업이익 831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특히 방산 사업부문에서 올해 4월 합병한 한화방산 실적이 반영되면서 매출 6001억 원, 영업이익 23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80%, 58% 증가했다.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은 “한국을 대표하는 방산 기업으로서 우방국의 국가 안보 강화를 통한 세계 평화와 국제 정세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지속적인 투자와 연구개발로 K 방산의 해외진출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곽도영 기자 now@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