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킹산직’ 기아 생산직 신규 채용…“고용세습에 막혔다”

  • 뉴시스
  • 입력 2023년 7월 27일 14시 21분


코멘트

기아 노조 여전히 고용세습 조항 유지
정부 명령에도 시정조치 계속 미뤄져
사측에 지속해서 신규 채용 요구하지만
사측은 세습조항 시정 전 어렵다는 입장
기아 생산직 채용에 사회적 관심 높지만
언제 신규 채용 공고 날지는 미지수

기아의 올해 생산직 신규 채용이 기약 없이 지연되고 있다. 기아 노사의 단체협약에 포함된 ‘고용세습’ 조항 때문이다.

이 조항과 별도로 신규 채용 진행을 바라는 노조와 이 조항 삭제 전에는 신규 채용이 어렵다는 사측 입장이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 노사는 지난 25일과 26일 경기 광명시 소하동 소재 공장에서 2023년도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 실무교섭을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노조는 하루빨리 생산직 신규 채용을 진행해달라고 요구했지만, 사측은 고용세습 조항 시정을 먼저 선행해야 한다고 맞섰다.

기아 노사가 맺은 단체협약에는 ‘재직 중 질병으로 사망한 조합원의 직계가족 1인, 정년 퇴직자 및 25년 이상 장기 근속자 자녀를 우선 채용한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기아 노조원 자녀는 사실상 기아 입사를 보장받을 수 있는 것이다.

고용노동부는 지난 2월 이 조항이 균등한 취업 기회를 보장한 헌법과 고용정책기본법을 위반한다고 판단, 기아 노사에 해당 조항을 폐지하라고 시정 명령을 내렸다. 하지만 기아 노조는 해당 조항이 지난 10여년간 적용된 적이 없는 사문화 조항이라는 이유로 시정을 거부하고 있다.

기아 노조의 고용세습 조항 시정 거부로 기아의 생산직 신규 채용은 계속 미뤄지는 모양새다. 기아는 지난해 100명의 생산직 직원을 채용한 데 이어 올해에도 비슷한 규모의 채용을 진행할 예정이었다. 기아의 지난해 생산직 채용에는 5만명 이상 지원자가 몰리며 500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보인 바 있다.

기아는 지난해 말 기준 1인 평균 급여액이 1억1200만원으로 국내 대기업 중 최고 수준이다. 평균 근속연수도 22년4개월에 달하며, 만 60세 정년이 보장된다. 노조는 최근 만 65세 정년 연장까지 추진 중이다.

특히 기아의 생산직 신규 채용은 나이와 전공, 학력에 제한을 두지 않고 뽑아 사회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앞서 현대차가 지난해 3월 진행한 생산직 공채에도 400명 모집에 18만여 명이 몰리며 채용 홈페이지가 먹통이 될 정도였다.

업계 관계자는 “노조가 고용세습 조항은 그대로 놔둔 채 생산직 신규 채용을 계속 종용하는 것은 누가 봐도 이상하다”며 “노조가 정부의 시정명령도 무시하는 상황에서 회사가 노조의 요구대로 채용을 진행하기는 부담스러울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기아 노조는 올해 임단협에서 신규 채용 이외에도 ▲임금피크제 폐지 ▲만 65세 정년 연장 ▲미래차 국내 공장 신설 ▲친환경차 핵심 부품 및 전장 부품 내재화 ▲PT(파워트레인)부문 고용 확보 ▲동희오토(협력사) 법인통합 등을 요구하고 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