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총재 “금통위 전원, 기준금리 3.75% 인상 여지 열어놔”

  • 뉴스1
  • 입력 2023년 5월 25일 11시 30분


코멘트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5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뉴스1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5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뉴스1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25일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위원 6명 전원이 최종 기준금리로 3.75%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서울 중구 한은 본부에서 금통위 회의 직후 기자 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말했다. 앞서 금통위는 기준금리를 연 3.50% 수준에서 3연속 동결했다.

이 총재의 발언은 의장인 총재를 제외한 6명의 금통위원 모두가 향후 기준금리를 3.75%로 0.25%포인트(p) 올릴 여지를 뒀다는 얘기다.

이 총재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라며 “소비자물가가 둔화하고 있지만 근원물가 둔화 속도가 예상보다 더디기 때문에 근원물가 속도를 점검해야 한다는 데 공감대가 있었다”고 전했다.

또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금리 인상을 중단할지, 더 계속할지가 국내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기준금리 인하 시기를 언급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는 종전 태도를 유지했다.

이 총재는 “연내 기준금리 인하에 대해 시장의 반응이 과도하다는 말씀을 드린 바 있다”며 “금리 인하를 못박지 않는 첫 번째 이유는 그간의 금리 인상이 경제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앞으로 기준금리를 어떻게 결정할지 지켜봐야 한다”며 “성급한 결정보단 연준의 결정에 따른 영향을 보고 결정하는 것이 좋다”고 언급했다.

금리 인하에 따른 금융 불안 가능성도 지적했다. 이 총재는 “금리를 너무 조급히 내릴 경우 금융 불안정을 다시 촉발할 수 있는 위험은 없는지 중장기적으로 검토한 다음에 인하에 대해서 생각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결론적으로 금리 인하는 가장 크게는 물가가 확실히 2% 목표 수준으로 수렴한다는 증거가 있기 전까진 인하 시기 언급은 시기상조”라고 강조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