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韓 선박 수주량 전 세계의 37%…중국에 밀려 2위

  • 뉴스1
  • 입력 2023년 1월 5일 11시 04분


코멘트
대우조선해양 선박. /뉴스1 자료사진
대우조선해양 선박. /뉴스1 자료사진
국내 조선업계가 지난해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의 37%를 수주하며 중국에 이어 2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에서 4204만CGT(1243억달러)의 선박이 발주됐는데, 이중 37%인 1559만CGT(453억달러)를 국내 조선업계가 수주했다.

2018년(38%) 이후 최대 수주 점유율로 2021년보다 4%p 성장했다.

중국은 전 세계 발주량의 48.8%를 차지하며 세계 1위를 기록했다.

지난해 선발 발주량은 전년(5362만CGT) 대비 22% 감소했다. 컨테이너선 42%, 탱커 52%, 벌커 57%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고부가가치·친환경 선박 부문에서 시장 점유율 1위를 달성했다. 고부가가치 선박은 전세계 발주량 2079만CGT(270척) 중 58%에 해당하는 1198만 CGT(149척)를 국내 조선업계가 수주했다.

최근 역대 최고 선가를 경신 중인 대형 LNG운반선의 경우 전세계 발주량 1452만 CGT의 70%에 해당하는 1012만 CGT를 수주한 것으로 집계됐다.

또 친환경 선박에서도 우리나라는 전세계 발주량 2606만CGT 중 50%인 1312만CGT를 수주했다.

친환경 선박의 추진 연료별로는 우리나라 수주량 중 약 92%가 LNG 추진 선박이며, 이어 메탄올 추진 선박 5%, LPG 추진 선박이 3%를 차지했다.

기업별로는 우리나라 대형 조선 5사 모두 목표 수주액을 초과 달성했다.

한국조선해양은 239억9000만달러(197척), 삼성중공업 94억달러(49척), 대우조선해양 104억달러(46척) 상당을 수주하며 목표치를 38%, 7%, 16%를 각각 초과했다.

산업부는 조선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올해 1300억원을 조선 분야 핵심 기자재 기술개발과 인력양성 등에 투입할 예정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최근 개선된 수주물량이 차질없이 건조될 수 있도록 국내 구직자 대상 인력양성사업을 시행할 예정”이라며 “외국인력 도입제도의 지속적 개선을 통해 조선업 인력난 해소에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세종=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