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엔진개발센터 폐지 배터리센터 신설

  • 동아일보
  • 입력 2021년 12월 23일 21시 29분


코멘트

전기차 중점 개발 초점… R&D 본부 개편

뉴스1
현대자동차그룹이 엔진개발센터를 없애고 배터리개발센터를 신설하는 내용의 연구개발본부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내연기관보다 전기를 기반으로 구동하는 차량(전동화 모델)을 중점 개발해 전기차 전환 속도를 높이겠다는 의도다.

23일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17일 연구개발(R&D)본부는 산하 파워트레인 담당 조직을 전동화개발 담당으로 변경하는 내용의 조직 개편을 진행했다. 엔진개발센터는 폐지됐고, 배터리개발센터가 새로 추가됐다. 배터리개발센터는 배터리설계실, 배터리성능개발실, 배터리선행개발실 등을 거느린다. 아울러 파워트레인 담당 산하에 있던 파워트레인 시스템 개발센터를 전동화시험센터, 파워트레인 성능개발센터를 전동화성능개발센터, 파워트레인지원담당을 전동화지원팀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현대차그룹은 내연기관 개발 조직 자체를 없앤 것은 아니라고 설명했다. 다만 전기차처럼 전기를 기반으로 하는 차량들을 중점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조직 개편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조직개편을 통해 현대차 R&D 본부에는 파워트레인이라는 명칭을 쓰는 조직은 모두 사라지게 됐다. 또한 프로젝트 메니지먼트(PM) 담당과 제품통합개발 담당 조직을 합쳐 실제 개발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도록 개편했다. 또한 담당 조직 상당수를 폐지해 의사결정 과정이 단순화 되도록 했다.

이번 현대차그룹 인사를 통해 신임 연구개발본부장을 맡은 박정국 사장은 직원들에게 보낸 이메일에서 “급변하는 시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의사결정을 효율화하고 적극적인 전동화를 추진한다”고 조직개편 배경을 설명했다.

자동차 업계에서는 고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이 1983년 엔진개발실을 세운 뒤 알파, 베타, 세타 등 다양한 엔진을 내놓으며 현대차 성능 향상을 이끈 내연기관 조직이 사실상 해체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만큼 현대차 그룹 자동차의 무게 중심이 전기차 위주로 옮겨갈 것임을 예고하는 조치로 해석되고 있다. 앞서 장재훈 현대차 사장은 현대차그룹의 2026년까지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을 170만 대로 상향 조정을 검토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다만 현대차 측은 신흥국 등에서 내연기관 수요가 여전한 만큼 이를 완전히 포기하는 것은 아니며, 지속적인 성능 개선도 병행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건혁 기자 gu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