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보호 얼마든지 다른 수단으로 가능"
"결제시스템 안전성 건드리는 건 번지수 다른 문제"

이 총재는 23일 임시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 대한 한은 업무보고에서 은 위원장이 빅브라더 논란과 관련해 “전화통화기록이 통신사에 남는다고 통신사를 빅브라더라고 할 수 있느냐”고 반문한 것에 대해 “통신사와 비교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고 본다”고 맞받아쳤다.
그는 “통신사라 하더라도 여러 통신사들이 갖고 있는 기록을 강제적으로 한 곳에 모아놓고 그 곳을 들여다볼 수 있도록 하는 것 자체는 빅브라더”라며 “(고객정보)를 모아 놓고, 볼 수 있는 것 자체가 빅브라더 문제에서 피할 수 없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한은은 지급결제시스템 관리.감독 업무는 중앙은행의 고유 권한인데 금융위가 그 영역을 침범한다고 보고 있다. 금융위는 소비자 보호 차원에서 전금법 개정안 추진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이 총재는 “금융결제원에 빅테크 기업의 내부거래 정보를 집중시켜 관리하는 건 소비자 보호와는 관련이 없다고 본다”면서 “소비자 보호는 얼마든지 다른 수단으로 가능하다. 전금법 다른 조항에 소비자 호보를 위한 장치는 이미 마련돼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기관간 밥그릇 싸움으로 비화될 것 같아 조심스럽지만 중앙은행 본연의 기능을 감독 당국이 컨트롤 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도 꼬집었다. 그러면서 “지급결제시스템은 안전성이 생명인데 빅테크 업체의 내부거래 정보까지 금융결제원에 넘어가게 되면 이질적인 업무가 섞여 시스템이 훼손될 수 있다”며 “감독 차원에서 소비자 보호를 해야 한다는 것은 그 목적에 맞게 얼마든지 할 수 있다. 결제시스템의 안전성을 건드리는 것은 번지수가 다른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송평인 칼럼]박범계를 지켜보는 게 고통스러운 이유
[김순덕의 도발]김어준의 뉴스공장, 세금으로 들어야 하나
최순실 “국가·국민 기망한 안민석 국회의원직 박탈하라”
떠나는 이성윤 측근 “檢개혁, 특정집단 아닌 국민 위해야”
홍준표 “사찰 겁낼 정도면 공직자해선 안 돼…투명하면 문제없어”
이수정, ‘나경원 캠프’ 합류…“정치는 안해”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