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에 ‘경제 허리층’ 근로소득 감소…60세 이상은 증가

  • 뉴시스
  • 입력 2020년 11월 21일 06시 06분


코멘트

39세 이하 가구 근로소득 4.3%↓…40대 가구 1.3%↓
60세 이상 가구 근로소득 5.0%↑…노인일자리 영향
월평균 가구 소득, 60세 이상에서 증가율 가장 높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가계 충격이 30대와 40대 등 ‘경제 허리층’에서 더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60세 이상 가구의 소득은 다른 연령층과 비교했을 때 증가율이 가장 두드러졌다. 정부의 직접 일자리 정책 등의 영향으로 근로소득이 많이 늘어나면서 전체 소득을 끌어올렸다는 분석이 나온다.

21일 통계청의 ‘2020년 3분기 가계동향 결과’에 따르면 전국 2인 이상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530만5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1.6% 증가했다. 이중 근로소득은 347만7000원으로 전년보다 1.1% 감소했다.

이를 연령별로 살펴보면 39세 이하와 40대 가구에서 근로소득이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3분기 39세 이하 가구의 근로소득은 387만원으로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4.3% 쪼그라들었다. 40대 가구의 근로소득도 441만3000원으로 1년 전보다 1.3% 뒷걸음질했다.

39세 이하 가구의 근로소득은 지난해 1분기(-2.7%) 이후 계속 오름세를 보이다가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올해 2분기(-2.2%)부터 감소세를 보였다. 40대 가구도 2017년 4분기(-3.1%) 때 저점을 찍고 계속 증가세를 보였다. 하지만 지난 2분기(-7.0%)부터 다시 내림세로 돌아선 이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반면 60세 이상 가구의 근로소득은 173만4000원으로 1년 전보다 5.0% 증가했다. ‘경제 허리층’ 39세 이하와 40대 가구는 일해서 번 소득이 줄었지만, 60세 이상 고령층에서는 크게 증가한 셈이다. 50대 가구의 근로소득도 전년보다 2.0% 늘었다.

정부의 재정이 투입된 직접 일자리 사업의 효과가 컸던 것으로 분석된다. 통계청 관계자는 60세 이상의 경우 3분기에 취업자 수가 가장 많이 증가했다“며 ”정부의 노인 일자리 정책 영향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통계청의 ‘고용동향’을 보면 3분기(7~9월) 취업자 수는 60세 이상에서만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60세 이상 취업자는 7월(37만9000명), 8월(38만4000명), 9월(41만9000명) 증가했지만, 60세 이상을 제외한 전 연령층에서는 취업자가 감소했다.

근로 소득의 증가로 60세 이상 가구의 전체 월평균 소득 증가 폭도 다른 연령층 가구보다 컸다. 60세 이상 가구의 월평균 소득(378만6000원) 증가율은 3.4%로 나타났다. 반면 39세 이하 가구(523만1000원)는 전년 같은 분기보다 월평균 소득이 1.5% 늘면서 증가 폭이 가장 작았다. 40대(626만2000원)와 50대(608만7000원) 증가율은 각각 2.2%, 1.7%였다.

올해 60세 이상 가구의 소득은 다른 연령층보다 가파른 증가세를 유지해 왔다. 올해 2분기를 보면 39세 이하 가구의 소득은 7.3%, 40대는 4.6%, 50대는 1.0% 증가에 그쳤지만, 60세 이상 가구는 11.0%나 늘었다. 1분기에도 39세 이하(3.3%), 40대(2.0%), 50대(3.0%) 가구 소득 증가율보다 60세 이상 가구(11.0%)의 소득 증가율이 더 컸다.

월평균 소득이 증가한 60세 이상 가구에서의 소비지출도 다른 연령층보다 두드러졌다. 근로소득이 감소한 39세 이하 가구와 40대 가구에서는 소비지출이 각각 5.0%, 2.3% 쪼그라들었다. 반면 60세 이상 가구에서는 4.5% 늘었다. 50대 가구에서는 0.1% 증가하며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60세 이상 가구의 소비지출은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등으로 집밥 수요가 늘어나면서 식료품·비주류 음료 항목이 21.8%나 증가했다. 반면 외출 자제 등으로 음식·숙박(-2.5%), 오락·문화(-44.3%) 등에서는 감소했다.

성태윤 연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는 ”신규 채용이 줄고 일자리를 구하기 어려워지면서 경제 허리층의 근로소득이 감소했다“며 ”정부의 복지체계는 실제 소득이 감소한 분들이 혜택을 받기 어려운 구조“라고 설명했다. 그는 ”정부는 보편적인 형태의 재정 지원보다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종=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