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벨트 해제지역 어디냐” 문의전화 늘어

  • 동아일보
  • 입력 2020년 7월 17일 03시 00분


코멘트

세곡-내곡동 일대 부동산 들썩… 일부는 매물 거둬들이기도
“유력 후보지역 대부분 1, 2등급… 환경훼손 논란에 개발 힘들수도”

“그린벨트 해제되는 땅이 어딘지 찍어 달라는 전화까지 와요. 반면 땅주인들은 매물을 거두고 있어요.”

16일 오전 11시 서울 강남구 세곡동에 위치한 M공인중개사무소. 정모 씨는 사무실 유선 전화와 휴대전화 양쪽으로 개발 가능성을 묻는 문의에 응대하느라 분주했다. 중개업소 너머로 아파트들이 보였다. 총 800여 채 규모의 ‘강남LH1단지e편한세상’으로 이명박 정부 시절 그린벨트를 일부 해제해 조성한 보금자리주택. 인근에 그린벨트 해제 이력도 있으니 이곳도 풀리지 않겠느냐는 기대감에 술렁였다.

정부가 15일 주택공급 확대 방안으로 서울 그린벨트 해제 여부도 함께 검토한다는 입장을 밝히며 서울 강남권 그린벨트 지역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곳 대로변 부지는 올해 2월만 해도 3.3m²당 1000만 원 초반으로 거래됐지만 현재 1400만 원까지 부르는 곳도 있다. 그는 “예전엔 땅주인들과 가격 조정도 가능했는데 이젠 아예 올려 내놓거나 가격 조정조차 응하지 않겠다는 사람이 많다”고 전했다.

여기서 차로 10분 거리인 그린벨트 지역도 사정이 다르지 않았다. 강남권인데도 비닐하우스와 밭이 보였다. 인근 H부동산중개업소 김모 대표는 “이달 초 문재인 대통령이 공급을 늘리라고 하는 등 정치권에서 개발제한구역이 풀릴 수 있단 얘기가 돌자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시장에서는 기대 섞인 반응이 나오고 있지만 서울시가 그린벨트 해제를 강하게 반대해 해제까지 난항을 겪을 거라는 관측이 많다. 국토부 국토환경성평가지도 시스템에서 확인해보면 서울 강남권에는 보존 가치가 낮아 해제 가능성이 높은 3등급 그린벨트가 거의 남아있지 않다. 서초구 내곡동 가구거리, 서초·강남예비군훈련장 등 현재 언급되는 그린벨트도 대부분 1, 2등급이다. 한 시행사 관계자는 “서울 그린벨트 지역에선 경사가 심해 개발이 어려운 곳 등을 빼고 나면 과거처럼 택지 개발로 한번에 수천 가구가 들어갈 만한 땅이 없다”고 말했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1, 2등급 그린벨트 해제는 서울시 반대, 환경단체 반발 등으로 쉽지 않을 것”이라며 “용적률, 층수 규제 등을 풀어 도심 고밀도 개발을 하는 방안을 좀 더 적극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조윤경 yunique@donga.com·김호경 기자
#그린벨트#해제#세곡동#강남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