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연구활동 성과, 지역사회 도움 줘야”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12월 14일 03시 00분


코멘트

‘사회적 혁신’ 교육 김의영 교수

“대학교육의 산물은 누구나 공유할 수 있는 공공재의 성격을 띠고, 이는 결국 우리 사회의 양극화, 일자리 문제 등을 해결하는 데 쓰여야 한다.”

서울대 사회과학대 정치외교학부에서 ‘사회적 혁신’ 교육을 주도하고 있는 김의영 교수(사진)는 지난달 SK행복나눔재단과 손잡고 사회혁신교육 연구센터 설립에 나섰다. 그는 학생의 학문, 연구 활동은 대학의 울타리를 벗어나 지역사회에 도움이 돼야 한다는 문제의식을 지니고 있었다. 13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에서 만난 김 교수는 “사회과학은 사회와 멀어져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그의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들은 한 학기 동안 특정 지역을 정해 ‘문제와 답’을 찾아냈다.

서울대가 위치한 관악구에는 주민들이 구의회의 의정활동을 감시하는 제도와 이를 보장하는 조례가 있다. 구민들이 구의회의 상임위원회 회의 등을 참관할 수 있고 의회는 이를 막을 수 없다. 이 제도의 시발점이 김 교수의 수업이었다. 수강생들이 관악구의 문제점을 분석하다 ‘이런 제도가 있으면 좋겠다’고 정식으로 구에 건의했고 실제 제도가 생긴 것이다.
 
▼ “사회적 혁신교육 확산 위해선 정부지원-대학참여 병행돼야” ▼


경기 시흥시는 김 교수와 학생들에게 아예 연구용역을 맡겼다. 시흥시에서 추진할 만한 사회적 혁신, 사회적 경제의 전략모델을 만들어 달라는 주문이었다. 학생들은 시민단체(NGO)와 사회적 기업이 함께 모이는 합동회의 등을 시흥시에 제안했다.

김 교수는 “사회적 혁신 수업이 학생의 진로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고 말했다. 한 수강생은 진로를 고민하다가 김 교수와 상담했고, 이후 대한적십자사에 지원했다. 중국어에도 능통한 이 학생은 지역사회와 국가, 나아가 세계에 봉사할 수 있는 진로를 찾다가 적십자에 지원하기로 했다고 김 교수에게 털어놨다.

김 교수는 “사회혁신교육 연구센터의 연구, 수업방식이 다른 단과대, 다른 대학에도 충분히 적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활동 초기에는 정치학 등 사회과학 분야 교수 및 학생들이 주로 참여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장기적으로는 공대, 자연대 등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아직 넘어야 할 산도 많다. ‘사회적 혁신’이라는 개념이나 활동 자체가 널리 알려지지 않아 이에 대한 지원 제도도 거의 없기 때문이다.

김 교수는 “사회적 혁신 교육이 사회 전반으로 확산되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과 각 대학의 참여가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은택 기자 nabi@donga.com
#대학 연구활동 성과#지역사회 도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