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로 앞당긴 해외IB의 금리인상 시점…18일 금통위는?

  • 뉴스1
  • 입력 2018년 10월 14일 17시 22분


코멘트

코스피, 8거래일간 2.3조 유출…성장률 하향조정 임박
HSBC·속젠 오석태 10월로 수정…JP모건 11월 인상 유지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2018.5.24/뉴스1 © News1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2018.5.24/뉴스1 © News1
증시 변동성 확대로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 우려가 커지면서 오는 18일 금융통화위원회에 관심이 쏠린다. 11월 금통위에서 금리를 올릴 것으로 예상했던 해외 투자은행들의 전망이 10월로 당겨지는 분위기도 분명해졌다.

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은 지난달부터 순매도세를 이어오다가 최근 8거래일 사이 2조2800억원을 팔았다. 코스피 지수는 2200선이 무너졌다. 지난 7월과 8월 외국인들이 각각 3734억원, 1조6528억원을 순매수하면서 코스피 지수를 꾸준히 끌어올렸을 때와 대조적이다.

시장에서는 지난달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리면서 한국과의 금리 역전 차이가 0.75%까지 벌어져 외국인 투자자금이 대거 이탈할 수 있다는 우려가 꾸준히 제기돼 왔다.

한은은 현재의 금리 역전 수준에서는 외국인 자금이탈 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설명해 왔으나 우려가 현실이 되면서 긴장하고 있다. 미국이 올해 한 차례, 내년 세 차례 금리를 더 올리겠다고 예고한 만큼 더는 지켜만 보고 있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반면 금리 인상을 억제하는 요소도 산재했다. 고용지표가 악화했고 정부가 경기 부양 정책을 잇달아 내놓고 있는 상황에서 섣부른 금리 인상은 기업과 가계의 이자 부담을 가중해 정책 효과를 반감시킬 수 있다.

금리에 영향을 미치는 상반된 요소가 팽팽하게 맞서고 있는데 따라 가장 주목받는 변수는 경제성장률이 됐다. 지난 9일(한국시간) 국제통화기금(IMF)은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기존 3.0%에서 2.8%로 낮췄다. 이는 정부와 한국은행의 전망치(2.9%)보다 낮은 수준이다.

한은도 지난 7월에 이어 10월에도 경제 성장률을 낮출 가능성이 크다. 이 총재는 지난 5일 “올해 7월 전망 시점 이후 2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등 각 경제통계의 실적을 고려하면 성장과 물가에 관한 10월 전망치가 다소 하향될 가능성이 있다”고 발언했다. 한은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낮출 경우 연내 기준금리 인상 기조와 부합하지 않는 흐름이 된다.

그러나 이 총재는 성장률 전망 하향에도 금리 인상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잠재성장률 수준의 성장세가 이어지고 물가목표 수준에 점차 근접해간다는 판단이 선다면 금융안정도 비중 있게 고려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의 발언을 두고 국내 채권시장에서는 성장률 전망 조정이 금리 인상을 미루는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을 것으로 보는 해석과 성장률에 발목이 잡혀서 금리를 올리기 어려울 것이라는 의견이 분분하다.

해외 투자은행(IB)과 국내 전문가들의 의견도 엇갈리고 있다. 기존 11월 금리 인상을 예상했던 HSBC는 10월로 앞당겼고 연내 금리 동결을 예상했던 오석태 소시에테 제네랄(SocGen) 이코노미스트도 10월 예상으로 전망을 바꿨다. 오 이코노미스트는 “ 주택시장과 가계 부채에 따른 한은의 금융안정 우려를 반영하면 10월 기준금리 0.25%포인트 인상이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신동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달 발표할 수정경제전망에서 성장률과 물가 전망 경로가 크게 바뀌지 않는다면 한은이 금리 인상 시점을 11월로 미룰 명분은 크지 않다”고 말했다. 문정희 KB증권 연구원도 “4분기 물가상승 압력이 있는 것으로 보여, 금융안정을 위해 10월 금리를 올릴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반면 JP모건은 한은이 10월 금통위에서 매파적 신호를 보내는 데 그치고 11월 금통위에서 금리를 올릴 것으로 예상했다. 허진욱 삼성증권 연구원은 “10월 금리인상 가능성을 30%, 11월 가능성을 60%로 본다”며 11월에 무게를 뒀다.

안기태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부동산 시장 과열을 막아야하는 것 외에 금리 인상이 필요해 보이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이승훈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금리 인상이 이뤄진다면 11월이 더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