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민기 기자의 머니 레시피]골드바 살까, 통장에 차곡차곡 쌓을까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5월 2일 03시 00분


코멘트

고개 드는 금값, 투자 어떻게


신민기 기자
신민기 기자
일반 금융상품과 달리 ‘공포’를 먹고 자라는 자산이 있습니다. 바로 금입니다. 북한의 핵실험이나 프랑스 대선 등의 리스크로 시장이 불안할 때 ‘몸값’이 오르는 것이 대표적 안전자산인 금입니다. 지난달 28일(현지 시간) 뉴욕상품거래소에서 금 거래가 온스당 1266.10달러에 마감됐습니다. 이는 지난해 말(1127.80달러)보다 12.26% 오른 가격입니다. 최근 바닥을 치던 금값이 고개를 들자 투자자들의 관심도 높아졌습니다.

금 투자의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실물 금을 사서 갖고 있다가 금값이 오르면 비싸게 팔아 매매 차익을 남기는 것입니다. 금 펀드 같은 투자 상품이 양념으로 맛을 낸 불고기라면 실물 금 투자는 고기 자체의 맛을 살리는 삼겹살 같은 투자 방식입니다.

금은방에서 반지, 목걸이를 사거나 금 두꺼비처럼 덩어리 금을 매입하거나 은행에서 골드바를 살 수도 있습니다. 골드바는 시세 변동이 즉각 반영되며, 현금으로 바꾸기 쉽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1kg 골드바 한 개는 약 5400만 원에 이릅니다. 소액 투자자라면 금은방에서 10∼100g 미니 골드바를 살 수 있습니다.

실물 금을 되팔 때 매매 차익에 대해 세금이 부과되지 않습니다. 다만 금을 살 때 부가세 10%와 5%가량의 판매수수료를 내야 합니다. 금고에서 반짝거리는 금덩어리를 볼 때마다 흐뭇할 수는 있겠지만, 도둑이라도 들면 잃어버릴 수 있다는 건 염두에 둬야겠죠.

금 통장(골드뱅킹)은 실물 금을 사지 않고 예금하듯이 자유롭게 금에 투자하는 상품입니다. 소시지나 햄처럼 원재료를 가공해 먹기 좋게 만드는 ‘가공식품’ 같은 투자 방식입니다. 고가의 골드바를 사기가 부담스러운 소액 투자자들이 선호하는 방식입니다. 계좌에 돈을 입금하면 당일 국제 금 시세에 따라 무게로 환산된 금이 통장에 쌓입니다.

처음 개설할 때 최소 0.1g을 예치해야 하고, 최소 거래단위는 0.01g입니다.

다만 원화가 아닌 달러로 투자하기 때문에 금 시세에 환율 변동까지 고려해야 합니다. 금값이 올라도 원-달러 환율이 하락하면 수익이 떨어질 수 있다는 뜻입니다.

금 통장은 예금처럼 보이지만 예금자보호법에 따른 보호를 받지 못해 원금 보장이 안 되는 투자 상품이라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실물 금과 달리 매매 차익을 내면 15.4%의 배당소득세도 부과됩니다. 통장에 적립한 금은 현금으로 인출할 수도 있고 실물 금으로 받을 수도 있습니다. 실물 금으로 인출하면 부가세 10%와 수수료가 붙습니다.

금 펀드는 금광 관련 기업이나 원자재 관련 상장지수, 금 선물에 투자하는 상품입니다. 음식에 빗대면 불고기처럼 양념과 육수로 금 투자의 장점을 살리거나 조미료로 금 맛을 가미하는 식의 투자 방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금 펀드는 금값 외에도 달러 환율 등 수익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많아 다른 펀드에 비해 안정성이 떨어지는 편입니다.

따라서 여유자금의 일부만 투자하고, 단기 투자로 수익을 올리려는 욕심은 버려야 합니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현재 금 펀드의 한 달간 수익률은 ―0.25%였습니다. 지난 3개월 수익률은 1.62%, 6개월은 ―4.34%로 저조한 편입니다.

금값이 많이 올라 상투를 잡는 게 아닌지 걱정스러울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해 김훈길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라 단기적으로 금값의 변동성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2011년 온스당 1900달러까지 갔던 것과 비교하면 현재 금값은 여전히 저점”이라고 말합니다.

신민기 기자 minki@donga.com
#금값#골드바#통장#금융상품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