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비자원의 조사결과 화상·화재 사고의 절반 가량이 가정 내에서 발생했으며, 그 중 주방에서 고온의 조리기구에 의한 화상 피해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화상·화재 사고의 절반 가량이 가정 내에서 발생했으며, 그 중 주방에서 고온의 조리기구에 의한 화상 피해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픽 출처=한국소비자원한국소비자원은 최근 3년(2014~2016년)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에 접수된 화상·화재 사고 총 1만2,724건을 분석한 결과, 절반이 넘는 54.8%(6,968건)가 가정 내에서 발생했다고 밝혔다.
그래픽 출처=한국소비자원가정 내 화상·화재 사고 발생장소는 ‘주방’이 37.1%(2,582건)로 가장 많았고, ‘침실·방’ 23.0%(1,601건), ‘거실’ 6.6%(460건) 순이었다.
그래픽 출처=한국소비자원주방에서 자주 발생하는 화상·화재 사고유형은 밥솥·프라이팬 등 고온의 조리기구와 관련된 화상이 61.5%(1,587건)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주방 화상․화재 사고의 주요 원인 품목은 ‘전기(압력)밥솥’이 22.2%(575건)로 가장 많았고, ‘정수기’ 7.3%(189건), ‘커피포트’ 6.9%(178건), ‘냄비’ 6.0%(156건) 등의 순이었다.
특히, 주방 내 화상·화재 사고의 42.4%(1,095건)가 ‘10세 미만’의 어린이에게서 발생했다. 다음으로 ‘40대’ 11.3%(291건), ‘30대’ 9.6%(247건), ‘50대’ 8.7%(224건) 순이었다.
그래픽 출처=한국소비자원어린이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활동이 왕성한 남아(60%, 657건)의 사고비율이 여아(40%, 438건)보다 더 높았는데, 주로 전기밥솥이나 냄비 등 뜨거운 조리기구에 손을 데이는 사고가 많았다.
20대 이상 성인에서는 주방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내는 여성(68.2%, 620건)의 사고 비율이 남성(31.8%, 289건)보다 두 배 이상 차지했다.
소비자원은 “설 명절에는 식용유 등 기름을 이용한 전과 튀김 요리를 많이 함에 따라 기름이 쏟아지거나 불이 붙어 화상을 입는 사례가 발생할 수 있어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며 “주방 내 각종 가전제품이나 가스불로 인한 화재 위험도 있으므로 집을 비우는 경우 철저한 점검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