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 잎 채소 판로 막히자…식당 차려 年30억 매출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6월 24일 03시 00분


코멘트

新농업, 6차 산업으로 가자 <1> 농사 넘어 산업화 탈바꿈

농축산물을 식품으로 가공하거나 농장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해 기존 농업에 새로운 부가가치를 더하는 시도가 잇따르고 있다. 경기 여주시의 ‘은아목장’은 치즈 등 유제품을 백화점에서 직접 판매(왼쪽 사진)하고 있으며, 전북 진안군의 ‘애농영농조합법인’은 농장에서 키운 새싹을 듬뿍 넣은 카레를 파는 식당을 운영하는 데서 더 나아가 이를 가맹사업화하고 있다. 각 업체 제공
농축산물을 식품으로 가공하거나 농장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해 기존 농업에 새로운 부가가치를 더하는 시도가 잇따르고 있다. 경기 여주시의 ‘은아목장’은 치즈 등 유제품을 백화점에서 직접 판매(왼쪽 사진)하고 있으며, 전북 진안군의 ‘애농영농조합법인’은 농장에서 키운 새싹을 듬뿍 넣은 카레를 파는 식당을 운영하는 데서 더 나아가 이를 가맹사업화하고 있다. 각 업체 제공


22일 오후 9시 서울 강남구 가로수길의 막걸리바 ‘셰막’. 평일인데도 50여 석 규모의 주점은 사람들로 북적거렸다. 셰막은 1933년 충남 당진에 세워진 ‘신평양조장’이 직접 운영하는 곳이다. 80여 년 역사의 양조장에서 빚은 막걸리를 판다.

신평양조장은 기존 막걸리 유통의 한계를 극복하고 도시 소비자들에게 직접 막걸리를 선보이기 위해 서울 강남에 직영점을 냈다. 임차료 부담이 만만치 않지만 새로운 막걸리 고객을 발굴하기 위해 큰 투자를 한 것이다.

유통은 물론이고 메뉴도 기존 막걸리 주점과 차별화했다. 호텔 출신의 요리사를 영입해 스테이크와 고급화된 순대 등을 안주로 개발했다. 밥은 당진의 비옥한 곡창지대에서 해풍(海風)을 맞고 자란 쌀로 짓고, 사찰에서 ‘백련곡차’를 마시는 점에 착안해 막걸리 발효 과정에 백련 잎을 넣었다는 등의 스토리도 가미했다. 김동교 신평양조장 대표(41)는 “양조장만 운영했을 때보다 매출이 10배로 뛰었다”고 말했다.

○ 농업에 부가가치를 더하자

최근 국내에서 기존 농업의 성장이 한계에 다다른 가운데 농업에 부가가치를 더해 새로운 돌파구를 찾으려는 노력이 잇따르고 있다. 시골에서 농부 개인이 농사를 짓는 것에서 벗어나 농업에 부가가치를 더해 새로운 산업으로 육성하자는 움직임이다. 다시 말해 농업을 1차 산업에 놓아두지 않고, 농산물을 가공(2차 산업)하고, 체험·관광 등 서비스업(3차 산업)을 접목시켜 6차(1+2+3차) 산업으로 만들자는 것이다.

신평양조장 역시 2010년 이전까지만 해도 막걸리 산업의 사양화로 고민해야 했다. 젊은 여성을 중심으로 막걸리 열풍이 반짝 일었지만, 와인이나 맥주 등에 밀려 오래가지 못했다. 변화가 일어난 것은 삼성전자에서 글로벌 마케팅을 담당하던 창업자의 손자인 김동표 씨가 2010년 합류하면서부터다.

그는 우선 신평양조장을 근대 양조문화 유산을 체험할 수 있는 관광지로 만들었다. 6·25전쟁 때 지은 미곡처리장을 각종 체험을 할 수 있는 건물로 개조하고 고객별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한 것이 대표적이다. 여기서 기업 임직원을 대상으로는 막걸리 빚기 체험, 고교생을 겨냥해 생물과 화학 원리를 배울 수 있는 증류주 체험, 유치원생 대상으로는 누룩전 빚기 체험 프로그램을 각각 운영했다. 덕분에 신평양조장의 연 매출은 2010년 이전 3억여 원에에서 지난해 30억 원으로 뛰어올랐다.

경기 여주시의 ‘은아목장’은 연 2만여 명이 찾는 관광 명소다. 우리 농촌에서는 1980년대까지만 해도 젖소 20마리와 송아지 20마리만 있으면 자식들을 대학에 보낼 수 있었다. 하지만 2000년대 들어 목장 규모를 키우지 않으면 살아남기 힘들게 됐다. 비싼 땅값과 우유 값 폭락으로 고심하던 김상덕(65), 조옥향(62) 부부는 일본에서 해답을 찾았다. 당시 한국에서 목장은 쇠똥 냄새나는 혐오 시설이었지만 일본의 목장은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었다.

일본 견학에서 돌아온 부부는 할 수 있는 것들을 다 해보기로 했다. 그리고 목장에 ‘밀크스쿨’을 만들어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우유 생산 과정을 소개하고, 숙박시설로도 등록해 목장에서 먹고 자고 체험할 수 있게 했다.

가족들도 가세했다. 현재 김 씨 부부의 큰딸은 프랑스 요리학교인 르 코르동 블뢰에서 공부하고 돌아와 파티시에(제과제빵사)로서 목장의 유제품으로 빵과 쿠키를 굽고, 작은딸은 일본 농업대 유학 후 돌아와 낙농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조 씨는 “원유(原乳)가 남아돌고 있을 정도로 낙농업이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작고 강한 축산업으로 활로를 찾은 사례”라고 자신의 사업을 소개했다.

○ “젊은 귀농-귀촌자, 기존 농업인과 힘 합쳐야”

전북 진안군의 영농조합법인인 ‘애농’을 운영하는 천춘진 대표(45)는 프랜차이즈 사업을 통해 농업의 부가가치를 높였다. 2004년 일본 도쿄농업대에서 식물생리생태학 박사 학위를 받고 고향으로 귀농한 그는 당초 박사 출신 실업자라는 소리를 들어야 했다. 하지만 한국에서도 곧 유기농 농산물이 인기를 끌 것이라는 확신에 차 있던 그는 당시엔 흔치 않았던 새싹과 어린잎 채소를 키우기 시작했다.

시행착오 끝에 새싹과 어린잎 채소 재배에 성공했지만 기쁨도 잠시. 이번에는 판로가 마땅치 않아 사업을 접을 위기에 처했다. 그는 아예 자신이 기른 농산물을 직접 재료로 쓰는 가공식품을 개발하기로 했다. 이렇게 해서 탄생한 것이 자신이 재배한 어린잎 채소와 진안군 특산물인 양파, 당근을 풍부하게 넣은 카레와 그 카레를 파는 식당인 ‘카레팩토리’다. 천 씨는 이어 대전과 서울 등지에서 가맹사업을 시작했고 동시에 급식소 등에 직접 납품해 현재 700여 곳에 농산물을 공급하고 있다. 그는 지난해 30t에 이어 올해는 50t의 진안 양파를 수매할 정도로 주변 농가에도 도움을 주고 있다. 현재 애농의 연 매출은 30억 원에 이른다.

이처럼 농업을 6차 산업으로 발전시켜 위기를 극복한 사례가 해외에도 적지 않다. 프랑스 농민들은 농촌 관광으로 전체 농업 매출의 절반인 연간 150억 유로(약 18조6700억 원)를 벌어들인다. 농촌 관광은 프랑스 전체 관광 매출액의 20%를 차지할 정도다. 전문가들은 농업 인구가 줄고 고령화되는 가운데 우리나라에서도 젊은 귀농·귀촌자들이 새로운 아이디어와 기술을 도입하고 기존 농업인들도 여기에 힘을 합쳐 농업을 산업화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김유영 기자 abc@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