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소비자 물가 4.5% 급등… 현관문 나서니 모든게 올라있었다

  • Array
  • 입력 2011년 3월 3일 03시 00분


코멘트

장바구니 물가도 5.2% ↑ 2008년 9월 이후 최고치

2월 소비자물가가 전년 동기보다 4.5% 급등하면서 2년 3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유가 급등과 구제역 여파로 축산물과 신선식품값이 급등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이맘때와 같은 돈으로 장을 봐도 장바구니가 훨씬 가벼워져 서민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오른쪽은 2일 서울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5만 원으로 장을 본 물품이고 왼쪽은 지난해 2월 물가(통계청 기준)로 산 5만 원어치 물품을 모은 것이다. 농산물(21.8%), 축산물(12.3%), 수산물(11.4%) 가리지 않고 값이 크게 올라 밥상 차리기가 부담스러울 정도다. 양회성 기자 yohan@donga.com
2월 소비자 물가가 4.5% 급등했다. 2008년 11월(4.5%)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특히 중동의 정세 불안으로 유가가 폭등하면서 석유류 가격은 12.8%나 올랐다.

2일 통계청에 따르면 2월 소비자물가는 1월(4.1%)에 이어 2개월 연속 4%대 상승률을 나타냈다. 과일 채소 같은 신선식품지수가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무려 25.2% 상승했고 라면이나 대중교통처럼 국민이 자주 이용하고 지출 비중도 높은 152개 품목으로 이뤄진 생활물가지수도 같은 기간 5.2% 올랐다. ‘장바구니 물가’로 불리는 생활물가지수가 5.2%나 오른 것은 2008년 9월(5.5%) 이래 최고 상승이다.

전년 동월 대비 17.7% 상승한 농축수산물은 농산물(21.8%) 축산물(12.3%) 수산물(11.4%)이 모두 크게 올랐다. 농산물은 지난해 9월 이후 상승률이 둔화되고 있으나 배추(94.6%) 파(89.7%) 콩(56.3%) 사과(28%) 등 주요 품목은 모두 크게 올랐다. 축산물은 구제역 확산에 따른 영향으로 전년 동월 대비 35.1% 상승한 돼지고기를 비롯해 수입쇠고기 닭고기 달걀 등 대부분이 상승했다.

국제 유가 급등으로 석유류는 12.8% 급등해 2001∼2010년 2월 평균인 5.6%의 2배가 넘는 상승폭을 나타냈다. 휘발유 가격은 지난해 12월 L당 1771원에서 올 1월 1825원, 2월 1846원으로 계속 오르고 있다.

농산물과 석유류 가격 상승에서 시작된 물가 불안이 좀처럼 잡히지 않으면서 물가 상승이 다른 품목으로까지 확산되는 조짐도 나타났다. 가격 변동이 심한 농산물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 물가(core inflation)’가 전년 동월 대비 3.1% 올라 2009년 8월(3.1%) 이후 가장 많이 올랐다.

특히 개인서비스요금이 전년 동월 대비 3% 상승한 가운데 외식비의 상승폭(3.5%)은 1998년 1월(3.1%) 이후 가장 컸다. 부문별로는 삼겹살(11.3%) 돼지갈비(11.1%) 자장면(7%) 외식비가 급등했다. 기타 서비스 요금 중엔 유치원 납입금(6%) 미용료(5.2%)의 상승폭이 컸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구제역 한파, 국제유가, 곡물가격 상승이 한꺼번에 몰리면서 돼지고기나 밀가루 같은 원재료 가격이 많이 오른 게 1차적 원인”이라며 “일부 인플레이션 기대 심리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날 오전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10개 부처 장관이 참석한 ‘물가안정 관계부처 장관회의’를 열었다. 공급 부족이 4월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이는 농축수산물의 경우 겨울배추 4300t을 3, 4월경 집중 공급하고 돼지고기(1만 t→6만 t), 분유(9000t→3만 t)의 무관세물량 확대분도 최대한 빨리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통신비와 유가의 가격 결정 구조를 살피는 한편 담합 등 불공정행위 감시도 강화하기로 했다.

그러나 중동 사태로 인한 유가 불안이 장기화될 경우 정부로서도 뾰족한 수가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당장 이날 나온 대책도 1월에 발표한 ‘서민물가 안정 대책’과 큰 차이가 없다. 유가 급등이 계속되면 인플레이션 기대 심리가 확산돼 개인서비스 요금이 인상되고 임금 인상 요구로까지 이어지게 된다. 이 경우 성장률은 저하되고 물가는 오르는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마저 있다. 임종룡 기획재정부 1차관은 “(‘5% 성장, 3% 물가안정’이) 쉽지 않은 목표인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현재로서는 지표를 수정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정혜진 기자 hyeji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