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민영화 악재 또…

  • 동아일보
  • 입력 2010년 10월 29일 03시 00분


코멘트

실적 개선에도 주가 하락… 박해춘 행장시절 대출비리說 불거져

한국 금융권의 지도를 새로 그릴 기폭제인 우리금융지주 민영화가 30일 매각공고를 시작으로 본격화되고 있지만 정작 주인공인 우리금융은 몸살을 앓고 있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공자위) 관계자는 28일 “29일 공자위 전체회의를 열어 (우리금융) 매각 공고에 필요한 사항을 논의해 30일자 조간신문에 입찰공고를 낼 예정”이라고 말했다. 공고와 함께 입찰이 시작되면 인수합병(M&A) 각축전이 시작되는 것이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부실 문제 우려가 나온다. 실적 개선에도 우리금융 주가가 하락하는 것은 우리은행의 자산건전성이 나빠지면서 부실 우려가 심화했기 때문이다. 골드만삭스는 “우리금융의 순이익에서 1520억 원 규모의 하이닉스 지분 매각 등 일회성 요인을 제외하면 이익이 증가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고은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현재 무수익여신(NPL) 커버리지 비율이 65%밖에 되지 않는 상황에서 대손충당금은 추가로 더 들어올 수 있다”며 “충당금 리스크는 여전하다는 판단이다”라고 주장했다. NPL은 떼일 염려가 높은 부실 여신을 지칭하는 것으로 NPL 비율이 증가하면 은행의 건전성이 나빠졌다는 뜻이다.

더욱 관심을 모으는 것은 전임 최고경영진 재직 시기에 진행된 업무가 여러 의혹을 낳고 있는 점이다. 주력계열사인 우리은행의 부당대출 의혹이 불거지며 우리금융 주가는 이달 중순부터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우리은행은 박해춘 전 행장과 그의 동생 박택춘 전 C&중공업 사장이 현직에 있던 2007년과 2008년 C&그룹에 약 2247억 원을 대출했다. 검찰은 이 과정에서 특혜가 있었는지를 수사하고 있다. 우리은행 안팎에서는 “다 지난 과거의 일이 민영화를 앞둔 회사의 이미지를 손상시키고 있다”는 탄식이 흘러나온다.

전임 행장들이 벌여놓은 대출이 부실화되며 부담이 커졌다는 불만도 나온다. 우리금융 고위 관계자마저도 “훨씬 많은 이익을 남길 수 있는데 열심히 뛰어도 대손충당금 쌓고 나면 순이익 규모가 뚝 떨어진다”며 불만을 토로할 정도다. 우리은행은 황영기 전 행장의 재직 시기와 겹치는 2005년부터 2007년에 고위험 파생상품인 부채담보부증권(CDO)과 신용부도스와프(CDS)에 15억5000만 달러를 투자해 12억5000만 달러(약 1조4000억 원)의 손실을 보기도 했다.

우리은행 신탁사업부문은 2002년 6월부터 2008년 6월까지 4조 원이 넘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을 편법으로 지급 보증했다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부실화되면서 지난해 6월 말 기준으로 1947억 원의 손실을 봤다. 이에 대해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6월 우리은행 종합검사에서 이 같은 사실을 적발하고 담당 임원과 황영기, 박해춘 전 행장에게 징계를 내린 바 있다.

우리은행의 당기 순이익은 2007년 1조6894억 원에서 2008년 2340억 원으로 급감했다가 2009년 9538억 원으로 겨우 회복하고 있다.

조은아 기자 achim@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