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테이션]멈춰진 쌍용차 공장은 언제 다시 움직일까

  • 입력 2009년 8월 6일 17시 04분


◆쌍용차 회생 가능할까

(신광영 앵커) 파국으로 치닫던 쌍용자동차 사태에 약간의 희망이 보이는 듯 합니다. 오늘 정오 노사가 다시 교섭에 들어갔습니다. 이달 초 대화가 결렬될 때 회사 측이 마지막으로 제시했던 안을 노조가 받아들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김현수 앵커) 산업부 김상운 기자 연결하겠습니다. 김 기자, 이탈하는 노조원이 늘자 노조가 오늘 '조만간 입장을 정리하겠다'고 밝혔는데요, 이번에 극적인 타협이 이뤄진다면 회생할 수 있을까요?

(김상운 기자) 아직 뭐라고 말하기 어렵습니다. 일단은 얼마나 빨리 다시 생산을 할 수 있을지가 관건입니다. 회사 측은 7일에서 10일이면 다시 생산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지만 업계 전문가들은 이보다 더 비관적입니다. 특히 노사교섭이 결렬된 이후에 쌍용차 사측이 도장공장의 전기를 끊었는데, 전기가 없으면 도장공장의 도료가 굳기 시작합니다. 이 페인트가 얼마나 굳었는지가 중요합니다. 페인트가 완전히 굳으면 이를 다시 복구하는 데에만 최소 수개월이 걸린다고 합니다.

(신 앵커) 빨리 공장을 복구한다면 다시 살아날 가능성도 있겠군요.

(김 기자) 그게 꼭 그렇지만도 않습니다. 예전 수준으로 생산량을 회복하려면 몇 달이 걸릴 것이란 관측도 있습니다. 설사 본사 설비를 복구한다 해도 부품업체들이 핵심 부품을 제대로 공급을 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쌍용차 사태가 두 달 넘게 끌면서 많은 협력업체들이 구조조정에 들어갔고, 일부는 아예 도산해 버린 곳도 있습니다. 생산을 재개한다 해도 생산물량이 한달에 수백 대 수준에 그친다면 생존을 담보하기 어렵습니다.

(김 앵커) 그런데 쌍용차와 거래관계에 있던 회사들은 이미 어제 쌍용차를 조속히 파산시켜달라면서 법원에 요청했다면서요.

(김 기자) 예, 쌍용차 협력업체 등의 모임인 쌍용차협동회채권단은 어제 법원에 회생절차폐지 및 조기파산절차이행요청서를 제출했습니다. 그 밑바닥에는 쌍용차가 회생할 가능성이 거의 없다는 자체 결론이 깔려 있습니다. 기왕 살아나지도 못할 바에야 빨리 파산시켜서 다른 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거죠. 그러나 이 같은 요청에 어떤 법적인 효력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협동회채권단은 노사 타협이 이뤄지면 신청 철회도 할 수 있다는 의견입니다.

지난 5월 한 회계법인은 쌍용차가 유지될 경우, 미래 수익을 따진 계속기업가치는 약 1조3000억 원으로, 청산했을 때 얻는 가치보다 약 4000억 원이 더 많다고 법원에 보고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파업으로 인해 유·무형의 자산이 많이 훼손됐고, 계속기업가치가 5월 당시보다 상당히 감소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쌍용차는 지난달 말 기준으로 파업으로 인한 생산 차질은 1만5000여 대, 매출 손실은 3000억 원을 넘었다고 밝혔습니다.

(신 앵커) 쌍용차는 지금 법정관리 중이죠? 산업은행을 비롯한 채권단은 쌍용차의 회생 가능성을 얼마나 높게 보나요?

(김 기자) 채권단과 담보권자, 주주 등 이해관계인들이 다음달 15일에 법원에 모여 쌍용차 회생 여부를 결정하게 됩니다. 그러나 쌍용차가 노사 타협으로 생산을 재개한다 해도 채권단 등이 쌍용차의 회생 가능성을 높게 볼지는 미지수입니다.

이미 쌍용차의 영업망은 거의 와해 상태에 이르렀고, 소비자들의 인식이나 브랜드 이미지도 크게 떨어졌기 때문입니다. 자동차 회사의 핵심인 신차 연구개발도 몇 달간 중단돼 생산이 재개돼도 앞으로 한 동안은 새 차가 나오기 어렵습니다.

(김 앵커) 우울한 얘기밖에 없군요. 쌍용차를 파산시키고 우량자산만 모아서 새 법인으로 출범시키자는 아이디어도 있다면서요.

(김 기자) 예. 이른바 '뉴 쌍용' 또는 '굿 쌍용'이라고 불리는 방안인데요, 미국 정부가 최근 제너럴모터스를 파산시킨 뒤 우량 브랜드를 모아 '뉴 GM'을 만든 데서 착안한 겁니다. 그런데 쌍용차와 GM은 사실 사정이 많이 다릅니다. 공룡기업 GM은 역사도 오래되고 브랜드도 여러 개 인데다 생산량이나 보유한 기술력이 상당한 회사였습니다. 그에 비해 쌍용차는 우량자산이라고 할 만한 게 별로 없고 덩치가 작아 분할을 하는 게 무의미하다는 지적을 하는 전문가들이 많습니다. 동아일보 김상운입니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