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 In&Out]사회적 책임 경영, 대기업만 노력해선 안 된다

  • 입력 2009년 5월 29일 02시 57분


최근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이라는 말이 자주 등장하고 있다. 어떤 대기업은 협력업체인 중소기업과 공급망 CSR를 도입해 지속가능 경영을 하겠다고 하고, 또 다른 대기업은 CSR 경영의 활용 성과와 이해득실을 꼼꼼히 따져보겠다고 한다. CSR는 기업이 사업을 영위하면서 법률을 단순히 지키는 차원을 넘어서 사업 활동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이해 관계자들의 요구와 기대심리에 부응코자 하는 것을 뜻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기업이 지금까지는 경제적 이해 활동만을 영위하면 됐지만 이제는 환경과 윤리, 사회적 문제 해결에도 책임감을 갖고 ‘삶의 질’ 확대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의미다.

이는 기업이 점점 큰 사회적 영향력을 행사함에 따라 자본주의의 병폐를 해결하려는 시민사회의 압력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제 기업은 좋든 싫든 CSR 경영에 대한 고민과 실천을 하지 않으면 안 되는 기로에 서 있다. 국내에선 대기업을 중심으로 CSR 경영이 발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CSR 경영의 국제적 동향에 밝은 대기업들은 자사(自社)의 공급사슬망에서 CSR 개념을 도입해 앞으로 다가올 무역장벽인 CSR 라운드(CSR 경영을 하지 않는 기업의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수입을 금지하는 비정부기구 및 각국 정부의 권고)에 대비하고 있다. 이들은 전담 부서를 설치해 다가올 ISO 26000 같은 새로운 규약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어떤 기업이든 CSR 경영에 성공하려면 협력업체의 협조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간단한 예로 대기업에 납품하는 중소기업 제품이 환경적 측면을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면 결국 발주사인 대기업의 CSR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결국 대-중소기업 간 상생 협력은 지속 가능성의 관점에서 양측의 CSR 경영을 추진하기 위한 전제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아무런 구체적 보상 없이 억지로 대기업을 끌어들이는 게 아니라, 지속적인 경쟁력 확보와 이윤 창출을 위해서라도 대기업이 최고의 경영철학으로 인식해야 하는 개념이다. 무한경쟁시대 최고의 경영기법은 바로 대-중소기업 상생협력이다.

김수욱 서울대 경영대 교수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