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짝퉁 더 이상 용서 못한다”

  • 입력 2007년 7월 10일 20시 17분


코멘트
'모조품을 생산하는 회사의 주소와 사진을 보냅니다. 우리의 사업과 브랜드를 지키기 위해 강력한 조치를 바랍니다.'

국내 셋톱박스 생산업체 K사는 지난해 12월 중동의 한 바이어로부터 항의 e메일을 받았다. 이 바이어는 "중국 업체가 2년 전부터 모조품을 생산해 피해를 주고 있는데 왜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느냐"고 불만을 터뜨렸다.

이 '짝퉁' 생산업체는 "모조품을 사가라"는 판촉 e메일까지 보낼 정도로 대담했다. K사는 중국 현지에 감시원을 파견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한국무역협회는 11일 '지적재산권 분쟁 및 대응방안 세미나' 에 앞서 한국 기업의 '짝퉁' 피해 실태자료를 10일 공개했다.

조학희 무역협회 해외진출컨설팅센터 팀장은 '해외시장의 모조품 피해와 대응' 자료에서 국내 기업들이 모조품으로 입은 연간 피해 규모가 수출액의 5~7%에 이른다고 밝혔다.

지난해 수출액(3254억 달러)을 기준으로 할 때 짝퉁 피해규모가 연간 최소 162억 달러에 이른다는 것이다.

조 팀장은 "중국 베이징(北京) 상하이(上海) 광저우(廣州) 선전(深¤) 등 4개 도시 유통매장 80곳 중 66%가 한국제품의 '짝퉁'을 판매하고 있다"며 "중국 현지에서 유통되고 있는 삼성전자 휴대전화의 10~12%인 650만 대가 짝퉁 제품으로 조사됐다"고 말했다.

실제로 최근 셋톱박스 제조업체인 K사와 T사, 콘덴서 생산업체 S사, 면도용품 생산업체 D사, 악세사리 생산업체 E사 등도 해외 시장에서 짝퉁 제품으로 피해를 입었다고 무협에 신고했다.

특히 세계 짝퉁 시장의 67%를 차지하고 있는 중국산 짝퉁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당국의 단속이 약한 데다 모조품 제조자들이 주문생산을 하고 상품이 출고되기 직전까지 상표를 붙이지 않기 때문에 단속조차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중국 등 주요 수출시장에 특허와 상표권 등의 권리를 미리 등록하고 현지의 지적재산권 보호제도를 이용해 '짝퉁 제품'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박용기자 parky@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