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 실무형 인재 선호

  • 입력 2006년 6월 16일 13시 38분


코멘트
"공부만 잘하는 백면서생보다는 현장에서 잘 뛰는 실무형 인재를 뽑습니다."

시중은행들이 학벌 학점 토익점수 등에서 우수한 성적을 보유한 서류형 인재보다 영업력 등 실무 능력을 겸비한 실무형 인사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채용 기준을 바꾸고 있다.

공부만 한 사람들보다는 봉사활동 경험이 많거나 대인관계가 좋은 인간형들이 업무 만족도도 높고 더 우수한 실력을 발휘한다는 그동안의 경험에 따른 것이다.

16일 은행업계에 따르면 국내 최대은행인 국민은행의 올해 상반기 공채에서는 학벌 학점 토익점수 등 소위 말하는 주요 '스펙'이 합격과 아무 연관성을 지니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상반기 공채에 합격한 180명의 평균 학점은 4.5 만점에 3.71점으로 불합격자 평균인 3.73점, 전체 지원자(7624명) 평균인 3.72점에 비해 되레 낮았다.

합격자 토익 평균 점수는 865점으로 지원자 평균점수인 859점에 비해 6점 높은 데 그쳤다.

합격자 상위 10%인 18명 중 지방대 출신 합격자는 5명(28%로)으로 소위 서울 소재 명문대로 불리는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의 총 6명(33%)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

결국 취업 희망자들이 채용 과정에서 가장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하는 3대 '스펙'들이 합격률과 무관한 셈이다.

지방대를 졸업하고 토익 성적도 800점에 못 미쳤지만 합격자 상위 10%에 든 A 씨는 "대학 재학시절에 소규모 브랜드마케팅 회사에서 일하면서 수많은 중소기업 대표들에게 프레젠테이션을 하는 등 설득 경험이 많았던 점이 면접에서 좋은 점수로 연결된 것 같다"고 말했다.

A 씨는 "면접에서는 자연스럽게 물 흐르듯이 대화에 임했다"며 "때로는 면접관에게 농담을 하거나 오히려 질문을 할 만큼 있는 그대로 자신을 보여주기 위해 노력했다"고 말했다.

서울 소재 중하위권 대학을 졸업하고 토익점수가 800점을 조금 넘었지만 합격자 상위 10%안에 든 B 씨는 "입사원서를 71번째 낸 곳이 국민은행이었기 때문에 면접관들의 바짓가랑이라도 잡겠다는 심정으로 적극적으로 임한 것이 좋은 결과를 낸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대학 때 국민은행 지점에서 청소 아르바이트를 했던 경험을 토대로 국민은행의 장단점을 분석해 임원 면접에서 얘기했던 것이 일종의 충성심으로 비춰졌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국민은행은 서류전형 이후, 논술 및 인성·적성 검사, 역량 면접, 집단토론, 프레젠테이션, 임원 면접 등 단계를 거쳐 7624명 중 180명을 최종 선발했다.

국민은행 인사부 관계자는 "인성이 뛰어난 행원이 영업도 잘하고 각종 금융사고에 연루되지 않은 등 장점이 많다"며 "앞으로도 이같은 성향의 직원을 선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성하운기자 hawoo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