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기고/박선홍 사장>토지 지방투자 요령

  • 입력 2003년 1월 20일 19시 17분


코멘트
지난해 전국 땅값은 7% 이상 오른 것으로 추정된다. 상승률은 11년 만에 가장 높았다.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의 택지와 그린벨트 해제 대상지, 택지개발지구 주변, 전원주택지, 고속도로 개통 지역 등 조금이라도 개발재료가 있는 땅은 모두 값이 치솟았다. 최근에는 행정수도 이전 후보지로 거론된 충청권 일대가 들썩인다.

그러나 올해 토지시장은 그리 녹록하지 않다. 악재가 만만찮다.

부동산시장 전반이 가라앉아 있는데 땅만 움직이기는 어렵다. 땅값 상승을 막으려는 정부의 의지도 강하다. 시장 주변의 투자 여건을 종합할 때 올해는 숨고르기나 내림세로 돌아설 가능성이 크다.

다만 가격 급락을 막는 안전판 역할을 할 재료도 많다. 저금리와 풍부한 시중자금, 경부고속철도 개통과 제2 경부고속도로 건설 추진, 행정수도 이전 문제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재료는 추진 여하에 따라 수도권에 편중된 부동산투자의 지도를 바꿀 수 있는 잠재력을 지녔다. 특히 충청권을 비롯한 중부지역은 더하다.

결국 올해 토지시장은 전반적으로 하향 안정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개별 재료가 있는 곳을 중심으로 ‘반짝 수요’가 나타날 것이다. 이런 점에서 올해는 토지시장을 보수적으로 바라보되 투자를 하더라도 중장기 시각에서 여유자금으로 하는 게 바람직하다.

택지개발지구 주변과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에서 풀리는 땅은 일단 안전하다. 개발 방향이 투명하기 때문이다.

올해 공급하는 택지지구 중에는 경기 화성시 동탄 및 향남지구, 경기 남양주시 진접지구 등이 눈길을 끈다. 성남 판교신도시 주변도 규제가 많긴 하지만 입지여건이 빼어나 관심을 둘 만하다.

그린벨트 해제지역 가운데 대도시 주변은 쾌적한 주거환경과 편리한 도시기반시설을 함께 누릴 수 있다. 입지여건이 좋은 △하남 풍산 △성남 도촌 △의왕 청계 △군포 부곡 △광명 소하 △고양 행신 2지구와 그 주변도 관심 지역이다.

토지는 거래가 생명이다. 호가가 올라 봐야 거래가 되지 않으면 소용이 없다. 땅은 투자 열기가 식으면 몇 년씩 자금이 묶인다는 점을 반드시 염두에 둬야 한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