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외채 비중 계속 증가…외환위기 직전 수준 넘어

  • 입력 2002년 11월 8일 18시 09분


총외채에서 단기외채가 차지하는 비율이 1997년말 수준을 처음으로 넘어섰다.

또 단기 엔화 대출이 위험수위에 이르러 정부가 강력한 행정지도에 나섰다.

8일 재정경제부에 따르면 9월말 현재 총외채는 한 달 전보다 6억달러 늘어난 1298억달러, 이 가운데 만기가 1년 이내인 단기외채는 40.8%인 529억달러로 집계됐다. 9월 총외채 대비 단기외채비율은 97년 말보다 0.9%포인트 높은 수치다.

이와 함께 단기 대외지급능력을 보여주는 지표인 외환보유액 대비 단기외채 비율도 7월 말 43.9%에서 4개월 연속 올라 45.3%를 나타냈다.

재경부는 외환보유액 대비 단기외채 비율이 60% 미만이면 ‘안정수준’으로 본다며 전혀 걱정할 단계가 아니라고 설명했다.

또 9월말 현재 총대외채권도 총외채보다 460억달러 많은 1758억달러로 한국은 순(純)채권국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재경부는 일본의 저금리와 엔화 환율의 안정세에 따라 엔화 대출이 급증하는 데 대해서는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국내 금융기관들이 기업에 빌려준 단기 엔화대출금은 지난해말 5000만달러 수준에 불과했으나 올해 9월말에는 26억달러로 늘었다.

김익주(金翊柱) 재경부 외환제도과장은 “엔화가치가 오르면 환위험 관리능력이 없는 기업들이 큰 피해를 볼 것”이라며 “운전 자금용 단기 엔화 대출을 자제토록 행정지도한 뒤 자율조정이 이뤄지지 않으면 건전성 규제 위반 제재를 강화하고 외화대출 용도를 제한하겠다”고 말했다.천광암기자 iam@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