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릉 숨겨진 이야기들

  • 동아일보
  • 입력 2014년 1월 3일 03시 00분


코멘트

숭릉… 땅속에 묻힌 석상 첫 재활용
목릉… 1정자각 - 3봉분 배치 ‘특이’

경기 구리시에 있는 목릉. 조선에서 유일한 동원삼강릉으로 위부터 시계 방향으로 인목왕후릉과 선조릉, 의인왕후릉이 조성돼 있다. 국립문화재연구소 제공
경기 구리시에 있는 목릉. 조선에서 유일한 동원삼강릉으로 위부터 시계 방향으로 인목왕후릉과 선조릉, 의인왕후릉이 조성돼 있다. 국립문화재연구소 제공
경기 구리시 동구릉로에 있는 동구릉(사적 제193호)에는 9능 17위, 즉 9명의 왕·왕비와 17명의 후비가 안장돼 있다. 이 가운데 숭릉(崇陵)은 조선 제18대 왕 현종(1641∼1674)과 비 명성왕후(1642∼1683)의 능을 일컫는다. 특히 이곳 정자각은 조선 왕릉에서 유일하게 팔작지붕 원형을 간직하고 있어 2011년 보물 제1742호로 지정됐다.

능침 주위 유물도 빼어나다. 문석인(文石人)은 온화한 미소를 머금었고, 무석인(武石人)은 절도가 넘친다. 망주석(望柱石·무덤 장식 돌기둥)과 석양, 장명등(長明燈)도 훌륭하다. 그런데 이 석물들 상당수가 ‘재활용’된 것이란 사실이 최근에 밝혀졌다.

문화재청 산하 국립문화재연구소가 지난달 발간한 ‘조선왕릉 종합학술조사보고서’ 4, 5권에 따르면 숙종은 1674년 숭릉을 조성하며 어머니 명성왕후의 뜻을 받들어 효종(1619∼1659)의 옛 영릉(寧陵) 터에 있던 석물을 재사용하도록 명했다. 원래 영릉은 동구릉 내 건원릉(健元陵·태조의 능) 서쪽에 있다가 1673년 현재의 경기 여주시로 옮겨진 상태였다. 당시는 천릉한 영릉에 다시 효종의 비 인선왕후(1618∼1674) 능을 조성한 지 두 달도 채 안 된 시점. 재활용은 ‘백성들이 너무 곤궁해지니 재정 지출을 줄인다’는 의도였다. 옛 영릉에 썼던 석물은 이미 땅 속에 파묻힌 상태였으나 이를 꺼내 개보수해서 사용했다.

숭릉에 있는 무석인. 옛 영릉에 있던 석물이나 숭릉을 조성하며 재사용했다. 국립문화재연구소 제공
숭릉에 있는 무석인. 옛 영릉에 있던 석물이나 숭릉을 조성하며 재사용했다. 국립문화재연구소 제공
재활용 선례가 생기자 이후 다른 여러 왕릉도 이를 따랐다. 1731년 장릉(長陵)을 옮기거나 1856년 인릉(仁陵)과 1864년 예릉(睿陵)을 조성할 때도 옛 석물을 사용했다. 연구소의 황정연 미술문화재연구실 학예연구사는 “왕릉 규정은 조정에서 엄청난 논란이 벌어지는 대상이라 쉽게 바꿀 수 없다”며 “백성을 걱정한 왕실의 마음이 석물 재활용이란 독특한 전통을 만들었다”고 말했다.

같은 동구릉 안에 있는 목릉(穆陵)은 독특한 배치로 눈길을 끈다. 목릉은 조선 왕릉 가운데 유일한 동원삼강릉(同原三岡陵). 하나의 정자각을 두고 이웃한 세 언덕에 왕릉이 만들어졌다. 선조(1552∼1608)와 정비 의인왕후(1555∼1600), 계비 인목왕후(1584∼1632)가 함께 모셔졌다.

마찬가지로 선례가 없던 왕과 왕비 2명의 능이 한 곳에 조성된 까닭이 뭘까. 한마디로 선조가 간절히 원했기 때문이었다. 사실 왕릉 옆에 어느 왕비 혹은 후비가 안장되는가는 정치적으로 민감한 문제다. 당대 세력의 역학관계가 작용하지 않을 리가 없다. 하지만 선조는 쉰 살 나이의 자신에게 열여덟 나이로 시집온 인목왕후를 아끼는 마음에 교묘한 정치력으로 이를 관철시켰다.

목릉은 역사적 상징성도 크다. 의인왕후가 승하했을 때 조선은 임진왜란을 겪은 뒤여서 국가 운영에 여력이 없었다. 더 큰 문제는 이전 상·장례를 참고할 의궤를 전부 소실한 상태였다. 이 때문에 당시 실무자의 증언을 바탕으로 1601년 편찬한 ‘(의인왕후) 산릉도감의궤(山陵都監儀軌)’는 능 조성 의식 절차를 담은 현존 의궤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이다.

여주시로 천릉한 효종과 인선왕후를 모신 영릉도 독특한 배치로는 빠지지 않는다. 조선 유일의 동원상하릉(同原上下陵)이다. 양옆이 아니라 위아래로 배치됐단 뜻이다. 황 학예사는 “효종 옆자리가 풍수지리적으로 혈(穴)이 너무 나빠 격론 끝에 이런 독특한 구조를 택했다”고 설명했다.

국립문화재연구소의 조선왕릉 종합학술조사는 2006년 시작돼 2009년 첫 보고서를 내놓았다. 2015년까지 8권으로 마무리할 예정이다.

정양환 기자 ray@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