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이야기]<973>孟子對曰王이 好戰하시니 請以戰喩하리이다…

  • Array
  • 입력 2010년 8월 30일 03시 00분


코멘트
五十步百步의 성어가 여기에 나온다. 본래 以五十步笑百步인데, 以와 笑의 두 글자를 줄여 성어로 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양혜왕 즉 위나라 제후 앵(앵)은 자신이 백성들을 救恤(구휼)하기 위해 盡心盡力(진심진력)하지만 자국의 인구가 증가하여 국가가 더 강성해지지 않는 이유를 모르겠다고 했다. 맹자는 이에 대해 그 이유를 직접 서술하지 않고, 먼저 양혜왕이 득의로 삼는 전투의 예를 비유로 들어 양혜왕이 자신의 견해를 받아들일 수 있는 심경에 이르도록 유도했다.

請以戰喩의 請은 청유의 뜻을 나타내고 以는 수단의 뜻을 나타낸다. 喩는 比와 같다. 塡然은 큰 북을 둥둥 울리는 소리를 형용한다. 옛날에는 북을 쳐 군대를 전진시키고 종을 쳐 군대를 후퇴시켰다고 한다. 鼓之의 之는 戰士를 가리킨다고 보기도 하지만, 음조를 고르는 허사로 보는 것이 옳다. 兵刃의 兵은 무기, 刃은 칼날을 지닌 무기다. 甲은 갑옷 鎧(개)와 같다. 步는 발을 앞뒤로 뻗은 그 사이의 길이를 말하여, 보통 여섯 자로 본다. 단, 시대마다 척도가 달라 구체적인 길이는 정하기 어렵다.

퇴계 이황은 기대승과 욕망 제어의 문제를 논하면서, 전투를 예로 들어 萬人敵(만인적)의 기개와 多多益辦(다다익판)의 지략을 자부해서는 안 된다고 했다. 맹자의 어법을 활용한 유명한 예다.

심경호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