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 뉴 트렌드]<1>인문치료학

  • 입력 2008년 3월 5일 02시 58분


얼 쇼리스 씨(마이크 앞)는 소외계층에게 인문학을 가르치는 ‘클레멘트 코스’를 만들었다. 그는 2006년 1월 한국 방문 당시 서울 중구 정동 사랑의 열매 회관에서 ‘소크라테스의 변명’을 교재로 노숙인들과 토론회를 했다. 동아일보 자료 사진
얼 쇼리스 씨(마이크 앞)는 소외계층에게 인문학을 가르치는 ‘클레멘트 코스’를 만들었다. 그는 2006년 1월 한국 방문 당시 서울 중구 정동 사랑의 열매 회관에서 ‘소크라테스의 변명’을 교재로 노숙인들과 토론회를 했다. 동아일보 자료 사진
거리로 나간 文史哲 ‘마음의 병’을 보듬다

《인문학이 껍질을 깨고 새로운 시도를 다양하게 벌이고 있다. ‘인문치료학’의 이름으로 실용성을 부각시키거나 로봇을 인문학에 받아들이기도 한다. ‘개념사(史)’를 다시 짚어보는 연구도 이뤄지고 있다. 인문학 영역의 통합과 재정의, 실용을 통한 대중과의 소통 등으로 인문학의 위기를 해결하자는 움직임이다. 인문학 뉴트렌드를 5회에 걸쳐 소개한다.》

상아탑 벗어나 재소자-노숙인 ‘마음 치유’

관련 학회 결성 잇따라… 실용성 회복 나서

지난달 중순 강원 원주시 원주교도소에선 이색 강의가 진행됐다.

재소자 30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역사 강의였다. 강의 제목은 ‘역사와 나, 나의 역사’. 제목에서 보듯 역사 이야기를 들려주는 게 아니라 재소자들에게 스스로의 역사를 되새겨 보도록 하는 강의였다.

재소자들은 진지하게 강연자의 주문에 따랐다. 이 강의의 목적은 각자 지나온 삶을 돌아보고 현재 모습에 대해 생각해 보도록 하는 것. 강의를 진행한 강원대 인문과학연구소 김호연 책임연구원은 “이런 작업을 통해 과거나 현재보다 더 나은 미래를 그려 보도록 하는 것이 취지”라고 밝혔다. 김 연구원은 이날 강의를 “역사치료의 하나”라고 말했다.

강원대 인문과학연구소는 1월 초에는 다른 재소자를 대상으로 ‘철학치료’를 진행했다. 플라톤의 동굴론을 통해 가상과 실제의 세상에 대해 얘기를 나누고 성선설이나 성악설을 통해 인간의 본성을 되새겨 보는 식으로 강의가 진행됐다.

철학치료나 역사치료를 시도하는 ‘인문치료학(Humanities Therapy)’이 인문학의 새로운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다. 아직 폭넓게 확산되지 않았으나 원주교도소의 사례처럼 인문학을 통한 치료가 실생활에 접목되면서 학문적 실용적 체계를 갖춰 가고 있다. 더 일찍 도입된 문학치료 등도 마찬가지의 경우다. 더 나아가 시너지 효과를 높이기 위해 인문학적 치료를 통합 연구하는 움직임도 두드러지고 있다.

○ “글 쓰면서 마음속 응어리 풀었다”

노숙인 지원기관인 ‘다시 서기 지원센터’가 2005년 개설한 ‘성프란시스대학 인문학 과정’은 인문학을 통해 마음 다스리기를 배우는 곳이다. 노숙인들에게 철학, 예술, 문학, 역사 등을 가르치고 글쓰기를 통해 자기 마음을 가다듬도록 한다. 노숙인들에게 진정 필요한 것은 밥이 아니라 ‘자신을 사랑하는 법’을 깨닫게 하는 것이라는 인식에서 시작된 과정이다.

1년 과정을 마친 노숙인들은 “글을 쓰면서 마음속 응어리를 풀었고 자신감을 되찾았다”고 입을 모았고, 되찾은 자신감으로 새 인생을 개척한 사람도 적지 않다. 성프란시스대학의 실험은 기존 인문학계에 많은 시사점을 던졌다.

인문치료학이 재소자, 노숙인 같은 소외 계층만 대상으로 하는 건 아니다. 임상철학이 이미 대중 속에 깊숙이 뿌리 내린 서구에는 못 미치지만 국내에서도 우선 어린이 교육에 철학을 접목하는 사설 교육 기관이 생기고 있다. 서울 강남구 대치동에서 메타철학교육연구소를 운영하는 임병갑 박사는 “철학치료 또는 철학교육을 통해 세상과 자신을 올바르게 보는 태도를 갖추면 학업이나 사회생활 전반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미국 철학상담사 자격을 갖고 있는 이진남 동덕여대 교양교직학부 교수는 “미국에선 직원들의 스트레스나 고민을 풀어 주기 위해 철학상담사를 고용하는 회사가 많다”고 소개했다. 한국은 아직 뒤처져 있지만 지난해 한국철학상담연구회(회장 김성진 한림대 교수)가 결성되면서 곧 임상활동이 시작될 예정이다. 이 연구회는 임상철학을 연구하는 학자들의 모임이다.

문학 쪽에서는 2000년대 들어 한국독서치료학회, 한국문학치료학회, 한국통합문학치료학회 등이 잇달아 생기면서 문학을 현실에서 마음치료 등으로 활용하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 인문학, 무엇을 어떻게 치료하나

아픈 사람을 치료하는 것은 전통적으로 의사의 몫이었다. 그러나 인문치료학 연구자들은 “육체적 질병은 의학으로 고칠 수 있지만 ‘마음의 병’은 인간에 대한 사랑을 근본으로 하는 인문학을 활용해야 진정한 치유가 가능하다”고 말한다.

김호연 연구원은 역사치료의 유용성에 대해 “현재의 눈으로, 과거에 일어난 일에 대해 가치 판단을 하고, 이를 통해 미래에 대한 실천 의지를 가꾸도록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진남 교수는 “의학 정신과에선 상담받는 이를 환자로 규정한 뒤 확립된 병명을 부여하고 약을 통해 정해진 치료를 진행하는 데 반해 철학치료는 상담 받는 사람이 직접 인생관, 세계관의 재확립을 통해 스스로 문제와 해결책을 찾도록 해 준다”고 말했다.

‘문예아카데미’에서 문학치료를 지도하는 이병훈 씨는 월간 문예지 ‘문학사상’ 3월호에 기고한 글에서 문학치료의 목적을 ‘건강한 정신과 심리상태를 되찾는 것(recovering)’이라고 규정했다. 참여자는 문학치료사와 함께 독서, 대화, 글쓰기를 하면서 스스로 상태를 진단하고 문학작품을 통해 불안증이나 성격장애를 치유한다.

분야별로 치료 과정과 활용 도구는 다르지만 인문치료학의 공통점으로 ‘글쓰기’를 꼽을 수 있다. 글쓰기는 혼란스러운 상태를 명확하게 인식하고 헝클어진 머릿속을 가다듬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 실용성으로 인문학 스스로를 치료

‘인문학(humanities)’의 어원인 라틴어 ‘후마니타스(humanitas)’는 ‘인간다움’을 뜻한다. 인문학은 대중과 어울리면서 인간의 가치를 탐구하는 학문이다. 그러다 점점 대중과 멀어지면서 상아탑 안에 스스로를 가뒀다.

임병갑 박사는 “철학으로 사람을 치유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자체가 철학의 본래 의미를 찾는 과정”이라고 말했다. 이진남 교수도 “소크라테스의 ‘대화법’을 보면 알 수 있듯 철학상담은 새로 파생된 분야가 아니라 철학 본연의 모습”이라고 강조했다.

김숭희 강원대 교수는 “인문학의 위기는 인문학 고유의 실용적 가치를 상실하면서 초래됐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인문치료학은 인문학의 실용성을 회복함으로써 인문학 스스로를 치유하는 학문이라고도 할 수 있다고 학자들은 입을 모은다.

금동근 기자 gold@donga.com

▼인문치료학, 미-유럽선 활발▼

‘클레멘트 코스’ 7개국 60개 과정 개설

인문치료학을 얘기할 때 맨 먼저 떠오르는 인물이 있다.

미국의 사회비평가이자 작가인 얼 쇼리스(71) 씨다. 그는 1995년 소외계층에게 문학, 철학 등 인문학을 가르치는 ‘클레멘트 코스’를 개설했다. 교도소에서 만난 한 여성 수감자가 가난한 계층, 소외된 사람들에게 가장 부족한 것으로 ‘정신적 삶’을 꼽은 데서 힌트를 얻었다.

첫 1년 코스 수료자 가운데 2명이 공부를 계속해 치과의사가 되는 등 코스는 알찬 결실을 거뒀다. 무모한 듯 보였던 그의 실험이 성공하자 클레멘트 코스는 확산되기 시작했다. 지금은 7개국에 60여 개의 코스가 개설돼 있다.

클레멘트 코스처럼 통합적 인문치료학은 아니지만 서구에선 분야별로 인문치료학의 전통이 뿌리를 내려 왔다.

가장 전통이 오래된 분야는 1840년대 미국에서 시작된 문학치료다. 미국에선 1970년대 들어 대학에 문학치료학과가 개설됐고 1979년에는 문학치료학회가 설립되면서 학문적 체계를 갖췄다.

1937년 ‘독서요법’이라는 이름으로 문학치료를 도입한 일본에선 1945∼1980년에는 주로 비행청소년을 대상으로 문학치료를 시행했다. 1980년 이후 일반인에게 폭넓게 확산됐으며 현재는 예술치료와의 통합 연구가 한창이다.

철학치료는 1982년 독일 철학자 게르트 아헨바흐가 개념을 세운 ‘철학상담’을 효시로 꼽는다. 아헨바흐의 활동을 시작으로 철학치료에 대한 연구는 전 유럽에 확산된 뒤 북미 지역으로 전파됐으며 1982년에는 국제철학상담학회가 설립됐다. 아헨바흐는 1994년 철학상담에 대한 자신의 첫 번째 저서를 출간해 철학상담을 학문 분야로 정립하는 데 기여했다. 미국철학상담사학회는 2003년부터 철학상담사 자격증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인문치료학의 범주에 포함되는 예술치료도 음악, 미술, 영상 등 분야에서 점차 다양한 방법론이 나오고 있다. 특히 영상치료 기법의 발달이 두드러진다. 미국에선 피상담자에게 처방된 영상물을 보여 주며 치료하고 더 나아가 피상담자가 직접 영상물을 제작하도록 해 스스로 치료하게 하는 방식도 시도되고 있다.

금동근 기자 gold@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