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중국 합계출산율(한 여성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신생아 수)이 역대 최저를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막대한 인구를 앞세워 값싼 노동력과 대규모 내수 시장이 떠받치던 고속 성장을 더는 지속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15일 중국 제몐(界面)신문 등에 따르면 최근 열린 중국인구학회 연례회의에서 중국인구발전연구센터 전문가들은 지난해 중국 합계출산율이 1.09명으로 떨어졌을 것이라는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 이는 세계 인구 1억 명 이상 국가 중 가장 낮은 수준이다. 지난해 말 기준 중국 인구는 14억1175만 명으로 1년 전보다 약 85만 명 줄었다. 중국 인구 감소는 마오쩌둥(毛澤東) 대약진 운동이 부른 대기근으로 수천만 명이 숨진 1961년 이후 처음이었다. 유엔 경제사회처(DESA)의 지난달 말 발표에 따르면 세계 인구 1위 자리도 인도에 넘어갔다. 홍콩에서는 부부당 자녀 수가 평균 0.9명으로 떨어졌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고 홍콩 밍보, 더스탠더드 등이 보도했다. 이는 역대 최저인 2012년(1.2명)보다 적다. 자녀가 1명도 없는 부부는 응답자 43.2%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최근 국제경제리뷰를 통해 “인구 고령화 및 생산연령인구 감소로 대변되는 중국 인구 구조 변화는 중국 경제에 중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칠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며 “산업 구조 및 글로벌 경제 변화를 유발하는 핵심 요인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8일 비즈니스인사이더에 따르면 컨설팅 업체 테리그룹은 “향후 10년 동안 중국의 생산가능인구가 매년 평균 700만 명 줄고, 2050년대에는 그 수가 연간 1200만 명으로 가속할 것”이라며 “이는 중국이 미국 및 주요국과 경쟁할 수 있는 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베이징=김기용 특파원 kky@donga.com}
내년 1월 대만 총통 선거를 앞두고 현재 지지율 1위를 달리고 있는 집권 민진당 후보 라이칭더(賴淸德) 대만 부총통이 12∼18일 미국을 경유해 중남미 수교국 파라과이를 방문하는 일정을 시작했다. 중국은 ‘대만 주권’을 강조하는 반중 성향의 라이 부총통이 출국 및 귀국 과정에서 각각 미국 뉴욕과 샌프란시스코를 경유하는 것이 ‘하나의 중국’ 원칙을 위반했다며 “‘트러블메이커’ 라이칭더의 ‘스톱오버’를 주선한 미국의 결정을 개탄하고 비난한다”고 반발했다. 동중국해에서 대만을 압박할 군사훈련 또한 실시하기로 해 대만을 둘러싼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재고조될 것으로 보인다. 라이 부총통은 12일 미 뉴욕 도착 직후 소셜미디어 X(옛 트위터)를 통해 “자유, 민주주의, 기회의 상징인 ‘빅 애플’(뉴욕의 별칭)에 도착해 행복하다. 뉴욕에서 미국 친구들을 만나기를 고대한다”고 밝혔다. 주(駐)대만 미국대사관 격인 미국재대만협회(AIT)의 잉그리드 라슨 집행이사는 뉴욕 JFK 국제공항에 도착한 라이 부총통의 비행기 안에 들어와 그를 영접했다. 대만과 미국 모두 아직 라이 부총통의 구체적인 미국 일정은 공개하지 않았지만 그가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이나 케빈 매카시 하원의장 등을 만날 가능성이 제기된다. 라이 부총통은 출국 전 타이베이 공항에서도 취재진에게 “같은 생각을 가진 국가의 대표단을 만나고 자신감 있게 교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15일 산티아고 페냐 신임 파라과이 대통령의 취임식에 참석한 후 중국계 이민자가 많은 샌프란시스코를 거쳐 귀국하기로 했다. 중국 외교부는 13일 홈페이지 입장문을 통해 “대만 독립주의자가 어떤 명목으로든 미국을 방문하는 것, 미국 정부가 대만과 공식적인 접촉을 하는 것을 단호히 반대한다”고 반발했다. 미국이 라이칭더의 미국 내 정치 활동을 주선했다며 “주권과 영토 보존을 위해 단호하고 강력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앞서 11일 중국 인민해방군은 12일 낮 12시∼14일 오후 4시에 대만 주변 동중국해에서 군사훈련을 한다고 공지했다. 중국은 올 4월 차이잉원(蔡英文) 대만 총통이 중남미 과테말라, 벨리즈를 방문한 뒤 귀국길에 미 캘리포니아주에서 매카시 의장을 만났을 때도 인민해방군 군용기와 군함 등을 대만 주변으로 대거 급파해 실탄 사격을 포함한 ‘대만 봉쇄 훈련’을 실시했다. 이번에도 비슷한 수준의 위협 훈련이 뒤따를 가능성이 제기된다. 다만 일각에서는 중국의 거듭된 군사 압박이 대만 유권자의 반중 정서를 고조시켜 라이 부총통의 인기를 더 높여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베이징=김기용 특파원 kky@donga.com}
“인구가 많은 중국에서 경쟁에서 이기는 길은 공부 뿐입니다.”중국의 한 지방 도시에 사는 A씨는 여름 방학인 지난달 5500위안(약 100만 원)을 들여 중학생 아들에게 ‘스터디 투어’를 시켰다. 고작 1주일이 채 안 되는 시간 동안 베이징대 등 명문대를 돌아보게 하는 투어다.평소에도 자녀에게 공부의 중요성을 늘 강조해온 A씨는 아들이 명문대 견학을 통해 공부에 대한 열의를 불태우기를 바란다고 했다. 그는 “중국의 명문대는 입시 경쟁이 치열하다. 목표로 하는 점수를 못 받으면 일본 유학을 보내는 것도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13일 중국 시사매체 시대주보(時代週報)가 전한 중국 학부모들의 현황이다. 소셜미디어 ‘샤오훙수’ 등에도 이처럼 ‘여름 학비 청구서’를 키워드로 삼은 학부모의 글이 속속 올라오고 있다.베이징에 사는 B씨는 지난달 신용카드로만 최소 5만 위안(약 920만 원)을 썼다. 대부분 각각 중학생과 초등학생인 두 자녀에게 들어간 돈이다. 식료품 구입 등 생활비는 포함시키지 않았는데도 900만 원이 넘었다.입시 경쟁이 치열한 중국에서는 사교육에 쓰는 돈이 많았다. 상당수 가정이 선택하는 시간당 200∼300위안(약 3만7000∼5만5000원)짜리 ‘흥미반’ 수업은 몇 과목만 등록해도 1만 위안이 훌쩍 넘는다. 16회 과학 수업을 1대1 과외로 받는데 1만2000위안(220만 원)을 쓰는 식이다.이 많은 돈을 쓴다고 해도 입시에 성공한다는 보장은 없다. 중앙정부가 실시하는 중국판 수학능력시험 ‘가오카오’를 통해 명문대에 입학하려면 750점 만점에 600점은 넘겨야 한다. 이 점수를 넘기는 수험생은 고작 3% 정도다. 최고 명문대인 베이징대, 칭화대의 입시에서 실패한 중국 수험생이 일본으로 눈을 돌려 일본 명문 교토대 등에 어렵지 않게 합격하는 사례도 적지 않다.최근에는 자녀의 견문을 넓히기 위한 목적으로 국내외 여행 등도 유행이다. 부모, 자녀 세 식구가 4박 5일간 국내 여행을 하는데만 보통 1만 위안(약 185만 원)이 든다. 해외 여행은 5만 위안(약 925만 원)을 넘길 때가 많지만 대부분의 부모가 이 돈을 지출한다.베이징=김기용 특파원 kky@donga.com}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9일(현지 시간) 미국 국가안보를 침해하는 중국 첨단산업에 대한 투자를 제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에 따라 첨단 반도체와 인공지능(AI), 양자컴퓨터 분야에서 미국 기업의 대(對)중국 투자가 전면 통제된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군사, 정보, 감시, 사이버 지원에 중요한 핵심 기술에 대한 위협에 맞서기 위해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하는 행정명령을 발동했다”고 밝혔다. 이어 중국과 홍콩, 마카오를 ‘우려 대상 국가’로 지정했다. 미 재무부는 행정명령에 따라 우려 국가인 중국에 대한 미국 기업의 투자를 제한하는 내용의 ‘사전규제 도입공고(ANPRM)’를 발표했다. 중국의 첨단 반도체와 AI, 양자컴퓨터 등 3개 분야에 대한 사모펀드(PEF)와 벤처캐피털(VC) 등 미국 자본의 투자를 규제하는 내용이다. 사실상의 투자 금지 조치로, 구형 직접회로 기업이나 군사적 감시 용도 이외 AI 분야에서도 해당 기업에 투자하려면 사전에 투자 계획을 의무적으로 신고해야 한다. 이번 행정명령은 신규 투자에만 적용되며 내년부터 시행될 것으로 보인다. 바이든 행정부는 이번 조치가 국가안보와 직결되는 핵심 기술의 중국 이전을 막기 위한 것이라는 뜻을 분명히 했다. 미 고위 당국자는 “중국은 미국의 돈을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그들이 가지지 못한 것은 노하우”라고 말했다. 미국이 지난해 대중 반도체 수출 규제에 이어 자본 투자까지 막으면서 중국의 ‘기술 굴기(崛起)’는 더 어려운 상황을 맞게 됐다. 중국은 “과학기술을 이용한 집단 괴롭힘”이라고 반발했다. 상무부는 10일 “중국은 미국의 글로벌 산업 및 공급망 교란에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며 조치를 취할 권리가 있다”고 밝혀 자원 무기화 등 대응 조치를 경고했다.美, 반도체-AI-양자컴 中투자 제한… 中, 광물 통제 보복 가능성바이든, 中투자제한 행정명령 서명기술 패권경쟁 ‘게임 체인저’ 우려… 中 AI-양자컴 기술개발 원천 차단정부, 국내업계 영향 제한적 전망속… 美의 규제 동참 압박 요구에 주목 지난해 10월 대(對)중국 반도체 수출 규제를 단행한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9일(현지 시간) 중국 첨단산업에 대한 ‘돈줄’ 죄기에 나서면서 양국 간 긴장이 재고조되고 있다. 중국은 ‘집단 괴롭힘’ ‘오만의 극치’ 같은 격한 표현을 사용하며 거세게 반발했다. 디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하락) 우려, 폭우에 따른 피해 와중에 미국의 추가 투자 제한 규제까지 직면한 중국이 자원 무기화를 통한 보복에 나설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최근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 재닛 옐런 재무장관 등 미국 고위 관계자의 잇따른 방중으로 조성된 양국 화해 분위기에도 악영향이 불가피해졌다. 한국 또한 후폭풍에서 자유롭지 않다. 바이든 행정부가 일본, 네덜란드 등 동맹국에 대중 반도체 규제에 동참하라고 꾸준히 압박해온 만큼 한국에도 비슷한 요구가 뒤따를 수 있다.● 美, 中 ‘게임 체인저’ 기술 개발 원천 차단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행정명령을 통해 미 사모펀드(PEF)와 벤처캐피털(VC) 등이 첨단 반도체, 인공지능(AI), 양자컴퓨터 등 3대 첨단기술 분야에서 중국에 투자할 때 재무장관의 허가를 받도록 해 사실상 투자를 금지시켰다. 미국이 중국에 대한 명시적인 투자 제한 카드를 꺼내 든 것은 처음이다. 중국이 반도체, 양자기술, AI 역량을 빠르게 발전시키면서 미 국가안보를 위협할 능력이 크게 강화된 만큼 미국 자본으로 중국이 첨단기술을 개발하지 못하도록 투자를 완전히 금지하겠다는 의미다. 미 재무부는 군사 및 정보 용도의 AI, 반도체 칩 설계 자동화 소프트웨어, 암호화 기술을 무력화하거나 군용 통신에 손상을 가할 수 있는 양자컴퓨팅 기술 등이 투자 금지 대상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미중 기술 패권 경쟁의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는 AI와 양자컴퓨터 분야는 사실상 포괄적으로 투자를 통제해 중국이 미국의 경쟁 상대가 될 기회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시행 시기는 빠르면 내년 1월이 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10일 외교-상무라인이 모두 나서 크게 반발했다. 중국 외교부는 대변인 명의 입장문에서 “미국이 국가안보를 가장해 경제·과학기술 영역을 정치화하고 시장경제 원칙을 위반했다”면서 “노골적인 경제적 강압이자 과학기술을 이용한 집단 괴롭힘”이라고 비판했다. 중국 상무부 또한 “미국이 ‘디리스킹(derisking·탈위험)’이라는 간판을 달고 투자 분야에서 ‘디커플링(decoupling·탈동조화)’을 했다”고 가세했다. 관영 영자지 글로벌타임스는 “투자 제한을 이용해 중국의 첨단기술 발전을 막을 수 있다고 믿는 것은 오만함의 극치”라고 맞섰다.● 미중 대화 시험대… “양국에 모두 악영향”정부는 미 행정명령이 국내 업계에 미치는 영향은 당분간 제한적일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나 미국 고위 당국자는 9일 브리핑에서 “이번 (대중 투자 제한) 조치에 동맹의 참여는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향후 한국 등 동맹에 미국이 이 조치에 참여하도록 압박할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간신히 대화 국면을 조성한 양국 관계에도 타격이 예상된다. 이미 갈륨, 게르마늄 등 핵심 광물의 수출을 통제하고 있는 중국이 리튬 등으로 자원 통제 대상을 확대할 가능성이 있다. 21일경 방중을 앞두고 있는 지나 러몬도 미 상무장관의 중국 방문 일정 또한 차질을 빚을 수 있다. 싫든 좋든 양국 경제가 서로 깊이 연관된 만큼 두 나라는 물론이고 세계 경제에도 악영향이 예상된다.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이 사치품과 원자재에 이르기까지 400여 개 품목 수입의 70% 이상을 미국과 동맹국에 의존하고 있다고 9일 전했다. 저명한 경제학자인 로렌초 코도뇨 영국 런던정경대(LSE) 방문교수는 미중 갈등,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불거진 ‘탈(脫)세계화’ 흐름을 우려하며 “세계가 두 블록으로 분열되는 것은 경제적으로 큰 손실”이라고 말했다.워싱턴=문병기 특파원 weappon@donga.com베이징=김기용 특파원 kky@donga.com}
중국이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대한 보복 조치로 2017년 3월부터 시행됐던 한국 단체관광 금지 조치를 해제했다. 미국과의 패권 갈등, ‘디플레이션(물가 하락 속 경기 침체)’ 위험 고조, 폭우 등으로 중국 경제에 경고등이 켜진 상황에서 단체관광 재개를 통한 경제 활성화, 한국과의 반도체 협력을 포함한 관계 개선 등을 모색하려는 행보라는 분석이 나온다. 10일 중국 문화여유부(문화관광부)는 한국, 미국, 일본 등 세계 78개국에 대한 중국인 단체여행을 전면 허용한다며 “여행 시장이 전반적으로 평온하게 운영되고 있어 교류 및 협력에 긍정적인 역할을 촉진했다”고 밝혔다. 올 2월 20개국, 3월 40개국에 문을 연 데 이은 3차 조치다. 이를 통해 한국은 약 6년 5개월 만에 중국인 단체관광객을 받을 수 있게 됐다. 2020년 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발발 후 중국인 단체 관광객을 받지 못했던 미국, 일본 등은 3년 6개월여 만이다. 국내에서는 중국의 이번 결정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외교부 당국자는 동아일보와의 통화에서 “한중 관계 회복, 경제적인 측면 등을 고려할 때 일단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며 “중국 측과 관광 재개 시점, 방식 등에 관해 긴밀하게 소통하고 있다”고 했다. 다만 아직 구체적인 조치가 시행되진 않은 만큼 양국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지켜봐야 하는 상황이라고도 했다. 11일부터는 코로나19 유행으로 중단됐던 중국∼한국 간 6개 노선 페리 운항도 재개된다. 문화체육관광부 관계자는 “관광 통계에 따르면 한국을 찾는 중국인의 90%가 항공, 10%가 페리 등 선박을 이용한다”며 중국 웨이하이∼경기 평택 등 6개 노선의 페리 운항을 재개한다고 설명했다. 이달 말에는 중국 베이징, 선양의 비자 신청센터 또한 문을 열기로 했다. 문체부 관계자는 “이미 지난달 월별 방한 외래 관광객 수에서 중국이 1위(잠정 24만 명)로 집계됐다”며 올가을 중국 최대 연휴인 ‘국경절’(9월 29일∼10월 6일)을 겨냥해 다음 달 베이징, 상하이 등 중국 대도시에서 ‘K관광 로드쇼’도 열 계획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중국의 한국 단체관광 재개 조치가 다른 나라보다 훨씬 늦게 이뤄졌다는 점에서 중국이 한중 관계 개선보다는 경제 활성화 목적으로 이를 허용했다고 보고 있다. 중국인 단체관광객의 한국 방문이 늘어나면 한국 관광객의 중국 방문 또한 증가할 것이고, 이는 최근 물가 하락과 소비 부진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가 큰 중국 경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베이징=김기용 특파원 kky@donga.com김정은 기자 kimje@donga.com신진우 기자 niceshin@donga.com}
중국이 사드(THAA·고도고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대한 보복 조치로 2017년 3월부터 시행돼 온 한국 단체관광 금지 조치를 해제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발생 이후 금지해 온 중국인의 해외 단체여행을 전면 허용하기로 한 데 따른 것이다. 10일 중국 문화여유부(문화관광부)는 한국과 미국, 일본 등 세계 78개국에 대한 중국인 단체여행을 허용한다고 발표했다. 앞서 1차(2월) 20개국, 2차(3월) 40개국에 문을 연데 이은 3차 조치다. 문화여유부는 “중국 공민(국민)의 해외 단체여행과 관련한 여행사 업무를 시범적으로 재개한 뒤 여행시장이 전반적으로 평온하게 운영돼 여행 교류·협력에 긍정적인 역할을 촉진했다”면서 전면 개방 이유를 설명했다. 이번 조치로 한국은 6년여 만에 중국인 단체관광객을 받을 수 있게 됐다. 일본 미국 등은 2020년 코로나19 확산 이후 금지됐기 때문에 3년 6개월여 만이다. 국내에서는 중국의 이번 결정에 대체로 긍정적 반응이 나오고 있다. 경기 회복은 물론,한중 관계 개선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란 전망까지 나온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동아일보와의 통화에서 “중국의 단체관광 재개는 한중 관계 회복이나 경제적인 측면 등을 고려할 때 일단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면서 “중국 측과 관광 재개 시점, 방식 등 관련해 긴밀하게 소통하고 있다”고 했다. 다만 “아직 구체적인 조치가 시행되진 않은 만큼 양국 관계에 어떤 영향을 끼칠진 더 지켜봐야 하는 상황”이라고도 했다.코로나19 유행으로 중단됐던 중국~한국간 6개 노선 페리 운항도 11일부터 재개된다. 문화체육관광부 관계자는 “관광 통계에 따르면 한국을 찾는 중국인들의 경우 90%가 항공, 10%가 페리 등 선박을 이용한다”며 “중국 하이웨이시~경기 평택등 6개 노선의 페리 운행이 재개된다”고 설명했다.5월 중국 단체관광객의 제주 무비자 환승 제도가 재개된 가운데 이달 말 중국 베이징과 선양에 비자신청센터도 개소될 예정이다. 문체부 관계자는 “중국은 이미 지난달 월별 방한 외래 관광객수 1위(잠정 24만 명)으로 집계됐다”며 “중국 최대 연휴인 국경절 연휴(9월 29일~10월 6일)를 겨냥해 다음달 베이징과 상하이 등에서 K관광 로드쇼도 열 계획”이라고 말했다.하지만 일각에서는 중국의 한국 단체관광 재개 조치가 마지막인 3차에서야 이뤄졌다는 점에서 한중 관계 개선보다는 중국의 필요에 따른 조치라는 분석도 있다. 최근 물가 하락과 소비 부진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가 큰 중국 당국이 여행, 항공업 등 경제 파급 효과가 큰 관광산업 개방을 선택했다는 얘기다. 베이징=김기용 특파원 kky@donga.com김정은 기자 kimje@donga.com}
중국 체감경기를 보여주는 소비자물가가 2년 5개월 만에 마이너스로 전환됐다. 물가는 하락하는데 소비가 살아나지 않으면서 중국 경제가 디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하락)에 진입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세계의 시장’ 중국이 팬데믹 이후 세계 경제에 활기를 불어넣을 것이란 기대가 약해지면서 대중 무역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9일 중국 국가통계국은 7월 중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0.3% 하락했다고 밝혔다. 중국의 월별 CPI가 마이너스로 떨어진 것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이 한창이던 2021년 2월(―0.2%) 이후 2년 5개월 만이다. 중국의 월간 CPI는 올 1월 2.1%를 기록한 뒤 3월부터 4개월 연속 0%대에 머물렀고, 6월엔 0%까지 떨어졌다. CPI와 함께 대표적 물가관리 지표로 CPI의 선행지표로 여겨지는 생산자물가지수(PPI)도 ―4.4%로 집계돼 10개월 연속 마이너스 행진을 이어갔다. 중국 CPI와 PPI 상승률이 동반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2020년 11월 이후 처음이다. 중국 당국은 소비를 진작하기 위해 지난달 자동차 가전 가구 등 내구재 소비 촉진 방안과 민간 투자 활성화 대책 등을 쏟아냈다. 하지만 소비자들의 지갑을 여는 데는 역부족으로 보인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지난해 7월의 물가 상승 수준이 높았기 때문에 나타나는 일시적 현상”이라며 “항후 (물가가) 점진적으로 상승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블룸버그통신은 “2021년 초 CPI 하락이 (코로나19로 인해) 일시적이었던 것과 달리 최근 물가 하락은 수요 감소, 부동산 시장 침체 같은 장기적인 요인에 의한 것으로 더 심각하다”면서 “중국이 사실상 디플레이션에 빠졌다”고 진단했다. 전문가들은 중국 경기 둔화가 당분간 한국 경제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다고 입을 모은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중국 시장은 여전히 한국의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 수출의 50% 안팎을 차지하고 있다”며 “중국 경기 침체로 한국 경제가 올해 안에 회복 국면에 접어들기는 쉽지 않다”고 말했다.中, 일본식 장기불황 문턱에… 韓, 하반기 성장률 더 떨어질 우려 中, 7월 수출 작년보다 14.5% 감소제조-고용-소비 등 지표 모두 악화日 ‘잃어버린 30년’ 시작 때와 비슷한국 수출 감소-경제 타격 불가피중국에서 ‘D(디플레이션)의 공포’가 확산되고 있다. 중국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2021년 2월 이후 2년 5개월 만에 마이너스(―)를 기록한 가운데 수출, 제조, 고용 등 경제 전반의 악화 현상이 뚜렷하기 때문이다. 당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 폐지 이후에도 소비 심리는 살아나지 않고 부동산 침체, 미국과의 패권 갈등 등도 경제에 부담을 안기고 있다. 일각에서는 중국이 ‘잃어버린 30년’을 겪은 일본식 장기불황의 문턱에 서 있다고 본다. 중국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한국의 주력 수출 품목인 반도체, 자동차, 철강, 화학 제품의 대(對)중국 수요가 감소하고, 중국 위안화 가치 하락으로 한국의 수출 경쟁력에도 부정적 영향이 예상된다. ● 中 제조·소비·고용·수출 ‘빨간불’ 최근 발표된 중국의 주요 경제 지표는 모두 부진을 면치 못했다. 8일 중국 해관총서(관세청)에 따르면 7월 수출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14.5% 줄었다. 감소 폭 또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초기였던 2020년 1∼2월(―17.2%) 이후 41개월 만의 최저치다. 7월 수입 역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2.4% 감소했다. 7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도 49.3으로 기준점 50을 하회했다. 6월 중국의 16∼24세 청년실업률은 21.3%로 관련 통계 작성 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제조, 소비, 수출, 고용 등이 모두 부진함에 따라 경기 회복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실제 중국 2분기(4∼6월) 경제성장률은 지난해 상하이 봉쇄 등에 따른 기저 효과에도 전년 동기 대비 6.3%에 그치며 시장 전망치(7.1%)에 크게 못 미쳤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최근 “올해 중국 상황이 1980년대 부동산 거품이 터진 후 일본과 비슷하다”며 중국이 ‘일본식 불황’을 겪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당시 일본은 가계와 기업이 소비와 투자를 늘리기보다 빚 갚기에 집중하면서 ‘수요 부진→물가 하락→경기 침체 악화’의 악순환이 나타났다. 일본은 아직도 이때의 여파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중국이 당시 일본처럼 ‘대차대조표 불황’에 빠졌다는 설명도 나온다. 가계와 기업들이 대차대조표를 맞추기 위해 빚부터 줄인다는 뜻에서 붙여졌다.● “韓 경제에도 타격 불가피” 침체 국면에 접어든 중국 경제는 이미 한국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7월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4%로 하향 조정하면서 중국 경기 회복에 따른 파급 효과가 예상보다 약하다는 점을 짚었다. 한국개발연구원(KDI)도 ‘8월 경제동향’에서 중국 경기 회복 지연을 한국 경제의 하방 위험으로 지적했다. 한국은행은 하반기에는 중국 내수 회복세가 점차 강화될 것으로 평가하면서도 저물가 상황이 경제에 부담이 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한은은 최근 내놓은 보고서 ‘2023년 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및 주요 이슈’에서 “현재로선 중국 경제가 디플레이션에 진입할 가능성은 낮다고 평가되지만 저물가 상황이 장기화될 경우 경제 주체들의 기대 약화로 이어져 소비 및 투자 등 내수 회복이 더욱 지연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9일 비상경제장관회의 겸 수출투자대책회의에서 “중국 리오프닝(경제 활동 재개) 효과 지연 가능성 등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여전한 만큼 한순간도 긴장의 끈을 놓아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일각에선 대중(對中) 교역 구조를 다시 정립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강준영 한국외국어대 국제지역대학원 중국학과 교수는 “여전히 중국 의존도가 높은 상황”이라며 “중국이 필요로 하는 산업을 중심으로 새로운 교역 구조를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했다.베이징=김기용 특파원 kky@donga.com세종=김형민 기자 kalssam35@donga.com조응형 기자 yesbro@donga.com이지윤 기자 asap@donga.com}
중국 경제의 주요 부진에는 경제의 약 25%를 차지하는 부동산 시장의 침체가 있다. 2021년 부동산 대기업 헝다그룹이 달러 채권의 이자를 지급하지 못해 채무불이행(디폴트)을 맞은 후 2년 넘도록 부동산 경기가 살아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이 와중에 또 다른 부동산 기업 컨트리가든, 완다 등도 디폴트 위기에 빠져 부동산 업계의 ‘도미노 디폴트’ 공포가 확산하고 있다. 8일(현지 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중국 유명 부동산 개발업체 컨트리가든이 7일 이자 지급일이 도래한 10억 달러짜리 채권에 대한 이자 2250만 달러를 상환하지 못했다. 30일의 유예 기간을 확보했지만 한 달 후 이자를 지급할지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홍콩 증시에 상장된 컨트리가든 주가는 8일 14% 급락했다. 다른 부동산 기업의 주식도 일제히 내렸다. WSJ는 “컨트리가든의 이자 미지급 사태는 중국 부동산 시장에 대한 부정적인 파급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우려했다. 지난달엔 또 다른 대형 부동산 개발업체 완다그룹의 핵심 계열사 ‘다롄완다 상업관리집단’이 디폴트 위기에 처했다가 계열사 지분을 팔아 간신히 급한 불을 껐다. 미국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유동성 부족 등을 이유로 다롄완다의 장기채 신용등급을 ‘BB’에서 ‘B+’로 하향했다. 추가 하향 가능성도 높다고 진단했다. 부동산 지표의 악화 또한 뚜렷하다. 중국부동산정보(CRIC)에 따르면 중국 100대 부동산개발업체의 7월 신규주택 판매액은 3054억3000만 위안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3.1% 감소했다. 올 6월과 비교해도 33.5% 줄었다. 중국 당국은 대출 금리 인하, 대출 지원 대상 확대, 세제 혜택 등 각종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냉각된 부동산 시장을 녹이기엔 역부족이다.베이징=김기용 특파원 kky@donga.com}
《지난달 29일 중국 베이징에서 고속열차로 4시간 떨어져 있는 랴오닝성 다롄을 찾았다. 다롄에 있는 한 교민의 제보를 받고서다. 그는 “최근 다롄에서 항일정신 계승 활동이 위축되고 있다”고 말했다. 분명하지는 않지만 중국 당국의 개입으로 보이는 정황도 있다고 덧붙였다. 한중 관계가 안 좋아지면서 항일정신 계승마저 흔들리고 있다는 얘기다. 그 우려가 조금씩 현실이 되고 있다.》 다롄은 한국인에게는 ‘요동반도’로 더 익숙한 랴오둥(遼東)반도 끝에 있다. 인구 608만 명(2022년 기준)으로 랴오닝성 성도인 선양(인구 914만 명)에 이어 두 번째로 큰 도시다. 지리적으로 한반도와 가까워서인지 다롄에는 한국 교민도 많이 살고 있다. 최근 2000∼3000명 수준으로 많이 줄었지만 한때 4만 명에 달했던 적도 있다. 그래서 이곳에는 한국 국제학교가 있고 주중 한국대사관의 영사출장소도 있다. 대도시인 베이징 상하이 못지않게 여러 교민단체들도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2020년 SK하이닉스가 이곳에 반도체 공장까지 마련하면서 한국과는 더 가까워진 느낌이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다롄과 한국은 ‘안중근’이라는 역사적 인물로 연결돼 있다는 점을 빼놓을 수 없다. 다롄에는 안중근 의사가 형장의 이슬로 사라진 뤼순(旅順)감옥이 있다. 폐쇄된 ‘안중근 전시실’ 뤼순감옥의 현재 정식 이름은 한국식 한자 발음으로 ‘여순일아감옥구지(旅順日俄監獄舊址)’다. 러시아와 일본이 감옥으로 사용한 옛터라는 뜻이다. 중국 정부는 현재 감옥 부지 전체를 박물관으로 바꿔 운영하고 있다. 일본은 러일전쟁(1904∼1905년) 후 다롄을 점령하면서 더 많은 항일 운동가들을 수감하기 위해 뤼순감옥을 증축했다. 1906∼1936년 수감자는 11개국 항일운동가 2만여 명에 달했다. 한국인, 중국인, 러시아인 등이 수감됐는데 한국인으로는 안중근 신채호 이회영 등이 대표적이다. 2009년 당시 국가보훈처(현 국가보훈부), 광복회 등은 뤼순감옥 측과의 오랜 협의 끝에 중국 당국의 허가를 받아 한국 독립운동가들을 기리는 별도 전시관을 만들었다. 이곳에는 안 의사 흉상과 옥중 글씨 등이 전시돼 있어 ‘안중근 전시실’로 불리며 다롄을 방문하는 한국인 관람객들의 필수 코스가 됐다. 중국 당국도 이 사실을 알고 많은 배려를 해 왔다. ‘안중근 전시실’ 외에도 뤼순감옥 박물관 내 모든 전시실에 중국어와 함께 한국어가 병기돼 있을 정도다. 일제 침략을 함께 겪은 한국과 중국이 항일정신 계승만큼은 함께할 수 있다는 의지를 보인 것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한중 항일정신 계승 공동 활동의 산물로 여겨져 온 ‘안중근 전시실’은 최소 2개월 이상 폐쇄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 기자가 지난달 29, 30일 이틀간 방문한 ‘안중근 전시실’은 입구에 자물쇠가 채워진 상태였다. 뤼순감옥 박물관 내 다른 전시실은 모두 관람이 가능한데 유독 ‘안중근 전시실’만 관람이 불가능한 것이다. 뤼순감옥 박물관 관계자는 지난달 30일 안중근 전시실 폐쇄 사유와 재개관 일정 등을 묻는 동아일보의 질문에 “시설 점검 및 보수 중”이라며 “재개관 날짜는 모른다”고 답했다. 8일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안중근 전시실’은 누수 문제로 보수를 위해 문을 닫은 것”이라며 “어느 박물관에서나 통상적으로 하는 수리를 의도적으로 양국 관계로 연결해 중국에 대한 분노를 유발하려는 사람들이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전시실이 폐쇄된 지 이미 최소 2개월 이상 지났고, 이틀 동안 폐쇄된 전시실을 지켜본 결과 아무런 보수 활동이 없었다는 점은 중국 측의 설명을 무색하게 하고 있다. 또 전시실 폐쇄 시점으로 추정되는 4월은 윤석열 대통령이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대만해협에서의 일방적 현상 변경을 반대한다”고 언급하면서 한중 갈등이 최고조에 이른 시기라는 점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단순히 ‘내부 수리’를 위한 폐쇄가 아닐 수 있다는 얘기다. ‘항일정신 계승 활동’ 위축 중국 당국이 밝힌 대로 ‘안중근 전시실’을 실제 수리하려는 계획이라고 해도 다롄 지역 전반에서 한국인들의 항일정신 계승 활동이 위축되고 있는 점은 분명한 사실이다. 특히 지난해와 달리 올해 모든 관련 활동이 연기되고 있다. 다롄에 있는 교민단체인 ‘안중근 의사 정신찾기 운동본부’는 지난해 5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 속에서도 안 의사의 항일정신과 애국정신을 되새기는 걷기 대회를 개최했다. 이 행사에는 교민 300여 명이 참가했다. 지난해 7월에는 동북3성(랴오닝성, 지린성, 헤이룽장성)에 있는 한국 학생 30여 명을 선발해 ‘안중근 의사 정신 계승 리더십 함양 캠프’ 행사도 개최했다. 또 11월에는 다롄에 있는 한국 국제학교 교사와 학생 170여 명이 참여해 안 의사에 대한 재판을 연극을 통해 재해석하는 행사도 열었다. 과거 일제가 사형선고를 내린 재판이 부당하다는 점을 알리는 자리였다. 운동본부 관계자는 “지난해의 경우 이 행사들을 개최할 때 중국 측 관계자들의 전폭적인 지지가 있었다”면서 “올해도 5월과 7월에 행사를 개최하기 위해 날짜까지 확정했지만 중국 측 분위기가 확연하게 달라져 행사를 개최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 중국에서 외국인들이 행사를 개최하기 위해서는 중국 공안 당국의 협조가 반드시 필요한데 이것이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결국 지난해 코로나19 속에서도 성황리에 개최됐던 행사들이 올해는 줄줄이 연기됐다. 하반기에 개최할지도 불투명한 상황이다. 뤼순감옥 주변에서 오랫동안 진행돼 온 안 의사 유해 찾기 움직임도 지지부진해진 모습이다. 올 5월 안 의사의 유해가 묻혀 있을 가능성이 높은 곳이 제시됐지만 중국 당국의 협조 없이는 발굴이 불가능하다. 한중 관계가 항일 과거사 조명 작업에 영향을 미치는 사례는 다롄에 국한되지 않는다. 지린성 옌볜조선족자치주 룽징(龍井)에 있는 윤동주 시인 생가도 7월부터 폐쇄됐다. 윤동주 생가는 인근 백두산을 찾는 한국인 관광객들의 필수 관람 코스다. 중국 측은 윤동주 생가 역시 내부 수리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4일 윤동주 시인 생가 관리자는 동아일보와의 통화에서 “옌볜조선족자치주 정부의 요구로 폐쇄 중”이라고 밝혔다. 내부 수리를 위해서가 아니라 지방정부의 요구가 있었다는 얘기다. 한중 양국이 이견 없이 공동으로 진행할 수 있는 항일정신 계승 활동에 대해서도 중국 측이 딴죽을 걸고 나오면서 한중 관계가 더 악화돼선 안 된다는 우려가 확산하고 있다. 다만 일부에서는 중국에 고도의 정치적 노림수가 있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안중근 전시실’과 ‘윤동주 생가’ 폐쇄가 윤석열 정부의 반중(反中) 움직임 탓이라는 여론을 조성해 한국 정부를 압박하려 한다는 얘기다. 중국공산당이 중요 국면 때마다 여론몰이에 능한 면모를 보여 왔던 점을 고려하면 개연성이 있는 해석이다.―다롄에서 김기용 베이징 특파원 kky@donga.com}
중국이 필리핀과 영유권 분쟁을 벌이고 있는 남중국해 스프래틀리 제도(중국명 난사·南沙 군도)에서 필리핀 해양경비대를 향해 물대포를 쏜 것을 계기로 남중국해에서의 미중 갈등이 격화하고 있다. 미국은 “필리핀과 맺은 상호방위조약에 따라 대처할 것”이라며 중국에 경고를 보냈다. 일본, 독일, 호주, 캐나다 등 미국의 동맹국 또한 일제히 중국을 비판했다. 그러자 중국도 미국에 “이간질을 중단하라”고 맞받아쳤다. 중국은 남중국해에 ‘구단선’으로 불리는 9개의 가상 선을 긋고 선 안쪽 90%가 자국 영해라고 일방적으로 주장하고 있다. 2016년 국제상설중재재판소가 “국제법상 근거가 없다”고 판결했지만 이를 무시하고 있다. ‘대륙 세력’인 중국은 곳곳의 암초에 군사기지 등을 건설하며 인도태평양으로 영향력을 확장하려 하고 있다. 이로 인해 필리핀은 물론 말레이시아, 베트남, 브루나이 등 동남아시아 주요국과도 사사건건 갈등을 겪고 있다. ‘해양 세력’인 미국은 동맹을 결집해 그런 중국의 해양 팽창을 견제하고 있다. ● 美, 동맹과 남중국해 합동 정찰 강화 중국 해안경비대의 대형 함정은 5일 남중국해 스프래틀리 제도 내 세컨드토머스 암초 부근에서 필리핀 해병대에 보급품을 전달하려는 필리핀 소형 함정에 물대포를 발사했다. 이 보급선을 보호하는 필리핀 해안경비정에도 가까이 다가가 위협했다. 필리핀은 “해당 보급선이 군 기지에 물자를 보급하고 병력을 교대하는 통상적인 작업을 진행 중이었다. 물대포 발사는 주권 침해”라고 반발했다. 이에 7일 황시롄(黃溪連) 주필리핀 중국대사를 초치해 항의했다. 필리핀과 군사동맹을 맺고 있는 미국도 나섰다. 7일 미 국무부는 “중국이 필리핀의 합법적인 공해상 ‘항행의 자유’를 방해했다. 국제법에 부합하지 않으며 지역 평화와 안정을 직접적으로 위협했다”고 규탄했다. 1951년 미국과 필리핀이 맺은 상호방위조약 제4조를 직접 거론하며 “남중국해에서 필리핀 해안경비대를 포함한 필리핀 공공 선박, 항공기 및 군대에 대한 무력 공격에 미국의 상호방위 약속으로 대처할 것”이라고도 했다. 무력 공격에는 공동 대처하겠다는 얘기다. CNN 등은 미국이 일본, 호주 등과 함께 조만간 남중국해 합동 정찰 강화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미국이 중국의 위협에 강경하게 대처하지 않으면 영유권 분쟁을 벌이고 있는 남중국해에서 중국의 현상 변경 시도가 계속될 것으로 내다봤다.●中 “美-日 선박이면 물대포로 안 끝나” 중국 외교부는 8일 성명을 통해 “이 암초는 난사 군도의 일부”라며 “필리핀이 불법으로 해당 암초에 건축 자재를 수송하려고 시도해 물대포로 대응했다”고 맞섰다. 자국 영토를 지키기 위한 정당한 행위였다는 주장이다. 이어 “미국은 남중국해 문제를 이용해 소란을 일으키거나 이간질하는 것을 중단하고 남중국해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기 위한 지역 국가의 노력을 존중하라”고 맞섰다. 중국 관영 환추시보는 물대포 사용이 필리핀을 봐준 것이라는 주장을 폈다. 이 신문은 “중국 해경선이 필리핀 선박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직접 봉쇄하면 충돌하거나 침몰할 수 있다. 그래서 물대포를 사용한 것”이라고 했다. 미국이나 일본 선박이었다면 중국의 대응이 훨씬 공격적이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필리핀은 세컨드토머스 암초 일대에서 자국 군함이 좌초했다며 1999년 해군 수송선을 파견해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이 받아들이지 않으면서 지금도 양국 충돌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중국은 올 2월 이 지역에서 음식과 군용 물자 보급 작업을 지원하던 필리핀 선박을 향해 레이저를 쐈다. 2021년 11월에도 필리핀의 군용 물자 보급선에 물대포를 발사했다. 중국은 8일 “1999년 좌초된 군함을 서둘러 예인하라”고도 압박했다.박효목 기자 tree624@donga.com베이징=김기용 특파원 kky@donga.com}
중국이 국내 경제 전문가들에게 “자국 경제에 대한 부정적 언급을 하지 말라”는 압력을 가하고 있다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 대만 중앙통신 등이 6일 보도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 조치 전면 해제, 부동산 규제 완화 등에도 경기 회복세가 예상보다 더디자 일종의 ‘언론 통제’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이런 행보가 고질적인 투명성 부족 비판을 심화시켜 국내외 투자자의 불신만 가중시킬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FT에 따르면 유명 경제학 교수 최소 7명은 최근 당국으로부터 ‘수출 감소’ ‘부동산 경기 침체’ 등에 관한 주제로 토론하지 말라는 지시를 받았다. 당국의 자문 역할을 하는 싱크탱크 연구원, 증권사 애널리스트 등도 “경제 관련 소식을 긍정적으로 전달하라”는 압력을 받았다고 공개했다. 중앙통신 또한 일부 전문가가 ‘중국 디플레이션’ ‘해외 자본 도피’ 등의 표현을 하지 말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전했다. 일각에서는 당국이 경제 기사에 달린 부정적 댓글까지 통제하고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당국은 국제 연구기관, 외국계 증권사 및 투자자들에게 제공해 오던 각종 경제지표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있다. 실제 올 6월부터 전력 소비 통계, 토지 경매 기록, 온라인 쇼핑 동향 등의 경제 데이터에 대한 외국인의 접근이 차단됐다. 이로 인해 해외에서 중국 경제에 관한 데이터를 구하려면 중국 내 학자나 연구원에게 의존해야 한다. 이런 상황에서 당국이 ‘해외 투자자의 눈과 귀’ 역할을 하는 자국 경제 전문가에게 긍정적 해석만 강요해 사실상 경제지표를 왜곡하고 있는 셈이다. FT가 위기의 중국 경제를 구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국내외 투자자의 신뢰를 높이는 것이라고 꼬집은 이유다. 최근 중국의 주요 경제 지표에는 모두 빨간불이 켜졌다. 2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6.3%로 7%대였던 시장 전망치에 크게 못 미쳤다.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같은 달과 같았고 6월 생산자물가는 5.4% 떨어졌다. 이로 인해 전 세계적 물가 상승 기조 와중에도 중국만 ‘일본식 장기 불황 및 디플레이션’ 상태에 진입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높다.베이징=김기용 특파원 kky@donga.com}
중국이 국내 경제 전문가들에게 “자국 경제에 대한 부정적 언급을 하지 말라”는 압력을 가하고 있다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 대만 중앙통신 등이 6일 보도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 조치 전면 해제, 부동산 규제 완화 등에도 경기 회복세가 예상보다 더디자 일종의 ‘언론 통제’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이런 행보가 고질적인 투명성 부족 비판을 심화시켜 국내외 투자자의 불신만 가중시킬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FT에 따르면 유명 경제학 교수 최소 7명은 최근 당국으로부터 ‘수출 감소’, ‘부동산 경기 침체’ 등에 관한 주제로 토론하지 말라는 지시를 받았다. 당국의 자문 역할을 하는 싱크탱크 연구원, 증권사 애널리스트 등도 “경제 관련 소식을 긍정적으로 전달하라”는 압력을 받았다고 공개했다.중앙통신 또한 일부 전문가가 ‘중국 디플레이션’, ‘해외 자본 도피’ 등의 표현을 하지 말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전했다. 일각에서는 당국이 경제 기사에 달린 부정적 댓글까지 통제하고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당국은 국제 연구기관, 외국계 증권사 및 투자자들에게 제공해 오던 각종 경제지표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있다. 실제 올 6월부터 전력 소비 통계, 토지 경매 기록, 온라인 쇼핑 동향 등의 경제 데이터에 대한 외국인의 접근이 차단됐다. 이로 인해 해외에서 중국 경제에 관한 데이터를 구하려면 중국 내 학자나 연구원에게 의존해야 한다. 이런 상황에서 당국이 ‘해외 투자자의 눈과 귀’ 역할을 하는 자국 경제 전문가에게 긍정적 해석만 강요해 사실상 경제지표를 왜곡하고 있는 셈이다. FT가 위기의 중국 경제를 구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국내외 투자자의 신뢰를 높이는 것이라고 꼬집은 이유다.최근 중국의 주요 경제 지표에는 모두 빨간 불이 켜졌다. 2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6.3%로 7%대였던 시장 전망치에 크게 못 미쳤다.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같은 달과 같았고 6월 생산자물가는 5.4% 떨어졌다. 이로 인해 전세계적 물가 상승 기조 와중에도 중국만 ‘일본식 장기 불황 및 디플레이션’ 상태에 진입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높다. 베이징=김기용 특파원 kky@donga.com}
최근 폭염, 폭우 등이 강타한 중국에 지진까지 덮쳤다. 더딘 경기 회복 와중에 잇따른 자연 재해로 인명 및 재산 피해가 속출하면서 민심이 들끓고 있다. 특히 폭우로 큰 피해를 본 수도 베이징 인근 허베이성에서는 “베이징을 지키기 위해 우리가 희생양이 됐다”는 불만이 속출하고 있다. 6일 당국에 따르면 이날 오전 2시 33분 산둥성 더저우시 핑위안현에서 규모 5.5 지진이 발생했다. 여진 또한 52차례 발생해 최근 10년간 산둥성에서 발생한 규모 3.0 이상 지진(44차례) 중 가장 규모가 컸다. 관영 중국중앙(CC)TV에 보도된 영상에는 건물 외벽 일부가 떨어지고 상점 진열대에서 물건이 쏟아지는 모습 등이 보도됐다. 지진으로 주택 126채가 파손되고 21명이 다쳤다. 앞서 지난달 말 상륙한 제5호 태풍 독수리가 최근까지 폭우를 야기해 베이징, 허베이성 등에서 최소 27명이 숨지고 58명이 실종됐다. 허베이성 싱타이에서는 이틀 동안 1003mm 폭우가 내려 약 222만 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베이징 북서부 창핑구에서도 지난달 29일부터 이달 2일까지 140년 만의 최대 강우량인 744.8mm의 비가 왔다. 수해 현장을 찾은 니웨펑(倪岳峰) 허베이성 당서기가 “베이징을 위한 ‘해자(垓字·성을 지키기 위해 주위를 파 경계로 삼은 구덩이)’가 되자”는 망언을 한 것도 민심 분노를 가중시켰다. 허베이성 곳곳에서는 “당국이 베이징의 침수 위험을 낮추기 위해 성 내 위험을 도외시했다”는 비판이 잇따른다. 폭염도 기승이다. 베이징, 톈진, 허베이성 등은 올 6월 중순부터 연일 낮 최고기온이 40도에 육박했다. 올 들어 베이징 고온 일수(최고기온이 35도 이상인 날)는 28일로 23년 만에 가장 많았다.베이징=김기용 특파원 kky@donga.com}
중국이 올 상반기(1∼6월) 일본을 제치고 세계 자동차 수출 1위에 올랐다. 전기차 수출 증가와 러시아 시장 확대가 큰 역할을 했다. 이 같은 전기차 수출 상승세가 지속된다면 중국이 연간 기준 사상 처음으로 자동차 수출 세계 1위에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6일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중국자동차공업협회(CAAM) 자료를 인용해 중국이 올 들어 6월까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6% 증가한 자동차 214만 대를 수출했다고 보도했다. 세계 자동차 수출 1위 국가 자리를 지켜 온 일본의 올 상반기 자동차 수출은 지난해 동기 대비 17% 증가한 202만 대로 중국보다 12만 대 적었다. 앞서 올 1분기(1∼3월)에도 중국은 107만 대를 수출하면서 일본(95만4000대)을 제쳤다. 2021년 한국을 제치고 일본 독일에 이어 세계 3위 자동차 수출국에 오른 중국은 지난해 총 311만 대를 수출하며 독일까지 넘어서 2위가 됐다. 현재 추세라면 올해는 수출 400만 대를 무난히 넘겨 일본을 추월해 세계 1위에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자동차 수출 견인차는 전기차를 비롯한 친환경 신(新)에너지 차량(전기·수소·하이브리드차)이다. 수출 자동차 가운데 신에너지차는 53만4000대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160% 증가했다. 중국 상하이에 공장을 둔 테슬라가 18만 대, 중국 전기차 선두 업체 비야디(比亞迪·BYD)가 8만 대를 수출했다. 특히 러시아에 올 1∼5월 28만7000대를 수출해 중국 자동차 수출 대상국 가운데 가장 많았다. 지난해 2월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후 러시아에 있던 한국과 일본 유럽 자동차 기업이 현지 사업을 축소하자 중국 자동차가 이 틈새를 비집고 들어간 것으로 풀이된다.베이징=김기용 특파원 kky@donga.com}
중국공산당은 선전선동에 강하다. 특정 의제에 대한 여론을 조성하는 행위에도 능수능란하다. 최근 중국 내 한국 독립투사 관련 유적지를 연이어 폐쇄한 중국의 행보가 우연이 아닐 수 있는 이유다. 당국은 북동부 랴오닝성 다롄에 있는 뤼순(旅順) 감옥 박물관 내 ‘안중근 전시실’을 폐쇄했다. 인근 지린성 옌볜조선족자치주 룽징(龍井)에 있는 ‘윤동주 생가’도 관람을 금지했다. ‘안중근 전시실’은 올 4월, ‘윤동주 생가’는 지난달 폐쇄된 것으로 보인다. 공교롭게도 모두 ‘내부 수리’가 이유다. 일제강점기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를 사살한 안중근 의사. 또 ‘서시’ ‘별 헤는 밤’ 등 수많은 명시를 남긴 윤동주 시인. ‘총’과 ‘펜’으로 한민족의 망국(亡國) 아픔을 달랜 두 사람은 한국인에게 특별한 감정을 느끼게 한다. 다롄을 찾는 한국 관광객에겐 ‘안중근 전시실’이 필수 관람 코스다. 전시실 내 안 의사의 흉상 아래는 한국인들이 두고 간 국화꽃이 늘 수북하다. 그가 뤼순 감옥에서 형장의 이슬로 사라진 지 113년이 지났지만 그의 정신을 추모하고 계승하려는 움직임이 여전하다. 영화, 뮤지컬, 소설 등 안 의사를 소재로 한 다양한 콘텐츠가 지금도 끊이지 않는 이유다. ‘윤동주 생가’ 역시 인근 백두산을 관광하는 한국인이 꼭 찾는 곳이다. 그의 작품 대부분이 시비(詩碑)로 만들어져 있다. 특히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 없기를…’이라는 문구가 담긴 ‘서시(序詩)’ 시비 앞에서는 모든 한국인이 뭉클함을 느낀다. 그러나 중국인은 거의 찾지 않는다. 대부분의 중국인은 윤 시인을 아예 모른다. 중국은 왜 ‘안중근 전시실’과 ‘윤동주 생가’를 폐쇄했을까.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한중 갈등이 커지면서 중국 지방정부가 중앙의 눈치를 보고 과도하게 움직인 결과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4월 마오닝(毛寧)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윤석열 대통령을 향해 사실상 욕설에 가까운 ‘불용치훼(不容置喙·말참견을 허용하지 않겠다)’ 표현을 사용해 외교 결례 비판을 받았다. 두 달 뒤 싱하이밍(邢海明) 주한 중국대사는 “중국의 패배에 베팅하지 말라”는 협박성 발언까지 했다. 중앙정부의 이런 기조에 부응하기 위해 지방정부 또한 한국 관련 유적지를 홀대하고 있다는 의미다. 특히 경제적으로 낙후한 동북 3성(랴오닝성, 지린성, 헤이룽장성)은 더더욱 중앙정부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처지다. 이번 사태를 ‘한한령(限韓令·한류 제한령)’과 비슷한 맥락에서 보는 시각도 있다. 지금도 중국 중앙정부는 “한한령이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즉, 한국 유적지 홀대 또한 지방정부와 관련 단체가 중앙정부의 심기를 거스르지 않기 위해 알아서 눈치껏 움직이고 있다는 의미다. 중앙정부는 ‘모른 척’만 하면 된다. ‘안중근 전시실’ 및 ‘윤동주 생가’ 폐쇄 관련 기사 댓글에는 윤석열 정부를 비판하는 내용이 적지 않다. 현 정부의 반중 정책이 이번 사태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이 또한 중국이 한국 내 반정부 여론을 교묘히 만들어 낸 것이 아니냐는 의심을 지울 수 없는 대목이다. 중국은 늘 그렇듯 모르쇠로 일관할 것이다. 한중은 항일 운동의 역사를 공유할 수 있다. 일제 침략이라는 아픔을 함께 겪었기 때문이다. 안중근과 윤동주의 항일 정신도 함께 계승할 수 있다. “내부 수리 때문”이라는 중국의 변명이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 없기’만을 바랄 뿐이다.김기용 베이징 특파원 kky@donga.com}
중국이 지린성 옌볜조선족자치주 룽징(龍井)에 있는 윤동주 시인 생가도 폐쇄했다. 랴오닝성 다롄의 뤼순(旅順) 감옥 박물관 내 ‘안중근 전시실’ 폐쇄에 이은 것이다. 이로써 확인된 것만 중국 내 한국 독립운동 유적지 두 곳이 동시에 문을 닫은 상황이 됐다. 4일 윤동주 시인 생가 관리자는 동아일보와의 통화에서 “옌볜자치주 정부의 요구로 7월부터 폐쇄 중”이라며 “재개방 날짜는 정해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중국 최대 소셜미디어 웨이보(중국판 트위터)에는 윤동주 생가 입구에 ‘내부 수리 중으로 관람할 수 없다’는 안내문이 붙어 있는 사진도 올라와 있다. 윤동주 시인은 이곳에서 1917년 12월 태어났고 15세까지 살았다. 그의 생가는 1981년 허물어졌으나 1994년 옌볜대 조선연구센터 주관으로 복원됐다. 한국인들에게는 인근 백두산과 함께 필수 관광코스로 인식된다. 하지만 중국 당국이 생가 입구에 윤동주를 ‘중국 조선족’으로 알리는 대형 표지석을 세우면서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4일 중국 선양 주재 한국총영사관과 한국 교민 등에 따르면 폐쇄 시점은 지난달 초쯤으로 보인다. 최희덕 선양총영사가 6월 28일 옌볜조선족자치주를 찾아 후자푸(胡家福) 당서기 등을 만났고 이튿날 윤동주 생가도 방문했는데 이 직후로 추정된다. 베이징에서 여행사를 운영하는 한 교민은 “폐쇄 소식을 듣고 지난달 17일부터 백두산 관광 프로그램에서 윤동주 생가 관람 코스를 뺐다”면서 “7, 8월이 백두산 관광 성수기인데 아쉽다”고 말했다. 중국 당국은 내부 수리라고만 밝힐 뿐 구체적인 폐쇄 이유나 재개방 시점을 언급하지 않고 있다. 다만 윤동주 생가 관리자는 폐쇄를 요구한 주체가 옌볜조선족자치주 정부라고 밝혔다. 현지에서는 한중 관계 악화에 따라 중국 지방정부들이 중앙정부의 눈치를 보고 과하게 움직이면서 나타난 현상이라는 지적이 나온다.베이징=김기용 특파원 kky@donga.com}
《최측근도 날린 시진핑의 ‘호랑이 사냥’ ‘시진핑 키즈’로 불렸던 친강 중국 외교부장(장관)이 하루아침에 경질됐다. 10년 넘게 고위공직자 사정 작업인 ‘호랑이 사냥’으로 권력을 강화해 온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측근 관리에 나섰다는 분석이 나온다.》중국에서 가장 잘나가는 정치인으로 꼽혔던 친강(秦剛) 전 외교부장(장관)이 지난달 25일 전격 해임됐다. 공식석상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은 지 한 달 만이고, 외교부장에 임명된 지 7개월 만이다. 그는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총애를 한 몸에 받는 인물이었다. 외교 분야에서 시 주석의 ‘복심’이자 중국 외교의 실질적 사령탑인 왕이(王毅)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이 5년에 걸쳐 이뤄낸 승진을 단 3개월 만에 해내기도 했다. 그런데 이런 인물조차도 설명 한 줄 없이 사라지는 곳이 중국이다. 친강이 낙마하면서 그동안 하루아침에 스러져간 중국의 고위 정치인이나 공직자들이 재조명되고 있다. 시 주석은 2012년 말 권력을 잡은 뒤 단 한 번도 쉬지 않고 고위층 사정(査正) 작업, 이른바 ‘호랑이 사냥’을 통해 권력을 강화해 왔다. 그런데 매 시기 사정 작업의 대상은 조금씩 달랐다. 집권 1기(2012∼2017년) 때는 정적 제거에 몰두했고, 2기(2017∼2022년) 전반부에는 부패 공무원, 그리고 2기 후반부터 지금까지는 측근 관리에 집중하는 모양새다. 친강 부장도 이 과정에서 낙마한 것 아니냐는 추정이 나오고 있다.● 5년 내내 ‘4인방’ 제거에 몰두 시주석은 집권 1기 내내 부패 척결을 명분으로 시 주석의 권력 장악에 불만을 품은 ‘4인방’ 제거에 집중했다. 이들을 숙청시키면서 시 주석의 경쟁 세력인 ‘상하이방’이 몰락했고 반대로 시 주석의 권력은 강화됐다. 상하이방은 장쩌민(江澤民) 전 국가주석을 중심으로 한 정치 세력이다. 4인방은 총리급 정치국 상무위원이었던 저우융캉(周永康) 전 중앙정법위 서기, 보시라이(薄熙來) 전 충칭시 당서기, 쉬차이허우(徐才厚) 전 중앙군사위 부주석, 부총리급 예우를 받았던 링지화(令計劃) 전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 부주석 겸 당 중앙통전부장이다. 4명 중 쉬차이허우는 옥중에서 사망했고 나머지 3명은 종신형을 선고받고 복역 중이다. 시작은 보시라이 전 서기다. 그는 시 주석과 경쟁하며 중국 최고지도자 등극에 유력한 인물이었다. 그는 공산당을 찬양하고 부패를 척결하자는 구호인 ‘창홍타흑(唱紅打黑·붉은 노래 부르기와 검은 세력 소탕)’을 앞세워 전국적인 인기를 끌었다. 그러나 2012년 뇌물수수, 직권남용, 공금횡령 등 온갖 혐의로 체포되며 하루아침에 나락으로 떨어졌다. 보시라이는 충칭시 부시장이자 공안국장으로 그의 심복이었던 왕리쥔(王立軍)을 제거하려다 실패하면서 위기를 맞았다. 생명의 위협을 느낀 왕리쥔이 미국 망명을 시도했고 이 과정에서 보시라이의 온갖 정보가 미국과 시 주석 손에 넘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보시라이는 ‘충칭의 왕’에서 ‘부패의 왕’이 돼 버렸다. 그는 공산당에서 퇴출됐고 2013년 9월 무기징역을 선고받았다. 다음은 중국공산당 서열 9위 상무위원 출신 저우융캉이었다. 그는 후진타오(胡錦濤) 전 국가주석 시절 사법권 총수로 여겨지는 정법위 서기를 겸할 만큼 위세가 대단했지만 역시 부패로 추락했다.● 치밀한 호랑이 사냥 저우융캉이 연관된 비리 금액은 천문학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당국이 몰수한 금액만 900억 위안(약 16조2500억 원)이다. 드러나지 않은 것과 가족, 친척들에게 이미 넘어간 것들까지 합하면 1500억 위안(약 27조 원)이 넘는다는 얘기도 있다. 다수 여성과 간통하고 돈으로 여성을 사는 행위 등도 저지른 것으로 확인됐다. 당과 국가의 기밀도 유출했으며 전 부인의 교통사고 사망 사건에도 연관된 혐의로 결국 2015년 무기징역을 선고받았다. 저우융캉 처벌로 1949년 중국 건국 이후 정치국 상무위원 출신은 처벌하지 않는다는 이른바 ‘형불상상위(刑不上常委)’ 불문율도 깨졌다. 시진핑의 저우융캉 사냥은 치밀했다. ‘호랑이’를 먼저 치지 않고 주변의 가족과 부하들부터 자른 뒤 마지막에 호랑이를 공격했다. 홍콩과 대만 언론들은 이 과정을 6단계로 구분하기도 했는데 이 방식은 이후에도 여러 차례 적용됐다. 먼저 1단계에서 내외신이 비리 조사 등 소문을 보도한다. 이어 2단계에서 가족이나 측근들이 체포되고, 3단계에서 ‘호랑이’가 여전히 건재한 모습을 연출한다. 4단계 때 관영매체들이 ‘호랑이’의 비리를 언급하고, 5단계에서 공식 낙마를 발표한다. 이어 6단계에서는 관영매체가 심층 비판 보도를 내보낸다. 보시라이와 저우융캉에 이어 쉬차이허우와 링지화도 비리 혐의로 모두 낙마했다. 이들의 수사 과정은 모두 공개됐다. 쉬차이허우의 경우 베이징 자택에서 1t 이상의 현금과 금은보화가 압수됐다. 이를 옮기는 데 트럭 10대가 동원됐다. 후진타오 전 주석의 비서실장까지 지낸 링지화 역시 고향에 숨겨둔 금괴 등이 트럭 6대 분량이었다. 쉬차이허우는 재판을 기다리다 2015년 옥중에서 사망했다. 링지화는 2016년 무기징역을 선고받았다.● 집권 2기 파리 사냥→측근 관리 4인방을 숙청하면서 시 주석의 정적(政敵)은 사라졌다. 그런데도 시 주석은 집권 2기를 시작하면서 부패 사냥에 더 적극적으로 나섰다. 이번엔 정적 대신 공무원을 겨냥했다. 이 과정에서 감찰위원회도 신설했다. 1기 때 공산당 중앙기율위가 반부패전쟁을 주도했지만 공산당원만을 사정 대상으로 삼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신설된 감찰위원회는 공산당원뿐만 아니라 국립대, 국영기업 간부 등을 포함해 공직자 전반을 사정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게 됐다. 감찰위원회 활동으로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차관급 이상 고위 관료 92명이 처벌됐다. 2021년 한 해 중국에서 부정부패 혐의로 처벌받은 공무원이 62만 명일 정도다. 이시기 대표적 부패 고위 관료가 쑨정차이(孫政才) 전 충칭시 서기다. 쑨정차이는 약 1억7000만 위안(약 288억 원)에 달하는 뇌물수수 혐의로 기소돼 2018년 5월 종신형을 선고받았다. 이 외에도 자오정융(趙正永) 전 산시성 당 서기, 쑨리쥔(孫力軍) 전 공안부 부부장, 왕리커(王立科) 전 장쑤성 정법위 서기, 푸정화(傅政華) 전 사법부장 등도 뇌물수수 등의 혐의로 체포돼 대부분 종신형을 선고받았다. 시주석의 사정 작업은 끝나지 않았지만 집권 2기 후반부에 들어서면서 방향이 다소 바뀌었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시 주석이 측근 관리에 집중하기 시작한 것이다. 대표적 인물이 왕치산(王岐山) 전 국가부주석이다. 시 주석은 집권 3기가 시작되자마자 왕치산의 핵심 보좌진을 수뢰, 직권남용 등의 혐의로 체포했다. 그리고 당적과 공직을 모두 박탈하는 처분을 결정했다. 왕치산은 시 주석과 오랜 시간을 함께 보낸 동지이면서 집권 1기 당시 사정 작업을 주도해 ‘호랑이 사냥꾼’으로 불렸던 인물이다. 왕치산은 지난해 특별한 처분 없이 정계를 은퇴했다. 하지만 이 사건은 시 주석의 칼끝이 측근으로 향했다는 분석을 낳기에 충분했다. 장기집권(3연임)에 돌입하면서 측근 관리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을 시 주석이 인지한 것으로 보인다. 최근 중국 로켓군 지도부에 대한 대대적인 조사 작업에 대해서도 이 연장선으로 보는 해석도 있다. 중국 5대 군 중 하나로 분류되는 로켓군의 지휘관과 정치위원은 시 주석의 측근이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중국 사정 당국은 사령관과 부사령관 등을 조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1일에는 아예 로켓군 사령관을 새로 임명했다. 중국 엘리트 정치 전문가들은 “시 주석의 권력에 대항할 인물이 완전히 사라진 상황에서 시 주석의 적은 시 주석 자신뿐”이라면서 “이 사실을 잘 알고 있는 시 주석이 종신집권을 위해 가장 중요한 측근 관리를 집중적으로 시작한 것”이라고 분석하기도 했다. 최측근으로 분류된 친강 부장의 전격 경질이 이를 상징한다는 것이다.베이징=김기용 특파원 kky@donga.com}
중국이 지린성 옌볜조선족자치주 룽징(龍井)에 있는 윤동주 시인 생가도 폐쇄한 사실이 확인됐다. 랴오닝성 다롄의 뤼순(旅順) 감옥 박물관 내 ‘안중근 전시실’ 폐쇄에 이은 것이다. 이로써 중국 내 한국 독립운동 유적지 두 곳이 동시에 문을 닫은 상황이 됐다.4일 윤동주 시인 생가 관리자는 동아일보와의 통화에서 “옌볜조선족자치주 정부의 요구로 7월부터 폐쇄 중”이라며 “재개방 날짜는 정해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중국 최대 소셜미디어 웨이보(중국판 트위터)에는 윤동주 생가 입구에 ‘내부 수리 중으로 관람할 수 없다’는 안내문이 붙어 있는 사진도 올라와 있다. 이 사진은 7월 하순께 촬영된 것으로 보인다. 윤동주 시인은 이곳에서 1917년 12월 태어났고 15세까지 살았다. 그의 생가는 1981년 허물어졌으나 1994년 옌볜대학 조선연구센터 주관으로 복원됐고 이후 정비 작업이 계속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면서 한국인들에게는 인근 백두산과 함께 필수 관광코스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중국 당국이 생가 입구에 윤동주를 ‘중국 조선족’으로 알리는 대형 표지석을 세우면서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4일 중국 선양 주재 한국총영사관과 한국 교민 등에 따르면 폐쇄 시점은 지난달 초쯤으로 보인다. 최희덕 선양총영사가 6월 28일 옌볜조선족자치주를 찾아 후자푸(胡家福) 당서기 등을 만났고 이튿날 윤동주 생가도 방문했는데 이 직후로 추정된다. 베이징에서 여행사를 운영하는 한 교민은 “폐쇄 소식을 듣고 지난달 17일부터 백두산 관광 프로그램에서 윤동주 생가 관람 코스를 뺐다”면서 “7, 8월이 백두산 관광 성수기인데 아쉽다”고 말했다.중국 당국은 내부 수리라고만 밝힐 뿐 구체적인 폐쇄 이유나 재개방 시점을 언급하지 않고 있다. 다만 윤동주 생가 관리자는 폐쇄를 요구한 주체가 옌볜조선족자치주 정부라고 밝혔다. 앞서 1일 뤼순(旅順) 감옥 박물관 내 ‘안중근 전시실’이 최소 2개월 이상 폐쇄된 사실이 동아일보 보도로 뒤늦게 알려진 다음에도 중국 당국은 “내부 수리중”이라는 말만 되풀이 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수리는 핑계일 뿐 한중 관계 악화에 따라 중국 지방정부들이 중앙의 눈치를 보고 과하게 움직이면서 나타난 현상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윤동주 생가 폐쇄는 7, 8월에 이곳을 방문하는 한국인 관광객이 크게 증가한다는 점을 염두에 둔 조치라는 분석도 나온다. 중국 당국은 2012년 윤동주 생가 입구에 ‘중국 조선족 애국시인’이라는 대형 표지석을 세웠다. 한국 관광객이 늘어나 이에 대한 논란이 커지는 것을 막기 위한 사전 조치라는 얘기다. 현재 중국 최대 포털사이트 바이두도 윤동주 국적을 ‘중국’으로, 민족을 ‘조선족’으로 표기하고 있다.‘안중근 전시실’에 이어 ‘윤동주 생가’ 폐쇄까지 확인되면서 중국 당국의 과도한 움직임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또 일부에서는 윤석열 정부의 반중(反中) 움직임이 원인이라는 여론을 조성해 한국 정부를 압박하려는 중국의 고도의 노림수라는 분석이 나오기도 한다. 베이징=김기용 특파원 kky@donga.com}
중국의 두 번째 항공모함인 산둥함이 대만해협을 통과하는 장면이 처음으로 공개됐다. 중국 당국이 인민해방군의 창건일인 건군절(1일)을 맞아 군의 사기를 진작시키면서 동시에 대만과 미국에 경고 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해석된다. 1일 중국중앙(CC)TV는 공식 웨이보(중국판 트위터)에 중국 인민해방군의 군사 훈련과 각종 활동 등을 담은 다큐멘터리 ‘주멍(逐夢·꿈을 좇다)’의 일부 내용을 공개했다. 57초 분량의 이 영상에는 항행 중인 산둥함과 호위함들이 등장하고 ‘2023년 산둥함 항모전단 대만해협 통과’라는 자막이 나온다. 이 영상에서는 대만해협을 통과하고 있는 산둥함 주변으로 외부 정찰기가 접근하는 상황을 가정해 산둥함에 탑재된 전투기가 긴급 이륙하는 장면도 나온다. 다만 산둥함이 언제 대만해협을 통과했고, 이 같은 훈련이 언제 진행됐는지 구체적인 시점 등은 공개되지 않았다. 그동안 중국 항공모함은 종종 대만해협을 통과했다. 하지만 중국 당국이 이를 공식적으로 밝히면서 영상까지 공개한 것은 처음이다. 앞서 6월 21일 대만 언론들은 대만 국방부 발표를 인용해 산둥함 항모전단이 대만해협을 통과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일부에서는 이번 영상이 당시 훈련을 촬영한 것일 수 있다는 추측도 나오고 있다. 중국 당국이 산둥함의 대만해협 통과 영상을 공개한 것은 대만과 미국에 대한 경고 성격도 짙어 보인다. 최근 미국은 대만에 3억4500만 달러(약 4476억 원)어치의 군사 원조를 하기로 하는 등 중국에 대항하기 위한 군사적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 이에 대해 중국 국방부는 1일 성명을 내고 “난폭한 내정 간섭”이라며 강하게 반발한 바 있다.베이징=김기용 특파원 kky@donga.com}
중국의 두 번째 항공모함인 산둥함이 대만해협을 통과하는 장면이 처음으로 공개됐다. 중국 당국이 인민해방군의 창건일인 건군절(1일)을 맞아 군의 사기를 진작시키면서 동시에 대만과 미국에 경고 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해석된다. 1일 중국중앙(CC)TV는 공식 웨이보(중국판 트위터)에 중국 인민해방군의 군사 훈련과 각 종 활동 등을 담은 다큐멘터리 ‘주멍(逐夢·꿈을 좇다)’의 일부 내용을 공개했다. 57초 분량의 이 영상에는 항행 중인 산둥함과 호위함들이 등장하고 ‘2023년 산둥함 항모전단 대만해협 통과’라는 자막이 나온다. 이 영상에서는 대만해협을 통과하고 있는 산둥함 주변으로 외부 정찰기가 접근하는 상황을 가정해 산둥함에 탑재된 전투기가 긴급 이륙하는 장면도 나온다. 다만 산둥함이 언제 대만해협을 통과했고 이 같은 훈련이 언제 진행됐는지 구체적인 시점 등은 공개되지 않았다.그 동안 중국 항공모함이 대만해협을 통과한 사실은 종종 있었다. 하지만 중국 당국이 이를 공식적으로 밝히면서 영상까지 공개한 것은 처음이다. 앞서 6월 21일 대만 언론들은 대만 국방부 발표를 인용해 산둥함 항모전단이 대만해협을 통과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일부에서는 이번 영상이 당시 훈련 당시 촬영한 것일 수 있다는 추측도 나오고 있다. 중국 당국이 산둥함의 대만해협 통과 영상을 공개한 것은 대만과 미국에 대한 경고 성격도 짙어 보인다. 최근 미국은 대만에 3억4500만 달러(약 4476억 원) 어치 군사 원조를 하기로 하는 등 중국에 대항하기 위한 군사적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 이에 대해 중국 국방부는 1일 성명을 내고 “난폭한 내정 간섭”이라며 강하게 반발한 바 있다. 베이징=김기용 특파원 kk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