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세 老화가의 끝없는 입체파 탐구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10월 13일 03시 00분


코멘트

현대화랑 문학진 개인전

문학진의 2004년작 아크릴화 ‘화실에서’. 부분적으로 색종이를 잘라 붙여 독특한 질감을 추구했다. 단순화한 형태가 기묘한 사실성의 디테일을 전한다. 현대화랑 제공
문학진의 2004년작 아크릴화 ‘화실에서’. 부분적으로 색종이를 잘라 붙여 독특한 질감을 추구했다. 단순화한 형태가 기묘한 사실성의 디테일을 전한다. 현대화랑 제공
‘피카소…?’

31일까지 서울 종로구 현대화랑에서 열리는 문학진 화백(91)의 개인전을 둘러보다가 떠오른 첫 생각이다. 100세를 바라보는 현역 노화가의 작품을 보며 감히 외국인 예술가의 그림과 닮았다고 하는 건 그저 부족한 경험과 지식 탓일 수 있다. 그럼에도 입체의 형태를 단순화하고 각 면을 쪼개 재조합한 이미지는 피카소의 반추상화를 또렷이 연상시킨다.

문 화백이 20, 30대 때 피카소를 필두로 한 입체파의 영향을 받은 것은 사실이다. 1970년대 구작부터 2013년 작품까지 모아 놓은 30여 점의 그림은 ‘현실세계의 모사(模寫)가 아닌 조형적 요소의 구성만으로도 회화가 성립한다’는 입체파의 발견을 그가 평생 일관되게 견지하는 동시에 나름의 방식으로 극복하려 했음을 보여준다.

캔버스 위에 색종이를 잘라 붙인 그의 두툼한 아크릴화에는 모험적인 주장이나 조급한 실험의 기색이 없다. 테이블 위 물병과 그릇, 의자에 앉은 소녀를 ‘더 잘 표현할’ 방법을 70년 가까이 끊임없이 고민한 흔적은 넘치도록 역력하다. 화려한 장식 없이 끈덕지게 매일 다듬어 구워낸 장인의 도기(陶器)를 마주한 느낌이다.

1970, 80년대에 문 화백은 ‘행주대첩도’ ‘한국 가톨릭 성인화’ ‘강감찬 장군 일대기’ 등 역사기록화 작업을 다수 남겼다. 미술이 아닌 국사 교과서에 실린 삽화로 봤던 이 기록화와 이번 전시에 내놓은 그림 사이의 연결점을 찾기는 어렵다. 두툼한 질감의 그림 하나하나가 작가 자신의 삶의 기록으로 쌓인 흔적일 수 있겠다는 생각은 든다.

현대화랑은 전시공간에 바흐의 무반주 첼로 조곡을 틀어놓는다. 그 선택과 선곡에 작가의 동의를 구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그림을 보는 데 도움이 되기보다는 거슬리는 경우가 더 잦다. 이번에는 오목조목 배열된 이미지들과 잘 버무려져 귀에 들어왔다. 그림과 음악이 추구하는 바가 크게 어긋나지 않는 까닭이겠거니 싶다. 02-2287-3591

손택균 기자 soh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