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충북도내 화장장 추가 설립할 필요 없어”

  • 동아일보
  • 입력 2014년 2월 5일 03시 00분


코멘트

충북참여자치시민연대 조사
“청주-제천-충주에 1곳씩 보유… 가동횟수 늘리면 수요 충족할듯
지자체별 건립보다 공동사용을”

해마다 화장률이 높아지자 지자체마다 화장장 건립을 추진하면서 마찰을 빚고 있다. 충북참여자치시민연대가 분석한 결과 충북은 도내 3곳의 화장장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면 화장 수요를 충분히 감당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주 목련공원 전경. 청주시 제공
해마다 화장률이 높아지자 지자체마다 화장장 건립을 추진하면서 마찰을 빚고 있다. 충북참여자치시민연대가 분석한 결과 충북은 도내 3곳의 화장장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면 화장 수요를 충분히 감당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주 목련공원 전경. 청주시 제공
충북 진천군은 지난해 대표적인 기피시설인 화장장 건립을 추진했지만 실패했다. 진천군은 진천읍 장관리 공설묘지 인근 21만9000여 m²의 터에 화장장 자연장지 등을 갖춘 장례종합타운을 짓기로 하고 국비 25억6200만 원을 지원받았다. 하지만 군의회가 관련 예산을 삭감하면서 사업은 지지부진했다. 여기에 지역주민의 반발도 있었다. 주민 동의를 얻기 위해 여론조사까지 했지만 마지노선으로 정한 주민 찬성률 60%(여론조사 결과는 55.8%)를 넘지 못해 무산됐다. 이후 진천군은 관내에 1년 이상 거주한 주민이 사망할 경우 30만 원의 화장 장려금을 지원하는 ‘화장 장려금 지원조례안’을 제정했다.

화장장 건설을 추진하다 실패한 것은 진천군뿐만이 아니다. 영동군도 30억 원의 주민기금 지원을 내걸고 후보지 공모를 했지만 유치 제안서를 제출한 2개 마을 모두 주민 과반의 동의를 얻지 못해 무산됐다.

날로 늘어나는 화장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충북도내 일부 지자체서 화장장 건립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현재 운영 중인 도내 화장장만으로도 화장 수요를 감당하기에는 충분한 것으로 조사됐다. 4일 충북참여자치시민연대에 따르면 ‘충북도내 화장장 현황 및 2008∼2012년까지 충북도내 화장장 이용실태’ 등을 조사한 결과 현재 가동 중인 공설 화장장만으로도 충북도내 화장 수요를 충분히 감당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현재 도내에는 청주(목련공원), 충주(하늘나라), 제천(영원한 쉼터) 등 세 곳의 화장장이 있다. 이 중 가장 규모가 큰 청주 목련공원 화장장은 2007년 10월 개장했다. 청주시설관리공단이 청주시 상당구 월오동에 운영 중이다. 총 8기의 화로 가운데 6기가 매일 네 차례 운영된다. 2기는 예비화로(급한 화장 건수가 생길 때 운영). 1월 1일과 설날, 추석은 가동하지 않아 연간 총 8688건의 화장이 가능하다. 그러나 2012년 화장건수는 6035건(예비로 제외 가동률 69.5%)에 머물렀다. 이 가운데 청주지역 이용객은 1855건이었고 나머지 4180건은 외지 이용객이었다.

2006년 11월 문을 연 충주 하늘나라는 충주시 목벌동에 있다. 총 5기의 화로가 있고 이 중 1기는 예비화로. 하루 3회 운영(연간 가능 건수 3258건)한다. 2012년 2060건이 운영(예비로 제외 가동률 63%)됐다. 제천 화장장도 규모와 연간 가능 건수는 충주와 비슷하다. 2012년 3438건 가동돼 도내 3개 화장장 가운데 유일하게 예비로를 가동했다.

이 화장장들의 이용실태를 분석하면 굳이 지자체마다 새 화장장을 건립하지 않아도 가동 횟수만 늘릴 경우 화장 수요를 더 소화할 수 있다. 충북의 2012년 사망자는 1만478명이며 이 가운데 화장한 건수는 6178구(도내 화장률 59%)였다. 외지 이용객을 포함하면 총 화장 수는 1만1533건. 세 곳의 화장장이 연간 1만5204구를 화장할 수 있어 용량은 충분하다는 계산이 나온다. 충주와 제천은 1일 3회 운영하고 있는데 해마다 3%씩 증가하는 화장률에 맞춰 운영 횟수를 1회만 늘려도 도내 화장 수요를 모두 충족할 수 있다고 충북참여연대 측은 설명했다. 충북참여연대 최강윤 간사는 “화장장을 지자체별로 건립하는 것보다 인근 지자체와 협의해 공동으로 사용하는 방안이 현실적이다. 이용객들에게 실질적인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화장 장려금 지원의 폭을 넓히는 것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장기우 기자 straw825@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