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시장 뒤흔드는 中-印, 美 위협 신흥강국 부상중”

  • 입력 2007년 5월 10일 03시 01분


코멘트
한국의 국가경쟁력이 지난해에 비해 다소 높아졌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이 9일 발표한 ‘2007년도 세계 경쟁력 연감’에 따르면 한국의 종합 국가경쟁력은 조사 대상 55개 국가 및 지역경제 가운데 29위로 지난해보다 3단계 뛰어올랐다.

IMD의 국가경쟁력 순위는 세계경제포럼(WEF)의 ‘국가별 경쟁력 평가보고서’와 함께 각국의 경쟁력을 보여주는 주요 자료로 평가받는다.

▽한국 경쟁력, 미국의 60% 수준=한국의 올해 종합 국가경쟁력 지수는 지난해 57.680에서 61.564로 상승했다. 이는 1위인 미국을 100으로 잡았을 때의 상대적 수치다.

IMD의 한국 경쟁력 순위는 참여정부 출범 이후 30위권 안팎에서 오르락내리락 했다. 2003년 32위에서 2004년 31위, 2005년에는 27위까지 올랐다가 지난해에는 32위로 밀려났다. 그러다 올해 다시 20위권에 재진입했다. 외국인 직접투자와 숙련된 노동력 증가, 에너지 인프라 확충, 기술개발 등이 반영된 결과다.

올해 IMD가 발표한 2003∼2006년의 순위는 당시와는 약간 차이가 있다. 이번에는 중국 저장(浙江) 성과 독일 바이에른 주 등 지역경제권 6곳을 조사 대상에서 뺀 뒤 소급해서 순위를 산출했기 때문.

전체적으로는 미국이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1위를 지켰고, 싱가포르와 홍콩이 각각 2, 3위를 차지했다. 이어 유럽 국가인 룩셈부르크와 덴마크, 스위스, 아이슬란드, 네덜란드, 스웨덴이 뒤를 이었다.

중국은 지난해보다 3계단 뛰어올라 15위로 높아진 반면 일본은 24위로 지난해보다 8계단이나 떨어졌다. 베네수엘라는 최하위국의 불명예를 안았다.

IMD의 평가는 55개 국가 및 지역경제의 공식 통계와 4000여 명의 민간 기업 경영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답변을 모두 323개 항목에 걸쳐 분석해 나온 결과다.

▽글로벌 경제파워의 이동=IMD는 이번 조사 결과 중국 인도 등 신흥 국가 중심으로 경제 및 비즈니스 파워의 분포가 개편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는 IMD가 올해 처음으로 각국의 단순 순위변동이 아닌 1위와의 격차를 좁히는 속도까지 계산해 낸 결과에 따른 것. 최상위권은 여전히 선진국이 차지하고 있지만 중위권 이하의 경제들 사이에서는 상대적으로 활발한 변동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즉, 앞에서 40개 국가 및 지역경제는 경쟁력 강화를 통해 미국과의 격차를 줄여 나가고 있는 반면 나머지 15개는 경쟁의 기반을 점차 잃어 가고 있다.

경쟁력 지수를 빠르게 높여 나가며 미국과 거리를 좁히는 대표적인 나라로는 ‘브릭스’ 국가로도 불리는 중국과 러시아, 인도였으며 에스토니아, 슬로바키아, 호주 등도 이 범주에 포함됐다.

이들 국가는 풍부한 자금을 바탕으로 국제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하는 것이 주요 특징이었다. 예를 들어 중국과 러시아, 인도 3국의 외환보유액을 합치면 1조7000억 달러에 달한다.

한국은 빠른 속도는 아니지만 미국과의 경쟁력 격차를 줄여 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13개국 경제만을 놓고 보면 순위가 지난해보다 1단계 올라 10위에 불과했다. 경쟁력 확보에 더 박차를 가하지 않으면 태국, 필리핀, 인도네시아에 밀릴 가능성이 있다.

‘떠오르는 국가’들과 달리 경쟁력이 쇠퇴하고 있는 나라로는 인도네시아와 이탈리아, 아르헨티나, 브라질, 멕시코, 터키, 필리핀, 프랑스 등이 꼽혔다.

스테판 가렐리 IMD 교수는 “이들 나라는 몇 가지 부문에서는 높은 경쟁력을 갖고 있지만 경제의 전반적 운용을 개선하지 못하면 미래에는 세계 경쟁에서 자기 자리를 잃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신흥 국가의 급성장은 도전을 견제하기 위한 서방 선진국의 새로운 보호주의 정책 강화로 이어질 수도 있다고 IMD는 전망했다. 새로운 형태의 보호주의는 무역장벽을 강화해 온 과거와 달리 기업의 지배구조나 환경 보호, 지식재산권, 사회적 권리 등 여러 분야에서 더 교묘한 방식으로 강화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가렐리 교수는 “보호주의 조치가 늘어나면서 국가 간 긴장이 높아지고 세계무역기구(WTO)에 불공정 관행을 제소하는 등의 국제 분쟁도 많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정은 기자 lightee@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