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하철 파업 출정식…“인력감축 말고 증원해야”

  • 뉴시스
  • 입력 2023년 11월 9일 14시 09분


코멘트

9일부터 이틀간 경고 파업…6천명 참여
"정년퇴직 인력이라도 서둘러 채워야"

서울 지하철 1~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서교공) 노조가 인력 감축 계획 철회를 요구하며 이틀간의 ‘경고 파업’을 선언했다.

민주노총 산하인 서울교통공사노조는 9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시청 앞에서 ‘서교공 노조 총파업 투쟁 승리 결의대회’를 열고 “10일까지 시한부 경고 파업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이날 결의대회에는 주최 측 추산 6000여명이 참석했다. 경찰은 경력 약 20개 부대 1000여명를 배치했다.

노조는 “서울시와 서교공은 인력감축과 안전 업무 외주화 계획을 끝내 거두지 않았다”며 “노조 측이 제안한 올해 정년퇴직 276명 채용 제안을 거부해 최종교섭이 결렬됐다”고 전했다.

이어 “연말 정년퇴직하는 인력을 채용하지 않을 경우 내년 1월1일부터 현장 안전 인력 공백이 발생하는 심각한 상황이 발생한다”며 “채용 절차가 4∼5개월 걸리는 것을 감안해 지금이라도 채용을 서둘러야 한다”고 주장했다.

당초 전면 파업 방침에서 시한을 둔 제한적 파업으로 선회한 이유에 대해선 “서교공 측이 지난 2일 본교섭에서 ‘기존 입장에서 변화가 없다’는 당초 태도를 변경해 노사 간 협의기구 설치 등을 제안했다”고 설명했다.

명순필 서울교통공사노조 위원장은 공사의 손해배상 청구 등 강경 대응 방침을 거론하며 “우리는 돈을 위해서 투쟁하는 것이 아니다. 시민 안전을 위해 투쟁하는 것”이라며 투쟁 의지를 드러냈다.

현정희 공공운수노조 위원장은 ‘구의역 김군 사망 사고’ ‘신당역 살인사건’ 등 지하철역 내부 혹은 인근 인명 사고의 원인은 업무의 외주화였다면서 “시민 안전을 위해 2200여명 인력 감축이 아니라 771명 인력 증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공사의 구조조정 근거가 된 서교공의 적자가 ‘착한 적자’라는 취지의 주장도 나왔다.

양한웅 시민사회공동행동 집행위원장은 “공공기관은 국민의 보편적 서비스를 위해 존재한다”며 “가난한 노인들에게 지하철 요금을 받기 시작하면 이들은 움직일 수 없고 육체적·정신적 건강이 나빠진다”며 “서교공의 적자는 당연하다. 서울시가 (적자를) 책임져야 한다”고 말했다.

노조는 서울시와 서교공의 입장변화가 없으면 16일 수능 특별수송 후 2차 전면 파업에 들어갈 수 있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이번 파업은 추후 교섭 성사 여부와 관계없이 만 하루 반이 지난 내일 막을 내린다.

한편 한국노총 산하 서울교통공사통합노조는 이날 오전 긴급공지를 통해 10일까지의 ‘경고 파업’에 불참한다는 의사를 밝혔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