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구] “내 옆의 위기 가구 신고해주세요!”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8월 1일 03시 00분


코멘트

[서울 톡톡]민관 협력으로 복지 사각지대 해소한다
위기 가구 발굴 위한 수첩 배포
신고포상금 제도도 신설

용산구가 위기 가구를 발굴하기 위해 민간 인력에 배포한 복지수첩과 가방. 용산구 제공
용산구가 위기 가구를 발굴하기 위해 민간 인력에 배포한 복지수첩과 가방. 용산구 제공
지난해 8월 세상과 단절되어 병마, 가난과 싸우던 세 모녀가 숨진 채 발견됐다. 이른바 ‘수원 세 모녀 사건’. 이 사건이 발생한지 오는 21일이면 딱 1년이 된다.

이 같은 비극의 재발을 막기 위해 전국의 지자체들은 생활고를 겪는 위기 가구를 조기에 발견하려는 각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위험 징후를 사전에 포착해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겠다는 구상이다. 서울의 지자체도 이를 위한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

용산구(구청장 박희영)는 위기 가구 발굴을 위해 어떤 대책을 강구하고 있을까.

복지수첩 기록에 따라 상담 연계돼
‘위기 가구 발굴에는 공무원뿐 아니라 민간 복지인력도 활용한다.’

용산구는 이 같은 취지로 2023년 복지수첩 1300부를 제작·배포했다고 밝혔다.

복지수첩은 동 복지통장, 지역사회보장협의체, 명예사회복지공무원 등 민간 인력이 복지 사각지대에 있는 가구를 찾아내어 기록할 수 있도록 지난 2020년부터 제작하기 시작했다. 민간 인력이 복지수첩에 위기 가구를 상담한 내역을 기록한 뒤 잘라서 각 동의 주민센터로 제출하는 방식이다. 수첩은 휴대하기 편하도록 가로 15㎝, 세로 21㎝ 크기로 제작돼 소형 가방과 함께 제공된다. 민간 인력이 복지수첩에 기록한 내용을 바탕으로 복지 상담으로 연계된다.

복지수첩에는 △위기 가구 발굴 노하우 △방문 상담 시 체크리스트 △복지서비스 정보 △위기 가구 신고포상금 지원 사업 소개 등이 담겼다. 위기 가구 발굴 노하우로는 쌓여 있는 우편물 등 위기를 감지할 수 있는 13가지 징후가 있다. 방문 상담 시 체크리스트에는 현장 방문 상담요령, 노인·장애인 등에 대한 유의사항, 긴급상황 시 대처 방법 등으로 꾸려졌다. 복지서비스 정보로는 △국민기초생활보장 △서울형기초보장 △차상위 지원 △긴급복지 안내 △복지 기관 연락처 등에 대한 내용이 포함됐다.

복지수첩은 동 복지통장, 지역사회보장협의체, 명예사회복지공무원에 800부가 배부됐으며 올해는 대상이 확대되어 복지 거점기관 5곳과 용산구자원봉사센터에도 500부가 전달됐다.

신고 활성화 위해 포상금 제도 운영
용산구는 올해부터 위기 가구 신고포상금 제도를 신설했다. 신고 1건당 5만 원의 포상금이 지급된다. 신고포상금은 지난 4월 제정한 ‘용산구 위기가구 발굴 및 지원 활성화 조례’에 따른 것이다. 위기 가구를 발견·신고하여 해당 가구의 구성원이 국민기초생활수급자 등 복지 대상자로 선정되면 신고포상금이 지급된다. 주소지에 관계없이 누구나 신고가 가능하지만 연간 30만 원으로 지급 제한이 있고, 기 수급가구를 신고한 자나 신고의무자(공무원, 의료인, 통장, 복지시설종사자, 공동주택 관리인) 등은 포상금 지급에서 제외된다.

박 구청장은 “복지수첩을 활용해 드러나지 않은 위기 가구를 발견하고 이들에게 필요한 복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민관 협력을 통해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장진희 기자 cjh0629@donga.com
#서울 톡톡#서울#용산구#위기 가구#복지수첩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