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증상자 1명이 60명에 전파…‘늑장 검사’가 감염 부른다

  • 동아일보
  • 입력 2021년 4월 6일 22시 49분


코멘트
방역당국이 코로나19 4차 유행 가능성이 있다고 보며 방역 강화에 나선 가운데 6일 오전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수원역 임시선별검사소에 시민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검사를 받기 위해 대기하고 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478명 발생했다고 밝혔다. 2021.4.6/뉴스1
방역당국이 코로나19 4차 유행 가능성이 있다고 보며 방역 강화에 나선 가운데 6일 오전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수원역 임시선별검사소에 시민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검사를 받기 위해 대기하고 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478명 발생했다고 밝혔다. 2021.4.6/뉴스1
회원 300명 규모인 서울의 한 헬스장에서 올 2월 10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발생했다. 첫 환자는 이곳에서 일하는 직원. 하지만 역학조사 결과 최초 감염원은 회원 A 씨였다. A 씨는 같은 달 7일 몸에 가벼운 이상 증상을 처음 느낀 이후에도 며칠 동안 하루 1시간 이상 헬스장에서 운동하고 샤워실과 탈의실을 사용했다. 이 헬스장에선 22일까지 회원과 직원, 이들의 가족 등 총 60명이 코로나19에 감염됐다.

비슷한 시기 서울의 한 사우나에서도 장기 이용객으로 인한 집단감염이 나왔다. 이용객 B 씨는 몸에 이상을 느꼈지만 2월 3일부터 8일까지 이 사우나에 머물렀다. 사우나 종사자 가운데 한 명이 무증상 감염된 뒤 벌인 역학조사 결과 B 씨가 첫 감염원으로 지목됐다. B 씨가 만약 증상 자각 후 바로 자가격리 등의 조치를 취했다면 32명의 추가 환자가 나오지 않았을 수 있었다.

이처럼 유증상자의 다중시설 이용으로 인한 집단감염이 계속되면서 코로나19 3차 유행이 이어지고 있다는 게 방역당국의 판단이다. 6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2, 3월 발생한 주요 코로나19 집단감염 사례를 분석한 결과 확진자 3606명 가운데 834명(23.1%)이 유증상자의 다중시설 이용 이후 확진됐다. 이는 발열 등 몸의 이상이 나타나도 적극적으로 검사를 받는 대신 일상생활을 계속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는 뜻이다. 정기석 한림대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코로나19 확산이 장기화되면서 몸에 이상이 생길 때 검사를 받아야 한다는 인식이 옅어지고 있다”며 “단속 강화 등을 통해 방역지침 위반의 경각심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정재훈 가천대의대 예방의학교 교수는 “본인도 감염된 지 모르고 있다가 응급실에 와서 확진되는 분이 적지 않은 상황”이라고 전했다.

‘늑장검사’는 사업장 집단감염으로도 이어진다. 이날 방대본에 따르면 올 1~3월 사업장 감염은 총 161건(확진자 3462명) 나왔다. 제조업 사업장에서만 1280명의 감염자가 나왔다. 이어 음식점을 포함한 서비스업(645명), 육가공업(481명), 백화점·마트 등 도소매업(268명)이 뒤를 이었다. 자발적 검사 유도에 한계가 있는 만큼 특정 업종이나 분야를 대상으로 선제적인 일제 검사를 실시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이날 중앙재난안전본부대책회의에서 “이번 주가 코로나19 4차 대유행의 분기점인데 검사가 늦어져 추가 확산되는 사례가 늘어나는 것은 우려스런 대목”이라며 “방역당국이 국민들이 편리하게 검사받을 수 있도록 전향적인 대안을 마련해 달라”고 당부했다. 정부는 자가진단 키트를 사용 등 검사 확대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유근형 기자 noel@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