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민 10명 중 6명 “남북관계 긴장 연말까지”

  • 뉴스1
  • 입력 2020년 7월 26일 14시 22분


코멘트
서울시민 남북교류협력 의식조사(서울시 제공) © 뉴스1
서울시민 남북교류협력 의식조사(서울시 제공) © 뉴스1
서울시민 10명 중 6명은 올해 연말까지 남북관계의 긴장 상태가 유지될 것으로 내다봤다. 남북관계가 개선될 것이라고 전망한 서울시민은 소수에 그쳤다.

서울시는 27일 6·25전쟁 정전협정 67주년을 맞아 남북관계 현안에 관해 서울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26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올해 연말까지 남북관계 전망을 두고 전체 응답자 가운데 63.0%가 현재의 긴장상태를 유지할 것이라고 답변했다. 남북관계가 오히려 악화할 것이라고 대답한 응답자는 16.2%로 집계됐다.

남북관계가 개선될 것이라고 바라본 응답자는 15.0%에 그쳤는데 시는 최근 지속적으로 경색됐던 남북관계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했다.

남북관계 긴장 완화를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묻는 말에 응답자 중 44.8%는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북미대화가 재개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남북정상회담 개최(31.8%)’ ‘대북전단 살포 금지법 입법화 및 단속 강화(14.3%)’가 뒤를 이었다.

남북관계 개선과 긴장 완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남북교류협력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필요한지를 두고는 긍정의견이 76.0%(매우 필요 34.6%, 약간 필요 41.4%)에 달했다. 부정의견은 24.0%로 나타났다.

통일 가능 시기를 놓고는 ‘20년 이내’가 25.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만 ‘10년 이내’로 가능하다는 의견이 지난해 조사에서는 19.5%였던 것에 비해 이번 조사에서는 9.9%로 대폭 줄었다.

대신 불가능하다는 의견이 5.7% 더 높게 나와 통일이 이른 시일 내 가능하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이 많아졌다.

연령대별로 보면 20·30대는 ‘30년 이상’을 각각 31.2%와 28.1%로 가장 많이 응답했지만 40·50대는 ‘20년 이내’를 각각 30.4%와 35.7%로 가장 많이 답했다.

특히 20·30대는 ‘통일이 불가능하다’는 의견도 25.1%와 26.1%로 나와 젊은 층 사이에서 통일을 부정적으로 보는 인식이 적지 않은 것으로 나왔다.

대북전단과 관련해서는 ‘대북전단 살포를 중단해야 한다’는 의견이 67.4%로 ‘계속해야 한다’(18.6%)를 앞질렀다.

특히 인도적 차원에서 코로나19 방역을 위해 ‘서울형 표준방역모델(S-방역)을 북한에 지원’하는 것에는 60.3%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황방열 남북협력추진단장은 “남북관계 경색 상황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뿐 아니라 지방자치단체 역할이 매우 중요해졌다”면서 “현재 상황을 적극 반영해 남북교류협력 사업을 계속 추진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조사는 서울시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서울시 거주 만 19세 이상 69세 이하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지난 10일부터 14일까지 5일간 온라인으로 실시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이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